$\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후 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수질 변화 및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reduction method on water quality in Cheongmicheon watershe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7, 2018년, pp.585 - 597  

변지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손민우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래기후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향후 수질 변화를 검토하고, 최적관리기법으로의 접근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대책의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수문 및 수질변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SWAT 모형의 매개변수는 SWAT-CUP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구축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시나리오 중 RCP 4.5 및 8.5 두 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를 고려하였다. 모의 결과로부터 기후 변화가 심화될수록 강우 및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적절한 최적관리기법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의 총량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변동성도 함께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discharge under the condition of climate change and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which is one of the reduction method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is applied to case in Cheongmich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 변화 시나리오는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는 자료로, 각 예측 년도 별 수문 및 수질 매개변 수의 수치를 분석하기보다는 전 기간 동안의 증감 경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부하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나, 미래 토지이용도의 변화 없이 기후 조건의 변화만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미래 토지이용도 및 토양도와 같은 미래의 지형자료 구축과 함께 기후조건의 변화가 고려되는 기후 변화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부하를 예측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양물질 및 유출량의 변화를 살펴보고,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BMP의 유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기 위해 2100년까지의 기후변화 전망자료를 적용하였으며, 유출량 및 영양물질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SWAT 모형이 이용되었다.
  • 5 시나리오에 비해 감소량이 작은 것으로 회귀식이 얻어졌다. 이러한 수질 검토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저감 기법의 유효성을 살펴보고자 SWAT 모형에서의 BMP를 적용하고, 기후 변화에 따른 저감 효율을 살펴본다. BMP 중 구조물적 대책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 식생형 시설인 것에 기초하여 계단식 산비탈(Terracing)을 적용하였다.
  • 1% 증가할 것으로 계산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향후 수질 변화를 검토하고, 최적 관리기법으로의 접근을 통해 비점오염물질 저감 대책의 유효성을 살펴본다. 4가지 RCP 시나리오 중 핵심 실험인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인 RCP 4.

가설 설정

  • (2008) 은 과거의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미래의 토지이용도를 오토마타-마르코프(Cellular Automata-Markov, CA-Markov)기법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CA-Markov기법으로 작성된 미래 토지이용도를 적용하고, 미래의 기상조건은 현재의 기준 년도(2004년)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서 2004년도의 강우, 온도, 습도 등의 기상조건을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로부터 유출량과 비점오염 부하량의 변화는 증가양상을 띠는 것을 확인하였다.
  • SWAT 모형에서는 대상 유역을 소유역(Subbasin)으로 구분한 후, 동일한 수문학적 특성을 보이는 수문에 영향을 주는 토지이용이나 토양의 상이성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수문반응단위(Hydrological Response Unit, HRU)로 세분한다(Lee and Seo, 2011). HRU는 소유역 내의 최소 단위로 집중화된 토지 지역이며, 하나의 HRU는 동일한 토지피복과 토양 및 관리상태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SWAT 모형에서는 물수지 방정식에 기초하여 강수, 증발산, 지표유출, 기저유출, 지하수 등에 대하여 HRU별로 수문 순환을 모의한다(Eq.
  • 매개변수의 최적화를 위한 목적 함수를 지정 후, 목적 함수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을 설정한다. 목적함수의 상한 값 및 하한 값의 설정이 정보의 부족으로 어려운 경우, 매개변수는 균등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한다. 검보정 전 실행되는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과정에서 매개변수의 적합범위가 선정되고, Latin-Hypercube Sampling방법을 위한 초기 범위가 설정 된다(Eq.
  • 12를 적용하였다(Table 6). 산비탈의 설계를 위한 길이는 연구대상지역의 유역 면적이 546 km2이므로 약 20 m를 적용하였고, 수문학적 조건이 양호한 자갈이 있는 토양형을 가정하여 수정 CN값은 62를 적용하였다. Table 7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별로 계단식 산비탈을 적용하였을 때 수질 및 수문 매개변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질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되는데, 이들의 차이점은? 수질 문제를 야기하는 수질 오염원은 배출원의 형태에 따라 배출원이 명확한 점오염원(Point Source Pollution)과 명확하지 않은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ion)으로 구분된다. 생활하수, 폐수 배출 시설, 축산 농가 등 인위적이며 배출원이 명확한 점오염원은 집중적으로 일괄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오염물질의 변동 폭이 작아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통해 비교적 수월한 차집이 가능하다. 반면, 비점오염물질 (Non-Point Source Water Pollutant)는 지표면에 존재하던 오염 물질이 강우에 따른 유출 발생 시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로, 배출원이 명확하지 않다. 비점오염물질의 하천 유입은 강우량에 비례하는 특성이 있다. 비점오염물질의 한 종류인 질소, 인과 같은 영양 물질은 하천의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물질로, 우리나라와 같이 계절별 강수량의 차이가 큰 특성을 나타내는 환경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지속적인 관리는 필수적이다(Son et al.
수질 오염원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수질 문제를 야기하는 수질 오염원은 배출원의 형태에 따라 배출원이 명확한 점오염원(Point Source Pollution)과 명확하지 않은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ion)으로 구분된다. 생활하수, 폐수 배출 시설, 축산 농가 등 인위적이며 배출원이 명확한 점오염원은 집중적으로 일괄 처리가 가능하다.
RCP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기후변화를 전망하기 위해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를 이용한다. RCP 시나리오는 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정의하는 시나리오이다. 하나의 대표적인 복사 강제력에 대해 사회및 경제 시나리오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대표 (Representative)’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경로(Pathway)’ 라는 의미를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baspour, K. C. (2015). "SWAT-CUP: SWAT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grams." Eawag: Swiss Federal Institute of Aquatic Science and Technology, Duebendorf, 93. 

  2. Ahn, S. R., Park, M. J., Park, G. A., and Kim, S. J. (2009).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components of Gyeongancheon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1, pp. 33-50. 

  3. Arnold, J. G. (1992). Spatial scale variability in model development and parameterization. Ph. D. dissertation, West Lafayette, Purdue University. 

  4. Arnold, J. G., Srinivasan, R., Muttiah, R. S., and Williams, J. R. (1998). "Large area hydrological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1, pp. 73-89. 

  5. Choi, H. S. (2013). "Parameter estimation of SWAT model using SWAT-CUP in Seom-river experimental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2, pp. 529-536. 

  6. Choi, I.-W., Seo, D.-C., Kang, S.-W., Lee, S.-G., Seo, Y.-J., Lim, B.-J., Park, J.-H., Kim, K.-S., Heo, J.-S., and Cho, J.-S. (2012).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ies of pollutants in Juksan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45, No. 4, pp. 642-648. 

  7. Choi, S. K. (2013). Analysis of filter-type facility's treatment efficiency to reduce non-point pollution source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2-14. 

  8. Cooke, J. G., and Cooper, A. B. (1988). "Sources and sinks of nutrients in a New Zealand hill pasture catchment. III. Nitroge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 No. 2, pp. 135-149. 

  9. Daniels, R. B., and Gilliam, J. W. (1993). "Sediment and chemical load reduction by grass and riparian filter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 60, No. 1, pp. 246-251. 

  10. Duchemin, M., and Hogue, R. (2009). "Reduction in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first year following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grass/tree filter strip system in southern Quebec (Canada)."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Vol. 131, No. 1-2, pp. 85-97. 

  11. Gil, K., Kim, J., and Im, J. (2014). "Analysis of nonpoint pollutants removal efficiency in vegetative filter strip." Proceeding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Conference, p. 518. 

  12. Haan, C. T., Barfield, B. J., and Hayes, J. C. (1994). Design hydrology and sedimentology for small catchments. Academic Press, pp. 249-284. 

  13. Heo, S.-G., Kim, K.-S., Sagong, M., Ahn, J.-H., and Lim, K.-J. (2005). "Evaluation of SWAT applicability to simulate soil erosion at highland agricultural lan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4, pp. 67-74. 

  14. Jacobs, T.C., and Gilliam, J.W. (1985). "Riparian losses of nitrate from agricultural drainage water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Vol. 14, No. 4, pp. 472-478. 

  15. Lee, E., and Seo, D. (2011). "Flow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Daechung lake watershed, Korea using SWAT-CUP."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9, pp. 711-720. 

  16. Lee, J. (2013).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using by used the vegetable plant on the infiltration basins.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pp. 3-32. 

  17. Lee, J.-H. (2006). A study on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water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Master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pp. 9-12. 

  18. Lee, J. M., Ryu, J., Kang, H., Kang, H., Kum, D., Jang, C. H., Choi, J. D., and Lim, K. J. (2012). "Evaluation of SWAT flow and sediment estimation and effects of soil erosion best management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4, No. 1, pp. 99-108. 

  19. Lee, Y. J., An, S. R., Kang, B., and Kim, S. J. (2008).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Anseongcheon watershed using SWAT Model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6B, pp. 665-673. 

  20. Lowrance, R., Sharpe, J. K., and Sheridan, J. M. (1986). "Long-term sediment deposition in the riparian zone of a coastal plain watershed."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41, No. 4, pp. 266-271. 

  21. Moon, S., Hong, J., Choi, J., Yu, G., and Lee H. K. (2017). "Evaluation on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apabilities of filter media applied to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management facilities." Journal of Wetland Research, Vol. 17, No. 3, pp. 228-236. 

  22. Na, Y.-S. (2010). A study on the variation of design rainfall and flood due to climate change.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pp. 1-96. 

  23. Nash, J. E., and Sutcliffe, J. 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24. Park, J.-Y., Lee, M. S., Lee, Y. J., and Kim, S. J. (2008). "The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using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2B, pp. 187-197. 

  25. Park, Y., Kim, D. H., Jung, Y. H., Cho, J. P., Lim, K. J., and Kim, K. S. (2014). "Simulation of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impacts on nonpoint source pollutant reduction in argricultural area using STEPL WEB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6, No. 5, pp. 21-27. 

  26. Park, Y. S., and Kwon, J. H. (2014).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SWAT filter strip in Golji watershe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 33, No. 1, pp. 30-36. 

  27. Remanarayana, T. S., Williams, J. R., Dugas, W. A., Hauck, L. M., and McFarland, A. M. S. (1997). Design hydrology and sedimentology for small catchments. Academic Press. 

  28. Shao, H., Baffaut, C., Nelson, N. O., Janssen, K. A., Pierzynski, G. M., and Barnes, P. L.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lgorithms for simulating terraces within SWAT."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Vol. 56, No. 5, pp. 1715-1730. 

  29. Son, M., Byun, J., Yoon, H.-D., and Jung, T.-H. (2016). "A study on trapping efficiency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Cheongmi stream using VFSMOD-w."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1, pp. 140-150. 

  30. Williams, J. R. (1975). "Sediment routing for agricultural watershed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11, No. 5, pp. 965-974. 

  31. Yang, H. (2006).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trom event - case study upstream and downstream of Kokseong rive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1, No. 4, pp. 418-434. 

  32. Yang, Q., Meng, F. R., Zhao, Z., Chow, T. L., Benoy, G., Rees, H. W., and Bourque, C. P. A. (2009). "Assessing the impacts of flow diversion terraces on stream water and sediment yields at a watershed level using SWAT model"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Vol. 132, No. 1, pp. 2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