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수문·수질 변화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Components in Nakdong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5 no.11, 2012년, pp.1121 - 1130  

장재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물환경연구실) ,  안종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물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추출을 위해 CGHR(T63) 모형과 A1B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를 통계적 규모내림방법으로 대상유역의 규모로 축소 변환한 후, 수문 수질의 거동변화 등의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 SS와 T-P를 대상으로 SWAT 모델을 적용하였다. 과거 30년 자료와 비교한 결과, 지표유출은 지역에 따라 최대 60%까지, 오염배출부하는 TSS와 T-P의 경우 각각 35~45%, 5~20%정도 변화되어,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지표유출과 오염부하 배출은 향후 뚜렷한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그 증가 경향은 낙동강 하류지역보다 상류지역에 크게 나타나며 계절별로는 겨울과 봄철의 증가가 크고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여름과 가을철에는 먼 미래로 갈수록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갈수기 지표수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jected changes and their impacts on water quality are simula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tressors. CGHR (T63) simulation on the A1B scenario is converted to regional scale data using a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and applied to SWAT model to assess water quality impacts in Nakdong Ri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유출량 및 수질변화를 모의하기 위해 한반도 수환경 평가에 적절한 기후변화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17개의 GCMs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재기후 시나리오인 20C3M 시나리오의 모의 결과와 우리나라 24개 기상관측 지점의 1971~2000년 기온 및 강수자료를 비교 · 검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CMs 모형인 CGHR (T63) 모형과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인 A1B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오염에 취약한 낙동강 유역의 수문 영향과 지표유출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특히, 수질의 경우 탁수 및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SS와 2단계 오염총량관리 대상항목인 T-P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도구로는 국내외에서 수문 · 수질모의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SWAT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가 일으킨 문제점은 무엇인가? 오늘날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는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를 초래하여 강우, 증발산량, 지하수, 지표수 등 많은 수환경 인자에 영향을 미쳐 물순환 체계의 불안정을 유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35년간 폭우빈도가 2배 증가했으며 계절간 강수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 2008b).
우리나라 생활용수 공급의 대부분을 무엇에 의존하는가? 이와 같은 미래 하천유량 및 수질의 불확실성은 유역환경 변화의 예측을 어렵게 하여 수자원 관리와 공중보건을 보호하기 위해 계획된 국가적 시스템 체계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생활용수 공급의 대부분을 주요 4대강 지표수로부터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표수의 수량, 수질, 공중보건, 생태환경 등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유역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낙동강 수계는 대부분 하천표류수를 직접 취수하여 사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수질오염과 수자원 관리의 취약성이 크기 때문에(안종호 등, 2009), 다변화하는 유역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물이용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주요 4대강 지표수 중 낙동강의 취약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생활용수 공급의 대부분을 주요 4대강 지표수로부터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표수의 수량, 수질, 공중보건, 생태환경 등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유역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낙동강 수계는 대부분 하천표류수를 직접 취수하여 사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수질오염과 수자원 관리의 취약성이 크기 때문에(안종호 등, 2009), 다변화하는 유역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물이용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예상되는 문제들을 앞서 검토하고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시민의 안전과 생태계 보호 그리고 지속가능한 수자원 확보와 수질관리차원에서 요구되며, 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한 수질보전을 위해서는 유량과 연계한 과학적인 수질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립기상연구소 (2011).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pp. 1-117. 

  2. 박종윤, 박민지, 안소라, 김성준 (2009).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0호, pp. 877-889. 

  3. 손태석, 이상도, 김상단, 신현석 (2010a). "유역기반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하천유량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10호, pp. 865-881. 

  4. 손태석, 임용규, 백명기, 신현석 (2010b).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기온 경향성 및 수온과의 탄성도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6권, 제5호, pp. 822-833. 

  5. 안종호, 이진희, 김호정, 한대호 (2009). 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11, pp. 33-64. 

  6. 안종호, 홍용석, 강형식, 김호정, 한대호, 장재호, 서동일, 박윤희 (2010). "기후변화 대응 수질제어 및 관리방안 ( I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총서 10-02-97(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19, pp. 112-132. 

  7. 안종호, 장재호, 강형식, 한대호, 정선희, 이진희, 김진희, 김영오(201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질제어 및 관리 방안(II)."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 총서 11-02-85(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13, pp. 1-202. 

  8. 양해근(2007).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물수지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2권, 제3호, pp. 405-420. 

  9. 이동규 (2008).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기후와 유출량의 변화." 대한설비공학회지, 대한설비공학회, 제37권, 제1호, pp. 8-12. 

  10. 이아연, 김상단 (2011). "낙동강 유역 환경유량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7권, 제3호, pp. 273-285. 

  11. 이정호, 전성우, 이명진, 홍현정 (2010). 기후변화 연동 4대강 유역 지하수 함양량 예측 및 이용 가능량 산정 II."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총서 10-02-97(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18, pp. 1-149. 

  12. 장재호, 안종호 (2012). "낙동강 유역의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모델링 적용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8권, 제3호, pp. 409-417. 

  13. 정일원, 이병주, 전태현, 배덕효 (2008). "유출모형이 기후 변화 수자원 영향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9호, pp. 907-917. 

  14. 정제호, 김동일, 최현구, 한건연 (2011).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댐유역의 장기 수질변화 예측."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제20권, 제2호, pp. 107-121. 

  15. 최대규, 김문성, 김남원, 김상단 (2009). "CGCM 미래기후 정보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병성천 유역 수문 및 수질반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1호, pp. 921-931. 

  16. 한수희, 유가영, 김상단 (2009). "식생 물 부족지수의 추계학적 거동과 기후변화가 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4호, pp. 507-514. 

  17. 환경부 (2006). 국제환경현안 대응 해결기술: 기후변화에 의한 물순환의 예측 및 평가. pp. 1-557. 

  18. 환경부 (2008a). 2007년 상수도 통계연보. pp. 305-395. 

  19. 환경부 (2008b). 수자원.수질 부문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인벤토리 발굴 연구(I). 

  20. ASCE (1993). "ASCE Task Committee on Definition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Irrigation Drainage Engineering, Vol. 119, No. 3, pp. 429-442. 

  21. Bouraoui, F., Grizzetti, B., Granlund, K., Rekolainen, S., and Bidoglio, G. (2004).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ater cycle and nutrient losses in a Finnish catchment." Climate Change, Vol. 66, pp. 109-126. 

  22. Donigian, Jr., A.S.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Slide #L19-22,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10-14 January, 2000, Presented and prepared for U.S. EPA, Office of Water,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23. Kim, B.S., Kim, H.S., Seoh, B.H., and Kim, N.W. (2007).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in Youndam Dam Basin, Korea." Stochastic Environment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1, pp. 355-373. 

  24. Komatsu, E., Fukushima, T., and Harasawa, H. (2007). "A modeling approach to forecast the effect of longterm climate change on lake water quality." Ecological Modeling, Vol. 209, pp. 351-366. 

  25. Michael, A., Schmidt, J., Enke, W., Deutschlander, T., and Malitz, G. (2005). "Impact of expected increase in precipitation intensities on soil loss results of comparative model simulations." Catena, Vol. 61, pp. 155-164. 

  26.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27. Nearing, M.A., Jetten, V., Baffaut, C., Cerdan, O., Couturier, A., Hernandez, M., Le Bissonnais, Y., Nichols, M.H., Nunes, J.P., and Renschler, C.S. (2005). "Modeling response of soil erosion and runoff to changes in precipitation and cover." Catena, Vol. 61, pp. 131-154. 

  28.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5).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Texa, pp. 1-476. 

  29. Tung, C.P., Lee, T.Y., and Yang, Y.C. (2006). "Modelling climate-change impacts on stream temperature of Formosan landlocked salmon habitat." Hydrological Processes, Vol. 20, pp. 1629-16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