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부모가 인지하는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커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Gain and Strain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erceived by Dual-income Parents on Parent's Happin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231 - 238  

이한나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한정원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가 인지하는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에 대한 상호작용 형태를 이해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아동패널(2015) 8차 년도의 본조사와 어머니, 아버지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총 1462쌍의 부모 중 맞벌이를 하는 부모 630쌍이었으며,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은 행복감에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은 어머니의 행복감에 상대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재와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부모를 한 단위로 구성하여 중재와 교육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행복감은 자녀가 성장하거나 시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부모의 행복감의 영향요인의 변화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patterns of dual-income parents' happiness by confirming the effect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recognized by dual-income parents on parenta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30 pairs of dual-income parents ou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 및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에 대한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특히 아동기의 행복감은 성인기와 노년기의 행복감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아동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은 국민의 행복 지수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전략으로 강조되고 있다[2].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부모의 행복감은 아동의 행복감과 직결되는 요인으로, 부모가 행복감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유지하게 되고 바람직한 상호작 용을 하게 됨으로써 아동은 사회적·정서적인 안정감을 통해 행복감이 증가하게 된다[3]. 결국 국민의 행복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부모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3].
부모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중 상향적 요인들은 무엇이며 어떠한 결과를 보여주는가? 부모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상향적 요인들과 하향적 요인들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향적 요인들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로 설명되어지는 외적인 요인들을 의미하며 하향적 요인들은 인간의 심리적 특성및 관계적 변인을 의미한다[4]. 과거에는 소득, 학력, 직업, 종교 등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인인 상향적 요인들이 행복감을 설명하는데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상향적 요인과 행복감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연구[4]에 의하면 상향적 요인들은 선행연구들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어서 인구사회학적인 변인들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비일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한국은 집단주의적 문화가 특징적이기 때문에 하향적인 요인들이 상향적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5].
부모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떻게 구분이 가능한가? 부모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상향적 요인들과 하향적 요인들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향적 요인들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로 설명되어지는 외적인 요인들을 의미하며 하향적 요인들은 인간의 심리적 특성및 관계적 변인을 의미한다[4]. 과거에는 소득, 학력, 직업, 종교 등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인인 상향적 요인들이 행복감을 설명하는데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상향적 요인과 행복감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연구[4]에 의하면 상향적 요인들은 선행연구들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어서 인구사회학적인 변인들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비일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H. Shin, H. S. Choi, "An analysis of trends in studies relating to early childhood happines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4, no. 1, pp. 5-28, 2014. 

  2. S. Y. Lee, C. S. Ryu, "A Study on the happiness of the Korean mothers and Japanese mothers",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vol. 15, no. 3, pp. 303-321, 2016. DOI: http://dx.doi.org/10.21183/kjcm.2016.09.15.3.303 

  3. K. M. Lee, H. K. Yoon, S. Y. Byeon,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happiness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6, no. 2, pp. 497-514, 2016. 

  4. K. S. Chung, E. S. Choi, "The effects of mothers' 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factors on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5, pp. 143-163, 2012. 

  5. J. I. Rie, K. Ryu, "Generation Differences and Impacts on Happiness of Work-family Conflicts in Korean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3, no. 3, pp. 471-501, 2010. 

  6. Statistics Korea, 2017 Work Compatibilit, 2017 [cited 2017 Dec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 bmoderead&aSeq365214. (accessed Jun 04, 2018) 

  7. J. H. Lee, E. H. Lee,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upon Multiple Role Conflicts and Depression within Dual Employed Couple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5, no. 2, pp. 287-303, 2000. 

  8. Y. M. Sohn, C. Y. Park, E. S. Jeon, "Comparative analysis of work-family balance values in Korea, Japan and U.K.: Focused on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21, no. 2, pp. 253-277, 2015. 

  9. S. H. Kim, S. M. Ki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Family Compatibility of Dual-Earner Famili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51, no. 3, pp. 355-370, 2013. DOI: http://dx.doi.org/10.6115/fer.2013.51.3.355 

  10. M. N. Chang, G. H. Han, "Daily life experiences of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The temporal and emotional organization of daily experiences among husbands and wives", Family and Culture, vol. 23, no. 1, pp. 1-39, 2011. 

  11. E. G. Han, S. A. Kim, "A study on fair parental role model of dual earner couples, their expectation for parental nursing capability and real nursing practic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5, no. 2, pp. 37-46, 2007. 

  12. E. M. Park, S. S. Lee, "A study on parenting attitude and happiness of young children's fath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20, no. 2, pp. 239-262, 2016. 

  13. J. W. Kim, J.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9, no. 1, pp. 29-47, 2014. 

  14. E. M. Park, S. S. Lee, "A study on parenting stress and happiness of young children's fath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19, no. 2, pp. 272-294, 2015. 

  15. Y. H. Ahn, S. O. Hong, K. J. Hong, "Relationship of Paternal Participation to Maternal Stress and Happiness in Parents of Disabled Preschooler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96, no. -, pp. 49-78, 2016. 

  16. K. S. Chung, J. K. Park, E. S. Choi, B. S. Seo, H. K. Park, "A study of factors which influence maternal happines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3, no. 1, pp. 153-173, 2013. 

  17. K. S. Chung, S. H. Park, M. S. Yoo, E. S. Choi, "The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Happines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A Child's Age, the Numbers of Children,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34, no. 4, pp. 105-123, 2013. DOI: http://dx.doi.org/10.5723/KJCS.2013.34.4.105 

  18. K. S. Chung, E. S. Choi, "The effects of mothers' 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factors on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5, pp. 143-163, 2012. 

  19. H. O. Lee, Y. H. Kim, "Effects of Mother s Personality, Marital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on Happine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20, no. 3, pp. 162-188, 2016. 

  20. E. M. Yeon, H. S. Choi.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eature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10, no. 6, pp. 81-100, 2014. DOI: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6.081 

  21. M. L. Marshall, R. C. Barnett, "Work-family strains and gains among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21, no. 1, pp. 64-78, 1993. 

  22. S. Lyubomirsky, H. S. Lepper,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46, no. 2, pp. 137-155, 1999. DOI: https://doi.org/10.1023/A:1006824100041 

  23. H. R. Song, J. Y. Park, W. J. Lee, M. A. Sung, J. W. Seo, M. J. Chin, "A pilot study for developing parenting-ai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7, no. 6, pp. 91-108, 2009. 

  24. Y. B. Son, E. Y. Choi, "Mechanism of work-family conflicts,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dual earner coup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4, no. 3, pp. 29-60,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