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의 부재좌굴성능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ember Buckling Performance of Space Frame Structures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2 no.1, 2018년, pp.176 - 182  

강종 (동명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볼접합부를 갖는 원형강관의 좌굴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외 압축재 설계규준과 비교 평가함으로써 부재의 좌굴내력 및 좌굴길이 계수의 안전성과 합리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좌굴성능 평가를 위해 선정된 원형강관은 Ø$48.6{\times}2.8t$와 Ø$60.5{\times}3.2t$ 및 Ø$76.3{\times}3.2t$이다. 국내외 압축재 설계를 위해 우리나라의 하중저항계수 설계법(LRFD), 일본의 한계상태 설계법(LSD) 및 영국의 BS5950 규준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실험결과와 국내외 설계규준과의 좌굴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각국의 압축재 설계규준에서 부재의 전체길이를 좌굴길이로 적용한 결과 실험에 의한 좌굴내력의 64%~89%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현재 설계 규준식에 준하여 부재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실험결과 측정된 좌굴내력은 우리나라, 일본 및 영국의 압축재 설계규준에서 좌굴길이를 순수 원형강관만으로 고려한 좌굴내력 값에 비해 1.02배~1.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 설계에 있어 개별부재 좌굴내력은 절점 간 길이가 아닌 순수 원형강관의 길이로 좌굴계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rationality of buckling strength and length coefficient by comparing with the design standard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ression materials based on the buckling test results of circular steel pipe with ball joints. The types of round st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볼접합부를 갖는 부재의 좌굴성능의 합리적인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좌굴실험의 결과와 우리나라, 일본 및 영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강구조 압축재 설계 규준과 비교하였으며 좌굴내력 및 좌굴길이 계수에 대해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은 입체적인 부재 배치로 인한 강성 증대 및 경량화에 따른 좌굴 발생이 용이하다. 부재 간 결합 방식으로 국내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는 볼, 볼트 및 슬리브를 이용한 볼조인트 접합 방식은 접합부 구성요소가 부재의 좌굴길이 및 좌굴내력에 다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볼접합부를 갖는 원형강관의 좌굴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외 압축재 설계규준과 비교한 결과 부재의 좌굴내력 및 좌굴길이 평가에 대해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공간 구조물 구조 시스템은 사용재료의 구조적 특성과 시스템 구성방식에 따른 구분은? 대공간 구조물의 건립은 건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적 요구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통한 신기술 개발과 새로운 건축 재료의 생산으로 이를 실현시키고 있다. 이러한 대공간 구조물 구조 시스템은 사용재료의 구조적 특성과 시스템 구성방식에 따라 연속체 쉘 구조물(Shell Structures),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Space Frame Structures), 막 구조물(Membrane Structures), 케이블 구조물(Cable Structures) 및 이들 방식이 병용된 복합 구조물(Hybrid Structures)로 구분한다.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은 주로 입체적인 부재 배치 형식으로, 구조물의 강성이 증대되고 이는 부재 단면의 최소화와 경량화로 이어지기에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은? 이 중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입체적인 부재 배치 형식으로 구조물의 강성이 증대되고 이는 부재 단면의 최소화와 경량화로 이어져 구조물에 좌굴(Buckling)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좌굴성상은 구조물 형상, 단부 경계조건, 하중조건 및 형상 초기 부정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다.
구조물에 좌굴(Buckl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이 중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입체적인 부재 배치 형식으로 구조물의 강성이 증대되고 이는 부재 단면의 최소화와 경량화로 이어져 구조물에 좌굴(Buckling)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좌굴성상은 구조물 형상, 단부 경계조건, 하중조건 및 형상 초기 부정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다. 국내 건설현장의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에는 주로 Mero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구조물의 접합부는 볼과 슬리브 및 볼트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10), Recommendation for Limit State Design of Steel Structures ,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21. 

  2.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2008), BS5950-1:2000 Structural use of Steelwork in Building Part 1, BSI, 35-173. 

  3. Kang, J. (2010), A Study on the Flexural Rigidity and Member Buckling of Space Frame with Ball Joints, D. Eng., Keimyung University, 29-61. 

  4. Kang, J. (2012), Evaluation on the Buckling Length of Circular Hollow Steel with Ball Joi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15(1), 5-11. 

  5. Kang, J., Kim, S. E., and Choi, H. S.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igidity of Ball Joint, Journal of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1), 133-142. 

  6.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1), Design of Steel Structures, Goomi Book, Seoul, 128-135. 

  7. Park, C. H., and Han, S. E. (200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Bolt Inserted Ball Joi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1), 65-72. 

  8. Seo, D. J. (2000), A Study on the Inelastic Member Buckling of Space Frame, M. Eng., Keimyung University, 31-44. 

  9. Yang, T. Y. (1986), Finite Element Structural Analysis, 2nd ed., Prentice-Hall, New Jersey, 56-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