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엉겅퀴의 ITS 영역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특이적 SNP 분자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specific SNP molecular marker from Thistle using DNA sequences of ITS region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45 no.2, 2018년, pp.102 - 109  

이신우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농학.한약자원학부) ,  이수진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농학.한약자원학부) ,  김윤희 (국립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엉겅퀴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다년생의 약용식물이다. 최근 국제적 추세에 따라 자국의 유전자원의 발굴, 보존 등이 강화됨에 따라 인접국가와 국내 자생 엉겅퀴 계통을 판별 할 수 있는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분자생물학적 판별 기술의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종과 해외 유래 엉겅퀴종의 기원을 판별하기 위해 핵의 리보솜에 존재하는 ITS 유전자단편에서 SNP를 이용한 판별 프라이머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보완하여 보다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ARMS-PCR 및 HRM 기술을 이용한 판별 마커와 그 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국내 종 특이적 프라이머들을 이용한 정량적 PCR 분석방법을 이용해 두 가지 종의 genomic DNA의 혼합 여부를 판별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SNP 마커는 다양한 지역 또는 국가에서 서식하는 엉겅퀴 종들의 신속한 확인을 위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tle is a perennial plant that is widely used for medicinal purposes. Information on the genetic diversity of thistle populations are great important for their conservation and germ plasmic utilization. Although thistle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species registered in South Korea, no molec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국내 토종 및 해외 계통의 엉겅퀴의 기원을 판별하기 위해 핵에 존재하는 ITS 유전자단편에서 SNP를 이용한 판별 프라이머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보완하여 보다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ARMS-PCR 및 HRM 기술을 이용한 판별마커와 그 조건을 확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엉겅퀴란? 약용식물인 엉겅퀴는 국화과(Asteraseae 또는 Compositae) 식물들 중 날카로운 가시를 가진 식물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며(Haffner et al. 1999; Yoo et al. 2012), 일반적으로 종(species)을 표기할 때에는 Cirsium japonicum 종에 속하는 식물을 엉겅퀴라고 정의한다 (Yoo et al. 2012).
국내 자생 엉겅퀴의 종자껍질 추출물의 효능은? 최근 국내 자생 엉겅퀴(C. japonicum)의 종자껍질 추출물에서 관절염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 유발물질인 prostaglandin E2의 형성을 억제하여 통증을 덜어준다는 결과를 확인한 바 있으며, 이는 종자껍질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염증물질인 apigenin의 역할로 추정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국내의 자생 엉겅퀴와는 속이 다른 Silybum marianum이 있으며 이 식물이 생산하는 sylimarin이라는 물질이 간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된 바 있다 (Thao et al.
단일염기다형성의 차이에 근거한 특정 종을 판별하는 barcoding 기술의 한계는? 최근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 등의 발달로 특정 생물종이 갖는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의 차이에 근거한 특정 종을 판별하는 barcoding 기술 등이 빠르게 발전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비용과 노력 면에서 실용화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현장에서 채취한 수많은 시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SNP를 확인한 후 그 SNP에 이웃하고 있는 2번째 또는 3번째의 염기를 변경하여 mismatch primer를 제작하여 PCR 반응과정에서 특이성을 증대시킨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 (ARMS)-PCR 기술은 정확한 판별 결과를 얻기 위한 매우 중요한 분석 기술이라 할 수 있다(H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e YM (2010) Identification of a Carduus spp. showing antimycobacterial activity by DNA sequence analysis of its ITS1, 5.8S rRNA and ITS2. J Life Sci 20:578-583 

  2. Bae YM (2015) Genetic relationship of some Cirsium plants of Korea. J Life Sci 25:243-248 

  3. Haffner E, Hellwig FH (1999) Phylogeny of the tribe Cardueae (Compositae) with emphasis on the subtribe Carduinae : an analysis based on ITS sequence data. Willdenowia. 29:27-39 

  4. Han EH, Cho KM, Goo YM, Kim MB, Shin YW, Kim YH, Lee SW (2016)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based on chloroplast and ribosomal DNA regions, to discriminate three popular medicinal plant species, Cynanchum wilfordii, Cynanchum auriculatum, and Polygonum multiflorum. Mol Biol Rep 43:323-332 

  5. Moon BC, Lee YM, Ji Y, Choi G, Chun JM, Kim HK (2013) Molecular authentic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plant species for Breeae and Cirsii herba based on DNA barcodes. Kor J Herbol 28:75-84 

  6. Slotta TAB, Foley ME, Chao S, Hufbauer RA, Horvath DP (2010) Assessing genetic diversity of Canada thistle (Cirsium arvense) in North America with microsatellites. Weed Sci 58:387-394 

  7. Slotta TAB, Horvath DP, Foley ME (2012) Phylogeny of Cirsium spp. in North America: host specificity does not follow phylogeny. Plants 1:61-73 

  8. Slotta TAB, Rothhouse JM, Horvath DP, Foley ME (2006) Genetic diversity of Canada thistle (Cirsium arvense) in North Dakota. Weed Sci 54:1080-1085 

  9. Song MJ, Kim H (2007) Taxonomic study on Cirsium Miller (Asteraceae) in Korea based on external morphology. Korean J Plant Taxon 37:17-40 

  10.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2725-2729 

  11. Thao NTP, Cuong TD, Hung TM, Lee JH, Na MK, Son JK, Jung HJ, Fang Z, Woo MH, Choi JS, Min BS (2011),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ioactive flavonoids in some selected Korean thistl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 Res 34:455-461 

  12. Yoo SK, Bae YM (2012) Phylogenetic and chemical analyses of Cirsium pendulum and Cirsium setidens inhabiting. J Life Sci 22:1120-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