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설치현황 및 관리 실태 조사
A survey o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245 - 251  

서혜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응급구조학과) ,  윤수지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김효식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조사 연구는 일개 도내의 자동심장충격기 의무설치 기관의 자동심장충격기 설치현황 및 관리 점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17년 11월 20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69대의 자동심장충격기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로 파악하였다. AED는 168대(99.41%)가 기관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4시간 항시 자동심장충격기가 운영되고 있는 경우는 47대(27.80%), 기관 운영시간 외에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44대(26.00%)으로 파악되었다. 책임관리자가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경우가 87명(51.43%)이었으며, 자동심장충격기의 관리현황은 배터리 충전상태의 문제가 있는 경우는 2대(1.20%), 환자 부착용 AED패드의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로 7대(4.10%)로 조사되었다. 향후 자동심장충격기 관리책임자를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체계적 유지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관리에 대한 법률 강화 및 제도적 정비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실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AEDs) in all mandatory institutions and buildings of the providence to be equipped with AE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 2017 to December 20, 201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내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 중 응급의료에 관한법률로 지정된 의무설치 기관의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현황과 점검 및 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으며, 제주특별자치도 내 자동심장충격기 의무설치 기관의 169대 자동심장충격기를 1인의 연구원이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점검상태와 관리 실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파악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내 자동심장충격기 의무설치 기관의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현황 및 관리 점검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세부 연구목적은 아래와 같다.
  • 본 조사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내 자동심장충격기 의무 설치시설의 자동심장충격기 설치현황 및 관리 점검실태를 전수 조사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제주특별자치도 안전도시 구축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Sudden cardiac arrest survey 2006-2016, 2017. 

  2. Kronick SL, Kurz MC, Lin S, Edelson DP, Berg RA, Billi JE, Cabanas JG, Cone DC, Diercks DB, Foster JJ, Meeks RA, Travers AH, Welsford M, Part 4: Systems of Care and Continous Quality Improvemen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lation, No.3, pp.S397-413, 2015. DOI: http://dx.doi.org/10.1161/CIR.0000000000000258 

  3. Vincent N. Mosesso Jr., Alan H. Shapiro, Karen Stein, Kelly Burkett, Henry Wang, Effects of AED device features on performance by untrained laypersons, Resuscitation, Vol.80, No.11, pp.1285-1289, 2009.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9.07.016 

  4. M. G. Lee, S. J. Kim, D. H. Choi, D. H. Jun, B. D. Yoo, D. P. Lee, Outcome of Nontraumatic Prehospital Cardiac Ar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13, No.4, pp.428-433, 2002. 

  5. H. H. Lee, K. S. Seo, J. M. Chung, J. B. Park, H. W. Ryoo, J. K. Kim, J. S. Seo, S. B. Lee, W. I. Choi, K. W. Lee, Study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for whom 119 Rescuers used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the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19, No.3, pp.245-152, 2008. 

  6. J. K. Kim, M. S. P. Choe, K. S. Seo, D. H. Seoul, J. B. Park, J. M. Jung, Clinical Analysis of Resuscitation in Victim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3, No.1, pp.5-11, 2002. 

  7. R. T. Fothergill, L. R. Watson, D. Chamberlain, G. K. Virdi, F. P. Moore, M. Whitbread, Increase in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five year study, Resuscitation, Vol.84, No.8, pp.1089-1092, 2013. DOI: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3.03.034 

  8. M. Kuisma, T. Maatta,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in Helsinki: Utstein style reporting, Heart, Vol.76, No.1, pp.18-23, 1996. 

  9. M. P. Lasen, M. S. Eisenberg, R. O. Cummins, A. P. Hallstrom, Predicting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graphic model,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22, No.11, pp.1652-1658, 1993. DOI: https://doi.org/10.1016/S0196-0644(05)81302-2 

  10. Jeju today, Push project on improving survival rate of cardiac arrest in Jeju, Available from : http://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654. (accessed Mar., 05, 2013). 

  11. Korea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s of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2016. 

  12. S. G. Park, C. H. Park, M. J. Chae, Knoweldge and Current Status about AED in the Public Facilities - Focused on the Gwangju City-,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14, No.3, pp.13-28, 2010. 

  13. H. J. Park, The investigation into the use and management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in multiple public facilities - focusing on randomly chosen area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16. 

  14. J. H. Jung, A survey on installation, management, and us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 Focused on apartments with over 500 households in Chungnam,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21, No.3, pp.73-84, 2017. DOI: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3.073 

  15. Korea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anual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AED, 2017. 

  16. Sisa Korea, A death in the workplace, Available from: http://www.sisakorea.kr/sub_read.html?uid39992. (accessed Dec., 09. 2016) 

  17. Docdocdoc, AED intalled in KTX was useless., Available from: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 html?idxno232957. (accessed Sep., 28., 2016). 

  18. J. H. Kim, J. D. Moon, A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 Surviving after Dispatcher-Assisted Defibrillation by an Untrained Witn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4, pp.239-244,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