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변병진단체계(辨病診斷體系)에 근거하여 계지탕(桂枝湯)을 투여한 증례 2례
Two Case Reports treated with Gyeji-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원문보기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v.10 no.1, 2018년, pp.69 - 80  

김남곤 (상북한의원) ,  허주 (백사면 보건지소) ,  이성준 (정인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Patients complaining of dizziness and olfactory hallucination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with the Shanghanlu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were analyzed to report cases. Methods : This is a case report on a patient who has been suffering from Dizziness andolfac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傷寒論』의 서술 체계에 따라 진단하고 42번 桂枝湯 조문 해석의 가설을 세워 이에 근거하여 치료한 2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桂枝湯을 外感과 관계없는 질환에 적용되었으므로 이를 밝혀 桂枝湯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傷寒論』15字行가 설문해자가 근간이 되는 후한시대의 한자해석과는 상이한 견해를 가질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보는 근거는? 『傷寒論』康平本을 발견한 대총경절(大塚敬節)14)은 그의 저서 『臨床應用 傷寒論 解說』에서 “1941년 간행된 <동양의학사 에', '>에')">>에서 나는 傷寒論의 성립과 그 지리적 배경이라는 條에서 ‘서문은 중경이 쓴 것이고 본문은 戰國時代 사람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중경이 그것을 집성했다고 한다면 …(중략)이것에 관해서 나는 일찍이 그 누구도 생각하지 않았던 다음과 같은 사견을 발표했다.”라고 하여 『傷寒論』15字行은 전국시대에 쓰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따라서『傷寒論』15字行은 설문해자가 근간이 되는 후한시대의 한자해석과는 상이한 견해를 가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傷寒論은 무슨 서적인가요? 『傷寒論』은 『黃帝內經』과 더불어 한의학 고전 중 가장 오래된 임상 서적으로서, 이후에 나온 많은 서적들은 이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에 기술된 처방들은 후세의 수많은 방제들의 기원이 되고 있다1). 또한 현재까지도 다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한의학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傷寒論』의 조문은 어떻게 해석되었는가? 『傷寒論』의 조문은 단순히 질병에 걸린 환자의 몸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후의 모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傷寒論』에 대한 임상모델을 제시한 연구6)7)는 『傷寒論』을 질병과 관련이 있는 증상에 대한 원인을 기술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밝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