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교사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ing Various Factors on Special Teacher's Adoption Intention towards Robot-base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7, 2018년, pp.38 - 48  

김태준 (한국경진학교) ,  이태수 (전남대학교 특수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고, 그 요인들이 특수교사의 수용의도를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623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이중 불성실하게 답변하거나 사용하기 어려운 설문지를 제거하고 총 59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수교사의 로봇 활용교육에 대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혁신의지, 사회적 영향력의 네 가지 이었으며, 특수교사의 수용의도를 예측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이 지각된 용이성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두 요인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특수교사의 수용의도를 잘 설명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could possibly influence special teachers' adoption intention towards robot-based education and to see how well those factors predict special teachers' adoption intention. To do this, questionnaire items were selected and reconstruct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수교육에서 특수교사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로봇활용교육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를 범주화하기 위해 로봇활용교육 전반에 관한 연구와 기술수용모형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탐색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이라 생각되는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해 알아보고, 어떠한 요인이 수용의도를 잘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적응하는 과정이자, 장애학생의 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로봇활용교육을 바라본다면, 로봇활용교육이 특수교육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특수교사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술모형에 근거하여 특수교사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장애학생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로봇활용교육의 개념적 정의에는 로봇을 매개로 하는 로봇기반교육과 로봇을 교육에 활용하는 로봇보조수업을 모두 포괄하여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을 로봇을 교수매체로 하여 교육과 치료에 활용하는 모든 교육적 활동을 포괄하는 것으로 개념화 하였다.
  • 특수교육에서 특수교사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로봇활용교육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를 범주화하기 위해 로봇활용교육 전반에 관한 연구와 기술수용모형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탐색하였다.

가설 설정

  • 기술수용모형은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고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24]. 기술수용모형은 새로운 기술에 관한 사람들의 수용의도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들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의해 매개된다는 가정을 한다[6]. 그 외에 사용자가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기 위해 혁신의지와 사회적 영향력이 중요한 개념이라고 본다[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활용교육의 수용의도와 학습의도에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가? 로봇활용교육에 관한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는 몰입 유도, 상호 작용성, 신기술 적응성, 용이성, 유용성, 혁신성, 주관적 규범, 수용의도라고 하였고[31],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자의 학습 의도에 주관적 규범, 활동 촉진 조건, 시간 감각의 왜곡, 도전/기술의 조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플로우(Flow), 학습 의도가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라 하였다[32].
로봇활용교육의 활용 방향은? 교육 분야에서는 로봇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활동과 학생의 학습효과를 높여주었고,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교수매체이자 학습도구로 로봇을 활용하고 있다[2][3]. 로봇활용교육은 특수교육에 관한 새로운 접근 방향 중에 하나로 고려될 수 있으며, 장애학생의 제한적인 능력을 발현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로봇을 이용한 교육은 신체적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장애학생의 치료와 재활에 많은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4][5].
장애인들에게 4차 산업 혁명의 과학이 주는 기대 효과는? 장애인은 그 동안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사회 참여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물리적 공간, 디지털 공간, 그리고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융합시대에서는 장애인의 삶의 제약이 많은 부분 해소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 중에 하나가 로봇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유은순, 조미라,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592-600, 2018. 

  2. L. Desideri, "Exploring the use of a humanoid robot to engag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Centre for assistive technology paper under review, AAATE Conference 2017, pp.1-8, 2017. 

  3. R. E. Mohan, C. A. A. Calderon, C. Zhou, and P. K. Yue, "Evaluating virtual emotional expression systems for human robot interaction in rehabilitation domain," Paper presented at the Cyberworld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554-560, 2008. 

  4. P. Pennisi, A. Tonacci, G. Tartarisco, L. Billeci, L. Ruta, S. Gangemi, and G. Pioggia, "Autism and social robotics: A systematic review," Autism Research, Vol.9, pp.165-183, 2016. 

  5. P. Standen, D. J. Brown, J. Hedgecock, J. Roscoe, M. G. Trigo, and E. Elgajiji, "Adapting a humanoid robot for use with children with profound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ability, Virtual Reality and Associated Technologies(ICDVRAT 2014), Gothenburg, Sweden, pp.205-211, 2014. 

  6.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7. S. Krishnaswamy, L. Shriber, and G. Srimathveeravalli, "The design and efficacy of a robot­mediated visual motor program for children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30, No.2, pp.121-131, 2014. 

  8. 현은자, 이하원, 연혜민, "언어 사용력 원리를 활용한 유아의 교육용 로봇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532-540, 2012. 

  9. 문금희,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109-117, 2013. 

  10. D. Alimisis, Teacher Education on Robotics-Enhanced Constructivist Pedagogical Methods. School of Pedagogical and Technological Education, ASPETE: Αthens, 2009. 

  11. R. W. Van Horn, Advanced Technology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Videodiscs, Robotics, Optical Memory, Peripherals, New Software Tools, and High-Tech Staff Devel,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1. 

  12. A. Cook, P. Encarnacao, and K. Adams, "Robots: Assistive technologies for play,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22, No.3, pp.127-145, 2010. 

  13. 류근재, 송병섭, 로봇을 이용한 건강장애 학생들의 교육지원 시스템 제안, 한국장애인재활협회부설 재활연구소, 2013. 

  14. M. Begum, R. W. Serna, and H. A. Yanco, "Are robots ready to deliver autism interventions? A comprehens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Vol.8, No.2, pp.157-181, 2016. 

  15. F. Jimenez, T. Yoshikawa, T. Furuhashi, M. Kanoh, and T. Nakamura, "Collaborative learning between robots and children with potential symptoms of a developmental disability," 2017 IEEE symposium series on, pp.3463-3470, 2017. 

  16. D. J. Ricks and M. B. Colton, "Trends and considerations in robot-assisted autism therapy. Robotics and Automa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pp.4354-4359, 2010. 

  17. Daniela Conti, Santo Di Nuovo, Serafino Buono, and Alessandro Di Nuovo, "Robots in Education and Car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tudy on Acceptance by Experienced and Future Professio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Vol.9, No.1, pp.51-62, 2017. 

  18. 장길수, "지체 장애 학생들의 친구, 분신 로봇 '오리히메'," 로봇신문, 2016.11.01. 

  19. 이주훈, "아픈 아이 대신 학교 가는 로봇, 심리치료 효과까지," MBC 뉴스데스크, 2016.10.22. 

  20. 김진희, 김수진, 이효신, 신윤희, 박채진, 강정배, 김창걸, "또래 로봇을 활용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학회지, 제30권, 제2호, pp.58-90, 2014. 

  21. 배민정,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2. 한보연, 휴머노이드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이야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구문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3. 신윤희, 진미영, 조정민, 서경희, "자폐스펙트럼 유.아동의 로봇인식 과정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4호, pp.413-435, 2011. 

  24.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25. 오상현, 김상현, "인터넷뱅킹 이용 요인간 구조적 관계 : 기술수용모형(TAM)의 확장을 중심으로," 아시아마케팅저널, 제21권, 제1호, pp.1-27, 2006. 

  26. J. Woelfel, "Attitude and non hierarchical slusters in neural Inetworks," In G. A. Barnnet and J. J. Boster(Eds.),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13, Greenwich, CT: Ablex Publishing Corp., pp.213-227, 1995. 

  27. 정한호, "원격연수에 대한 교사의 지속적인 수강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평생학습사회, 제10권, 제2호, pp.229-262, 2014. 

  28. M. Koufaris and W. Hampton-Sosa, "The development if initial trust in an online company by new customer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1, pp.377-397, 2004. 

  29. T. Teo, "A Path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 computer use: applying and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educational context," Interactive Learning Enviroments, Vol.18, No.1, pp.65-79, 2010. 

  30. 이태환, 서창교, "학습자의 자발적인 이러닝 수용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53권, pp.301-328, 2009. 

  31. 김미량, 조혜경, 한정혜, 한광현,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 요인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427-449, 2009. 

  32. 신승용, 김미량,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자의 학습의도 구조 모형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14권, 제2호, pp.61-73, 2011. 

  33. 오준석, 조혜경, "멀티모달 상호 작용 중심의 로봇기반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r-러닝 시스템 사용의도 분석,"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0권, 제6호, pp.619-624, 2014. 

  34. C. Murphy, "Effective use of ICT by student teachers-is it improving?,"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00, pp.1656-1661, 2000. 

  35. 신민아,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