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염병 위기관리를 위한 긴급대응체계 구축
Building a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he Infectious Diseases Crisis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7, 2018년, pp.484 - 494  

변성수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  신우리 (한국지방자치경영연구소) ,  조성 (충남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중동지역에서 발생한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는 주요 발병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하고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힌 급성 호흡기 감염병이다. 메르스 사태는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국민적 불안감과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감염병 위기관리 체계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정부의 메르스 확산에 대한 대응능력의 한계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미흡 등은 정부의 감염병 위기관리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저하시켰으며, 감염병으로 인해 국가의 방역망 체계가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감염병 긴급대응체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감염병 위기관리 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정부의 메르스 대응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국 CDC의 EOC 조직 구성 및 역할과 IMS 등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which occurred in the Middle East in 2015, is the most acut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in Korea. The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s ability to respond to the spread of MERS and the inadequate communication of the government to the public have reduc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는 전반적인 감염병 위기대응체계에 대해 제도적ㆍ구조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전반적인 위기대응체계보다 감염병 발생 초기의 초동대응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는 감염병 위기가 갖는 특수성으로, 초동대응의 성패가 감염병 위기 피해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감염병 긴급대응체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감염병 위기관리 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정부의 메르스 대응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감염병 위기관리기관과 CDC의 조직 구성 및 역할을 분석한다.
  • 배재현(2016)은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서 국가재난대응체제의 대응과정을 분석하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의 2원적 재난대응체제와 재난규모에 따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의 권한이양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국가재난대응체계 개선을 위하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의 지휘체계 통합 및 단위 지휘체계 구축,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체계에 따른 재난대응체계 확립, 재난 관련 매뉴얼 및 지침 개선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5].
  • 이 연구는 신종감염 대유행시 학교 내 대응 인력에 대한 역량 강화를 위해 적절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체계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4].
  • 이 연구는 정부간 정보의 공유와 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감염병 관리의 성과가 미흡함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신속·원활한 정보체계의 구축, 빅데이터 관리를 통한 표준화 매뉴얼 제작 및 피드백에 의한 관리되는 리더십을 제안하였다[9].
  • 권혁빈(2017)은 “미국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극복 사례가 우리나라 메르스 사태에 주는 교훈”에서 정부 간·조직간 협업과 정보공유를 중심으로 국가위기 관리 및 감염병 대응체계에 대한 함의점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함의점으로 컨트롤 타워의 역할, 정보 공유 및 공개의 중요성, 기존 시스템과 사회네트워크의 활용, 지속가능한 정부간 협업 등을 제시하였다[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염병이란 무엇인가? 감염병은 사람과 동물에 침투한 병원체가 장기에 증식하여 발생하는 감염질병으로, 병원체 또는 독성물질에 감염된 사람, 동물, 기타 병원소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되는 질환이다. 또한 전염병은 사람과 동물에게서 발현하는 질병 중에서 사람과 사람 또는 사람과 동물 사이에서 직간접적으로 전파되는 질병이다.
메르스 사태로 인해 초래된 결과는 무엇인가? 메르스 사태는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국민적 불안감과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감염병 위기관리 체계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주었다[3]. 정부의 메르스 확산에 대한 대응능력의 한계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미흡 등은 정부의 감염병 위기관리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저하시켰으며, 감염병으로 인해 국가의 방역망 체계가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4].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구분하는 감염병은 각각 무엇을 말하는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감염병을 크게 제1군감염병, 제2군감염병, 제3군감염병, 제4군감 염병, 제5군감염병, 지정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제1군 감염병은 마시는 물 또는 식품을 매개로 발생하고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는 감염병이다. 제2군감염병은 예방접종을 통하여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하여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이 되는 감염병을 말한다. 제3군감염병은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계속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감염병이다. 제4군감염병은 국내에서 새롭게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감염병 또는 국내 유입이 우려되는 해외 유행 감염병과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히 예방·관리가 필요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감염병 등이 있다. 제5군감염병이란 기생충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서 정기적인 조사를 통한 감시가 필요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감염병을 말한다. 또한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히 예방·관리가 필요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정감염병이란 제1군감염병 부터 제5군감염병까지의 감염병 외에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감염병을 말하며,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은 세계보건기구가 국제공중보건의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하여 감시대상으로 정한 질환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감염병이다. 생물테러감염병은 고의 또는 테러 등을 목적으로 이용된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된 감염병 중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감염병이며, 성매개감염병은 성 접촉을 통하여 전파되는 감염병 중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감염병이다. 인수공통감염병이란 동물과 사람 간에 서로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감염병 중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감염병이며, 의료관련감염병은 환자나 임산부 등이 의료행위를 적용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감염병으로서 감시활동이 필요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감염병을 말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정윤지, 최선, "정부의 안보의식과 위기관리 시스템: 사스(SARA)와 메르스(MERS) 사태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제20권, 제2호, pp.133-157, 2017. 

  2. 보건복지부, 2015 메르스 백서: 메르스로부터 교훈을 얻다!, 보건복지부, 2016. 

  3. 김기흥, "국제표준화의 불확실성과 메르스사태," 환경사회학연구, 제20권, 제1호, pp.317-351, 2016. 

  4. 장병연, "신종감염병 대유행시 국가위기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학교감염예방활동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제25권, 제3호, pp.69-89, 2017. 

  5. 배재현,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제11권, 제3호, pp.27-53, 2016. 

  6.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3393, 환경일보, 2018.4.22. 

  7. 이평수, "메르스 사태로 본 감염병 방역에 대한 민?관 협력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행정, 제743권, pp.26-39, 2015. 

  8. 박진아, 국제법상 전염병 통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 조숙정, "감염병 행정의 현상진단과 개선방안: 정보프로세스관점에서," 국정관리연구, 제11권, 제2호, pp.77-108, 2016. 

  10.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5534호, 2018.3.27. 일부개정, 시행 2018.3.27. 

  11. 서경화, 이정찬, 김계현, 이얼, "감염병 발생시 우리나라의 위기관리체계에 관한 고찰," 국가정책연구, 제29권, 제4호, pp.219-242, 2015. 

  12. 정은경, "국가 감염병 공중보건위기 대비와 대응 체계," 대한의사협회지, 제60권, 제4호, pp.296-299, 2017. 

  13. 식품의약품안전처, 감염병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14. 박미정, 이종구, "메르스 대응조치에 나타난 법률의 문제점 고찰과 개선방안,"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91-209, 2015. 

  15. 권혁빈, "미국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극복 사례가 우리나라 메르스 사태에 주는 교훈: 조직간 협업과 정보공유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52호, pp.143-162, 2017. 

  16. 김병섭, 김정인, "위험사외와 관료책임: 세월호와 메르스 사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6권, 제4호, pp.379-407, 2016. 

  17. 이다은, 국내외 감염병 대비대응 동향, 보건의료 R&D 전문가 리포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 

  18. 이종구, "해외의 방역체계 사례," 계간감사, 제130호, pp.40-47, 2016. 

  19. 김현주, "국외 감염병 대응체계 사례," 지방행정, 제64권, 제743호, pp.30-33, 2015. 

  20. FEMA,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Third Edition, FEMA, 2017. 

  21.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김대중, 정진욱, 김정선, 김동진, 송은솔, 최성은, 김대은, 최지희, 감염병 관리체계의 문제와 개선방안: 메르스 감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2. https://www.cdc.gov/phpr/eoc.htm, CDC, 2018. 4.22. 

  23. H. A. Williams, R. L. Dunville, S. I. Gerber, D. D. Erdman, N. Pesik, D. Kuhar, K. A. Mason, L. Haynes, L. Rotz, J. St Pierre, S. Poser, S. Bunga, M. A. Pallansch, and D. L. Swerdlow, "CDC's Early Response to a Novel Viral Diseas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September 2012- May 2014," Public Health Reports, Vol.130, pp.307-317, 2015. 

  24. Sivan Kohn, Daniel J. Barnett, Costanza Galastri, Natalie L. Semon, and Jonathan M. Links, "Public Health-Specific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Trainings: Building a System for Preparedness", Public Health Reports, Vol.125, pp.43-50, 2015. 

  25. Satish K. Pillai, Tolbert Nyenswah, Edward Rouse, M. Allison Arwady, Joseph D. Forrester, Jennifer C. Hunter, Almea Matanock, Patrick Ayscue, Benjamin Monroe, Ilana J. Schafer, Luis Poblano, John Neatherlin, Joel M. Montgomery, and Kevin M. De Cock, "Developing an Incident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Ebola Response Liberia, July-August 2014,"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Vol.63, No.41, pp.930-933, 2014. 

  26. Min Xu and Shi-Xue Li, "Analysis of Good Practice of Public Health Emergency Operatons Centers,"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Vol.8, No.8, pp.677-682, 2015. 

  27. 보건복지부, 2015 메르스 백서: 메르스로부터 교훈을 얻다!, 보건복지부, 2016. 

  28. 신민철, 안호선, "메르스 감사를 통해 본 국가방역체계," 계간감사, 제130호, pp.34-39, 2016. 

  29. 최슬기, 김나영,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한 감염병 방역실태 조사분석, 감사원 감사연구원, 2016 

  30. 이진환, "선진 외국의 질병관리시스템 어떻게 운영되는가?," 계간 의료정책포럼, 제13권, 제3호, pp.11-16,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