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생산 환경에 따른 방송 보도의 선정성 네트워크 분석·프레임 분석 : 유명인에 대한 미투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Network Analysis and Frame Analysis on the Sensationalism of News Coverage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News Production Environment : based on the #metoo movement of celebr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7, 2018년, pp.103 - 119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계층모델을 토대로 뉴스생산 환경에 따라 미투 운동 보도의 선정성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해 뉴스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실시했다. 유명인에 대해 지상파보다 종편 뉴스의 선정성이 더 높았다. 지상파는 사건 중심으로 보도를 한 반면 종편은 피해 상황, 피해자의 심경, 가해자가 한 말이나 행동 등 성폭행 상황을 자세하게 묘사하고 안희정 전 지사에 대한 비난, 주변인 인터뷰를 통해 더 선정적으로 보도했다. 미투 운동 보도에서 방송은 가해자 중심으로 보도했다. 사건의 이름과 헤드라인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는데 가해자인 안 전 지사가 '합의에 의한 관계'였다고 언급한 '합의 관계 프레임'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안 지사에 대한 '가해자 비난 프레임'도 있었다. 미투 운동 보도에서 방송은 폭로 저널리즘의 전형을 보여줬으며 미투 운동의 사회적 의미나 권력 관계를 중심으로 사건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 보도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연구를 통해 방송의 선정성 문제는 기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미디어 관행, 조직적 차원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news coverage on the sex crimes and analyzed news by network analysis and frame analysis based on the layered model to compare news coverage on the celebrity. As a result, in case of celebrity the broadcasting focused more and the tone of news is more sensational. The news in gr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자가 뉴스를 보도할 때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터크만이 ‘뉴스는 구성된 현실(a constructed reality)’ 이라고 한 것처럼 기자가 뉴스를 보도할 때에는 기자의 개인적인 요인, 조직적 요인, 미디어 관행, 사회·문화적인 환경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8]. 뉴스가치는 미디어 관행 측면에서 이야기를 말할만한 가치가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 극적이고, 비정상적인 것이나 흥미로운 주제가 뉴스가치의 기준이 될 수 있다[6].
미디어 관행은 무엇인가? 미디어 관행은 뉴스 조직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뉴스가치, 출입처 제도, 게이트 키핑, 특파원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성범죄 사건을 뉴스가치의 관점에서 보려고 한다.
성범죄 보도가 가지고 있는 독자의 주목을 끌만한 요소는 무엇인가? 성범죄 보도는 독자의 주목을 끌만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뉴스가치가 높다. 성과 폭력이 결합되었기 때문이다. 성범죄 피해자가 어리거나 나이가 많을 때에는 언론의 주목도가 높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2017. 

  2. M. E. Grabe, S. Zhou, and B. Barnett, "Explocating Sensationalism in Television News: Content and the Bless and Wistles of Form,"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ic Media, Vol.45, No.4, pp.635-654, 2001.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Shuhua_Zhou2/publication/249025488_Explicating_Sensationalism_in_Television_News_Content_and_the_Bells_and_Whistles_of_Form/links/54aedd160cf21670b3587480/Explicating-Sensationalism-in-Television-News-Content-and-the-Bells-and-Whistles-of-Form.pdf 

  3. '언론중재위, 선정적 제목. 2차 피해 우려 '미투' 보도 시정권고,' 뉴스1, 2018년 4월 2일자. 

  4. T. Serisier, Sex Crimes and the Media. Criminology and Criminal Justice, 2017. http://criminology.oxfordre.com/view/10.1093/acrefore/9780190264079.001.0001/acrefore-9780190264079-e-118 

  5. E. Shoham, "Coverage of the Rape of a "Celebrity Victim" By the Israeli Daily Press,"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Vol.4, No.2, pp.108-117, 2013. 

  6. K. Gilchrist, "NEWSWORTHY" VICTIMS? Exploring differences in Canadian local press coverage of missing/murdered Aboriginal and White women, 2010. http://www.informaworld.com/smpp/content-dball-contenta930958834-frmabslink 

  7. 홍주현,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계(heirarchy)예 따른 매체가시성(media visibility)의 양과 질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520-534, 2017. 

  8.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Second Edition, 1996. https://chinhnghia.com/mediating-the-message.pdf 

  9. C. J. Greer and A. R. Tims, "Sensationalism in science issues :A case study," Journalism Quaterly, Vol.59, No.1, pp.126-131, 1982. 

  10. 강동욱, "언론보도에 따른 범죄피해자의 2차 피해방지를 위한 법제 등의 검토와 그 개선방안," 법학논총, 제32권, 제1호, pp.23-54, 2015. 

  11. M. E. Grabe, S. Zhou, and B. Barnett, Exploring Sensationalism in Television News: Content and the Bless and Wistles of Form.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ic Media, Vol.45, No.4, pp.635-654,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Shuhua_Zhou2/publication/249025488_Explicating_Sensationalism_in_Television_News_Content_and_the_Bells_and_Whistles_of_Form/links/54aedd160cf21670b3587480/Explicating-ensationalism-in-Television-News-Content-and-the-Bells-and-Whistles-of-Form.pdf 

  12. L. Ducat, S. Thomas, and W. Blood, Sensationalizing sex offenders and sexual recidivism: Impact of the Serious Sex Offender Monitoring Act 2005 on media reportage. Australian Psychologist, Vol.44, No.3, 2011. https://doi.org/10.1080/00050060903127499 

  13. M. Davis, Sensationalism In Journalism, 2017. http://affinitymagazine.us/2017/03/15/s 

  14. B. A. Monahan, The Shock of the News: Media Coverage and the Making of 9/11. New York University Press: New York and London, 2010. 

  15. R. Urbe and B. Gunter, "Are 'Sensational' News Stories More Likely to Trigger Viewers' Emotions than Non-Sensational News Stories? A Content Analysis of British TV News,"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2, No.2, pp.207-228, 2007. 

  16. 김세중, 정용국, "TV 뉴스의 선정성이 정서, 기억, 뉴스 평가 및 갈등 지각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제9권, 제3호, pp.253-280, 2014. 

  17. C. J. Glynn and A. R. Tims, "Sensationalism in science issues :A case study," Journalism Quaterly, Vol.59, No.1, pp.126-131, 1982. 

  18. C. R. Hofstetter and D. M. Dozier, Useful News, Sensational News: Quality, Sensationalism and LOCAL TV New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pp.815-853, 1986. http://journals.sagepub.com/doi/pdf/10.1177/107769908606300421 

  19. W. Atteveldt, Semantic Network Analysis. BookSurge Publishers:Charleston SC., 2008.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711.5765&reprep1&typepdf 

  20. M. Dekvalla, Issue and game frames in the news: Frame-building factors in television coverage of the 2014 Scottish independence referendum. Journalism, pp.1-20, 2016. http://journals.sagepub.com/doi/pdf/10.1177/1464884916674231 

  21. Y. Jewkes, Media and Crime, London: SAGE, 2015. 

  22. M. A. Winkleby, D. E. Jatulis, E. Frank, and S. P. Fortman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how education, income, and occupation contribute to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199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694190/pdf/amjph00543-0042.pdfensationalismin-journalism/ 

  23. R. H. Kapadia, "Level of awareness about knowledge, belief and practice of brain based learning of school teachers in Greater Mumbai region,"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23, pp.97-105, 2014. https://s3.amazonaws.com/academia.edu.documents/35584096/Procedia_copy.pdf?AWSAccessKeyIdAKIAIWOWYYGZ2Y53UL3A&Expires1523161735&SignatureFGHTwTtluB0Bfb8Amn09OdiNzBE%3D&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20filename%3DLevel_of_Awareness_about_Knowledge_Belie.pdf 

  24. N. O. Atulomah, M. F. Olanrewaju, A. M. Amosu and O. Adedeji, Level of Awareness, Perception and Screening Behavior Regarding Prostate Cancer Among Men in a Rural Community of Ikenne Local Government Area, Nigeria 2010. 

  25. J. L. Knight, T. A. Guiliano, and M. G. Sanchez-Ross, Famous or infamous? The influence of celebrity status and race on perceptions of responsibility for rap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3, No.3, pp.183-190, 2010. 

  26. M. Deuze, "The web and its journalism: considering the consequence of different types of news media online," new media & society, Vol.5, No.2, pp.203-230,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