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데르발스 2차원 반도체소자의 응용과 이슈
Trend and Issues of van der Waals 2D Semiconductor Devices 원문보기

진공 이야기 = Vacuum magazine, v.5 no.2, 2018년, pp.18 - 22  

임성일 (반데르발스 물질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 dimensional (2D) van der Waals (vdW) nanosheet semiconductors have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because of their potentials as active device materials toward future nano-electronics and -optoelectronics. This review mainly focuses on the features and applications of state-of...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다음에서는 반데르발스 물질을 적용한 전자소자와 광소자, 그리고 신개념의 전자/광소자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 그리고 소자제작에서의 미해결 이슈들에 대하여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각종 반데르발스 2차원 물질을 적용한 소자들을 살펴본다면 크게는 전자소자와 광소자로 대 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에서는 반데르발스 물질을 적용한 전자소자와 광소자, 그리고 신개념의 전자/광소자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 그리고 소자제작에서의 미해결 이슈들에 대하여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FET소자들의 접촉저항 문제이다. 소스 드레인접촉저항은 그래핀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상당히 큰 값을 보여주고 있어 스위칭 소자의 RC delay에 영향을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차원 나노물질들은 어떻게 이루어져있나? 반데르발스 접합으로 이루어진 2차원 나노물질들은 전기 및 광학적으로 다양한 물리적인 현상과 더불어 신소자 활성층으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신 경향을 반영한 2차원 반도체 물질인 MoS2, WSe2, MoTe2, 흑린 등을 통해 다양한 물질 특성이 이미 발표되었으며 대표적인 전자소자로는 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MISFET)의 발표가 가장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강유전비활성 메모리 MISFET, 쇼트키 다이오드, PN 다이오드, CMOS 인버터, 태양광 나노전지 등의 응용소자들도 발표되어왔다.
첨가원소에 의한 PN doping이 정량적으로 가능하면 무엇을 제작하는데 용이한가? 둘째, PN doping의 문제가 있다. 2차원 반도체들은 물론 게이트 전압에 의하여 P에서 N형으로 채널 type이 변화받을 수 있지만, 첨가원소에 의한 PN doping이 정량적으로 가능하여야 PN 다이오드 등의 전자소자와 광전자소자 제작이 용이하다. 이러한 이슈 역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2차원 반데르발스 반도체 연구가 중요한 연구인 이유는? 2차원 반데르발스 반도체 연구는 2차원 원자층에서만 존재하는 심오하고 복잡한 물리현상의 연구뿐만 아니라 전자소자와 재료공학의 입장에서라도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왜냐하면 그간의 전통적인 반도체의 특성에 버금가는 혹은 압도할 수 있는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며 소자제작의 측면에서도 새롭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대표적인 반도체인 Si, GaAs, 외의 epitaxial 화합물 반도체와는 달리 한 개의 원자층으로도 반도체의 특성을 나타내며 표면은 dangling bond를 갖지 않아서 2차원 원자층 한 개로도 고성능 전자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 H. C. Neto, et al. Rev. Mod. Phys. 81, 109 (2009). 

  2. L. Li, et al. Nat. Nanotechnol. 9, 372 (2014). 

  3. B. Radisavljevic et al. Nat. Nanotechnol. 6, 147 (2011). 

  4. C. R. Dean et al. Nat. Nanotechnol. 5, 722 (2010). 

  5. J. S. Kim et al. Nano Lett. 15, 5778 (2015). 

  6. S. H. H. Shokouh et al. Advanced Fuctional Materials 25, 7208 (2015). 

  7. A. Pezeshki et al. ACS Nano 10, 118 (2016). 

  8. A. Pezeshki et al. Advanced Materials 28, 3216 (2016). 

  9. J. Y. Lim et al. Advanced Materials 29, 1701798 (2017). 

  10. H. Wang et al. Nano Lett. 12 (2012) 4674-4680. 

  11. K. Choi et al. Nano Today, 11, 626 (2016). 

  12. H. S. Lee et al. ACS Nano 6, 8312 (2015). 

  13. P. J. Jeon et al. Nano Lett. 16, 1293 (2016). 

  14. K. S. Kim et al. Science 349, 6249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