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 프레임과 개인 프레임이 신문기사의 해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dia and Personal Frames on Interpreting Newspaper Articl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299 - 312  

전미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정태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디어 프레임개인 프레임이 신문 기사에 대한 독자의 태도와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1에서는 한국의 2008년 촛불시위 기사 그리고 연구 2에서는 한국 정부의 4대강 사업 기사에 대한 프레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이슈에 대하여 3(미디어 프레임: 호의적 vs. 비호의적 vs. 중립적 헤드라인) × 3(개인 프레임: 호의적 vs. 비호의적 vs. 중립적 신문사) 집단 간 실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두 연구에서 각 이슈에 대한 언론사의 지각된 태도에 미디어 프레임과 개인 프레임의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지만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기사의 지각된 공정성에서는 개인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반면, 미디어 프레임의 효과나 두 프레임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사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공정성 지각이 기사 내용 뿐 아니라 기사의 출처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또한 텍스트 이외에도 헤드라인으로 조작한 미디어 프레임의 효과 역시 재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edia and personal frames on readers' attitude towards newspaper articles and on their perceived fairness. Study 1 examined the frame effects with the issue of the Candlelit Protest in 2008 and Study 2 did with the issue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주제어

표/그림 (1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사회에서 시민들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이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곳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시민들은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이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언론을 이용한다[1]. 언론이 제공하는 간접 경험은 언론이 사용하는 렌즈에 따라 굴절된 형태로 청중(audience), 즉 수용자들에게 지각된다.
미디어 프레임 효과란 무엇인가? 미디어 프레임 효과는 미디어가 이슈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방식이 그 이슈를 접하는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이다. 보통 언론인은 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건의 특정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프레임을 생성한다[5].
언론이 제공하는 간접 경험은 왜 수용자들에게 굴절된 형태로 지각되는가? 언론이 제공하는 간접 경험은 언론이 사용하는 렌즈에 따라 굴절된 형태로 청중(audience), 즉 수용자들에게 지각된다. 왜냐하면 언론은 거울처럼 단순히 그 사건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능동적으로 구성해서 수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이다. 언론이 가진 렌즈의 효과, 즉 미디어 효과는 언론이 수용자에게 특정 사건을 어떻게 소개하는지에 따라 그 사건에 대한 수용자들의 이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명해준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W. Lippmann, Public opinion,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tch, 1922. 

  2. Jill, A, Edy and Patrick C. Meirick, "Wanted, dead or alive: Media frames, frame adoption, and support for the war in Afghanist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7, No.1, pp.119-141, 2007. 

  3. D. M. McLeod and B. H. Detenber, "Framing Effects of Television News Coverage of Social Protest," Th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9, No.3, pp.3-23, 1999. 

  4. D. Chong and J. N. Druckman, "Framing Theory,"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10, No.1, pp.103-126, 2007. 

  5. J. N. Druckman, "The Implications of Framing Effects for Citizen Competence," Political Behavior, Vol.23, No.3, pp.225-256, 2001. 

  6. T. E. Nelson, Z. M. Oxley, and R. A. Clawson, "Toward a Psychology of Framing Effects," Political Behavior, Vol.19, No.3, pp.221-246, 1997. 

  7. D. R. Kinder and L. M. Sanders, "Mimicking Political Debate with Survey Questions: The Case of White Opinion on Affirmative Action for Blacks," Social Cognition, Vol.8, No.1, pp.73-103, 1990. 

  8. J. M. Miller and J. A. Krosnick, "News media impact on the ingredients of presidential evaluations: Politically knowledgeable citizens are guided by a trusted source,"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44, pp.295-309, 2000. 

  9. S. E. Morgan, T. R. Harrison, S. D. Long, W. A. Afifi, M. S. Stephenson, and T. Reichert, "Family Discussions about Organ Donation: How the Media Influences Opinions about Donation Decisions," Clinical Transplantation, Vol.19, No.5, pp.674-82, 2005. 

  10. D. A. Scheufele and D. Tewksbury, "Framing, Agenda Setting, and Priming: The Evolution of Three Media Effects Model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7, No.1, pp.9-20, 2007. 

  11. B. C. Andrew, "Media-Generated Shortcuts: Do Newspaper Headlines Present Another Roadblock for Low-Information Rationality?,"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Vol.12, No.2, pp.24-43, 2007. 

  12. L. Wu, M. H. Winkler, M. Andreatta, G. Hajcak, and P. Pauli, "Appraisal frames of pleasant and unpleasant pictures alter emotional responses as reflected in self-report and facial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Vol.85, No.2, pp.224-229, 2012. 

  13. 김윤경, 김지현, 김영석, "성폭력 뉴스 프레임이 개인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개별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pp.245-271, 2013. 

  14. D. Kahneman and A. Tversky,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Daniel," Econometrica, Vol.47, No.2, pp.263-292, 1979. 

  15. L. M. McGregor, E. Ferguson, and R. E. O'Carroll, "Living Organ Donation: The Effect of Message Frame on an Altruistic Behaviour,"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7, No.6, pp.821-832, 2011. 

  16. R. Entman, "Framing: Toward a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No.3, pp.51-58, 1993. 

  17. C. J. W. Ledford, "Contending Mediated Risk Messages: A Grounded Theory of the Physician-Patient Discussion of a Prescription Medication's Changing Risk,"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83, No.1, pp.14-21, 2011 

  18. C. M. Condit, A. Ferguson, R. Kassel, C. Thadhani, H. C. Gooding, and R. Parrott,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mpact of News Headlines on Genetic Determinism," cience Communication, Vol.22, No.4, pp.379-395, 2001. 

  19. W. A. Gamson and A. Modigliani, "Media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on Nuclear Power: A Constructionist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5, No.1, pp.1-37, 1989. 

  20. E. Plutzer, A. Maney, and R. E. O'Connor, "Ideology and Elites' Perceptions of the Safety of New Technologies,"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Vol.42, No.1, pp.190-209, 1998. 

  21. P. R. Brewer, "Value Words and Lizard Brains: Do Citizens Deliberate about Appeals to Their Core Values?," Political Psychology, Vol.22, No.1, pp.45-64, 2001. 

  22. C. Z. Ramirez and M. Verkuyten, "Values, Media Framing, and Political Tolerance for Extremist Group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41, No.7, pp.1583-1602, 2011. 

  23. M. B. Brewer, "A dual process model of impression formation," TK Srull, RS Wyer, Jr., eds. Advances in Social Cognition, Vol.1, pp.177-183, 1988. 

  24. S. T. Fiske and S. L. Neuberg, "A continuum of impression formation, from category-based to individuating processes: Influences of information and motivation on attention and interpretation,"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3, pp.1-74,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90. 

  25. P. G. Devine, "Stereotypes and Prejudices: Their Automatic and Controlled Compon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6, No.1, pp.5-18, 1989. 

  26. M. H. Lin, V. S. Kwan, A. Cheung, and S. T. Fiske, "Stereotype content model explains prejudice for an envied outgroup: Scale of anti-Asian American stereotyp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31, No.1, pp.34-47, 2005. 

  27. 이혜미, 김혜영, 유승호, "국내 언론매체의 이념성향과 뉴스구성에 대한 연구: 미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 관련 보도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180-191, 2016. 

  28. 채영길, 장시연,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주요 언론보도 경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446-458, 2018. 

  29. 김성용, 오세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론의 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221-230, 2016. 

  30. 이완수, 손영준, "북한 핵실험 이슈에 대한 언론의 의제구성,"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56호, pp.175-93, 2011. 

  31. R. Lawson, "Consumer knowledge structures: Networks and frames," I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5, pp.334-340,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998. 

  32. K. Hallahan, "Seven Models of Framing: Implications for Public Rel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toremediation, Vol.21, No.1, pp.205-242, 1999. 

  33. 유홍식, "기사제목과 예시가 수용자의 뉴스가치 평가와 이슈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5호, pp.176-198, 2009. 

  34.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2호, pp.5-32, 2005. 

  35. D. P. Haider-Markel and M. R. Joslyn, "Gun Policy, Opinion, Tragedy, and Blame Attribution," Journal of Politics, Vol.63, No.2, pp.520-543, 2001. 

  36. 문종대, 안차수, 진현승, 안순태, "언론 수용자의 공정성 개념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38호, pp.183-210, 2007. 

  37. 김미경, 이은지, "사전지식과 뉴스 프레임이 공중의 태도와 소셜 미디어 의견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드 이슈를 중심으로 -,"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 47호, pp.47-87, 2018. 

  38. 김성애, 이종혁, "뉴스 프레임과 수용자 스키마 일치가 프레이밍 효과에 미치는 영향 : 남북한 대학생 비교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103-127, 2011. 

  39. F. Shen and H. H. Edwards, "Economic Individualism, Humanitarianism, and Welfare Reform: A Value-Based Account of Framing Eff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5, No.4, pp.795-809, 2005. 

  40. 배선영, 이봉규, 이상우, "언론 수용자의 공정성 평가가 매체 이용에 미친 영향 분석," 방송통신연구, 봄호, pp.87-116, 2010. 

  41. 안차수, "언론소비자가 갖는 이슈에 대한 태도가 언론의 공정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46호, pp.323-353, 2009. 

  42. H. Mcclosky and C. A Bann, "On the Reappraisal of the Classical Conservatism Scale," Society for Political Methodology, Vol.6, No.2, pp.149-172, 1979. 

  43. L. Mannetti, A. Brizi, M. Giacomantonio, and T. Higgins, "Framing Political Messages to Fit the Audience's Regulatory Orientation: How to Improve the Efficacy of the Same Message Content," PLoS ONE, Vol.8, No.10, pp.1-10, 2013. 

  44. N. A. Valentino, M. N. Beckmann, and T. A. Buhr, "A Spiral of Cynicism for Some: The Contingent Effects of Campaign News Frames on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Government," Political Communication, Vol.18, No.4, pp.347-367, 2001. 

  45. 임양준, "미국산 수입쇠고기와 촛불시위 보도에 나타난 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6호, pp.108-147, 2009. 

  46. 김정아, 채백, "언론의 정치 성향과 프레임,"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1호, pp.232-267, 2008. 

  47. 최현주,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399-426,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