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의 자아노출 행위탐색 : 개인적 속성과 사회적 영향효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Self-Presentation Behaviors in SNS : Focus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fluences 원문보기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지, v.25 no.2, 2018년, pp.1 - 21  

문윤지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엄혜미 (Dept. of Secretarial Office Management, Bucheo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age patterns of users in Social Network Services (SNS) where is an upsurge. Specifically, the paper considers the reason why young people more and more prefer online (or mobile) SNS activities rather than offline face-to-face social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가 중요해진 것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면대면이 아닌 온라인에서의 자기표현기회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며, SNS는 이러한 긍정적 자아노출을 하기에 최고로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에 SNS 이용을 촉진시키는 사회적 동기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선행요인으로 긍정적 자아노출 개념을 탐색하고자 한다.
  • 이는 절대적 다수[critical mass; Markus, 1990], 관찰성[obsevability; Rogers, 1983]과 유사한 개념으로, Moore and Benbasat [1991]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가시성과 같은 사회적 영향요인이 사용자의 정보기술에 대한 사용 성과 몰입을 유도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규범, 이미지, 가시성으로 구성된 사회적 영향이 SNS 상에서의 긍정적 자아노출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NS 활용의 동기 요인(driver)으로 사용자의 특성인 개인적 성격(personality)과 사회적 영향(social influence)을 고려하고자 한다. 특히 SNS 활용에 있어 사용자의 긍정적 자아노출(positive self-presentation)은 개인 사용자로 하여금 SNS를 활용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민귀홍 외, 2015].
  •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사교적이고 친구가 많으며 변화를 추구하고 충동적 행동을 하는 등 감정의 변화가 자유로운 반면[Eysenck and Eysenck, 1975], 내향성인 사람은 주관적 세계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원칙에 따라 움직여서 융통성이 없지만 섬세한 감정을 갖고 있다[Allport, 1961]. 본 연구는 이 같은 개인의 내-외향성과 같은 성격특성이 SNS 사용에서의 긍정적 자아노출 과정과 관련된 심리적 기제로 역할을 한다는 전제 하에 그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둘째, 주관적 규범, 이미지, 가시성으로 이루어진 사회적 영향이 SNS에서의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볼 것이다. 셋째, 사용자의 긍정적인 자아노출 행위가 SNS 사용강도 및 나아가 구전효과(WOM)와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 같은 긍정적 자아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인적 특성은 사용자의 불변적인 성격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외향적(extraversion), 내향적(introversion) 성격과 나르시시즘(narcissism)을 탐색하고자 한다. 개인의 성격 가운데 외향성은 내향성과 대칭적인 개념의 성향으로, 개인의 활동성이나 사교성의 수준에 따라 외향적 성향과 내향적 성향으로 구분되는 변하지 않는 성격 개념이다[Eyzenck and Eyzenck, 1975].
  • 실제 연구에서 나르시시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SNS의 사용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Mehdizadeh,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의 두 번째 요인으로 나르시시즘을 중심으로 개인의 긍정적 자아노출과 나아가 SNS 행위와의 관계를 고려하고자 한다.
  • 특히 SNS 활용에 있어 사용자의 긍정적 자아노출(positive self-presentation)은 개인 사용자로 하여금 SNS를 활용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민귀홍 외,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긍정적 자아노출 개념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이 긍정적 자아노출과 SNS 활용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긍정적 자아노출이란 자신의 긍정적인 정체성에 대해 타인에게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은 SNS에서 자신의 개인적 사항이나 업적, 상황 등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방향으로 자아노출을 하는 경향이 있다[Sirgy and Su, 2000; Jones, 1990].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사용자의 외향적-내향적 성격과 나르시시즘 성향이 SNS에서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미치는 영향으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받는 영향을 배제할 수 없어 사회적 영향이 SNS에서 긍정적 자아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고 나아가 SNS 사용자의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가 SNS 사용강도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였다.

가설 설정

  • H1 : 사용자의 외향적 성향은 사용자의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용자의 나르시시즘 성향은 사용자의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사회적 영향요인은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 : 주관적 규범은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2 : 이미지는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3 : 가시성은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SNS에서의 긍정적 자아노출은 SNS 이용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
  • H5 : SNS 이용은 구전효과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
  • 본 연구에서의 사용자 개인적 특성은 외향성-내향성 성향과 나르시시즘 성향을 포함한다. 먼저 개인의 외향성-내향성 성향과 긍정적 자아노출 간 관계에서 본 연구는 사용자의 성격에 따라 SNS에서의 긍정적 자아노출 행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예컨대 SNS 사용자 중에서 자신의 일상을 셀피(Selfie) 등의 사진으로 게시하며 활발히 소통하는 특정 이용자들이 있는 반면,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고 타 이용자의 게시물을 훑어보기만(Lurking)하는 이용자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노출이란?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가 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상대를 위해 나의 정체성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자아노출이란 인간의 사회적 욕구에 의해 자신의 정보를 타인에게 알려 주는 과정이자 상대방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일상적인 현상이다[Leary and Kowalski, 1990]. 사회침투이론(social Penetration Theory)에 근거해서 볼 때 자아노출은 커뮤니케이션의 한 유형으로, 드러난 정보를 공유하여 관계의 친밀도를 형성 및 유지하려 할 때 개인이 타인에게 자신을 알리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aylor and Altman, 1975].
나르시시즘 성향을 가진 사람은 어떤 욕구를 자지고 있는가? 나르시시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 자신에게 몰입되어 남들과 비교해 더 뛰어나다고 인식하며 자기 자신에 대해 과장된 표현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 관심의 중심이 되고 싶어하고 돋보이고 싶어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Campbell and Foster, 2007]. 이러한 나르시시즘은 자극적인 행동으로 이목을 집중시키거나 외적인 치장을 하는 등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Ackerman et al.
SNS는 어떻게 특정 관계를 형성하는 채널이 되어가고 있는가? 특히 최근에는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유선 인터넷 중심활동에서 벗어나 어디서나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모바일 상에서의 다양한 소셜 미디어가 강력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SNS 상에서 사용자들은 공개적인 프로필을 작성하고, 게시물을 올리며, 이러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함으로써 이들 사용자간의 관계는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역할을 넘어 특정 관계를 형성하는 채널이 되어가고 있다[Boyd and Ellison, 2007]. SNS는 특정한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토론한다는 점에서는 기존 컴퓨터 기반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비슷하지만, 기존의 컴퓨터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과 달리 개인 사용자의 사회 정서적(social-emotional)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Ra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ckerman, R. A., Witt, E. A., Donnellan, M. B., Trzesniewski, K. H., Robins, R. W., and Kashy, D. A., "What does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eally measure?", Assessment, Vol.18, No. 1, 2010, pp. 67-87. 

  2. Allport, G. W.,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ew York : Holt, Reinhart and Winston, Inc., 1961. 

  3. Arnold, M. J. and Reynolds, K. E., "Hedonic Shopping Motivations", Journal of Retailing, Vol. 79, No. 2, 2003, pp. 77-95. 

  4. Bae, J. H., "The Effect of User's Personality (introversion-extroversion)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 Uses : Face-to-face Communication, Internet and Mobile Phone Use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 5, No. 3, 2005, pp. 303-336. 

  5. Boyd, D. M. and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3, No. 1, 2007, pp. 210-230. 

  6. Brewer, G. A., "Building social capital : Civic attitudes and behavior of public servant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13, No. 1, 2003, pp. 5-26. 

  7. Brown, J. J. and Reingen, P. H., "Social Ties and Word-of-Mouth Referral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4, 1987, pp. 350-62. 

  8. Brown, R. P. and Zeigler-Hill, V., "Narcissism and the non-equivalence of self-esteem measures : A matter of dominanc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 38, No. 6, 2004, pp. 585-592. 

  9. Buffardi, L. E. and Campbell, W. K.,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ebsi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34, No. 10, 2008, pp. 1303-1314. 

  10. Campbell, W. K. and Foster, J. D., "The narcissistic self : Background, an extended agency model, and ongoing controversies", The Self, 2007, pp. 115-138. 

  11. Chin, W. W., Thatcher, J. B. and Wright, R. T., "Assessing common method bias : Problems with the ULMC technique", MIS Quarterly, Vol. 36, No. 3, 2012, pp. 1003-1019. 

  12. Chung, N., Um, T., and Koo, C., "Factors Influencing Photo Sharing for Creating Social Relationships on Instagram",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 17, No. 4, 2016, pp.129-145. 

  13. Constant, D., Sproull, L., and Kiesler, S., "The kindness of strangers : The usefulness of electronic weak ties for technical advice", Organization science, Vol. 7, No. 2, 1996, pp. 119-135. 

  14. Costa, P. T. Jr and McCrae, R. R., Neo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Neo-FFI)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15. Dewall, C. N., Buffardi, L. E., Bonser, I., and Campbell, W. K., "Narcissism and implicit attention seeking : Evidence from linguistic analyses of social net-working and online present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51, No. 1, 2011, pp. 57-62. 

  16. Dominick, J., "Who do you think you are? : Personal homepages and self-presentation on the World Wide Web",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 76, 1999, pp. 646-658. 

  17. Doring, N., "Personal home pages on the web : a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7, No. 3, 2002, pp. 1-28. 

  18. Eyzenck, H. J. and Eyzenck, S. B. G., Manual of the Eyz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Junior and Adult), Hodder and Stoughton., 1975. 

  19. Facebook Newsroom, "2nd quarter earnings release highlights in 2016", Facebook, 2016. 07. 26. 

  20. Flynn, L. R., Goldsmith, R. E., and Eastman, J. K., "Opinion leaders and opinion seekers : Two new measurement scale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24, No. 2, 1996, pp. 137-147. 

  21. Fornell, C. and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1981, pp. 39-50. 

  22. Gruen, T.W., Osmonbekov, T. and Czaplewski, A. J., "eWOM : The impact if customer-to-customer online know-how exchange on customer value and loyal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9, No. 4, 2006, pp. 449-456. 

  23. Hong, L., Dan, O., and Davison, B. D., "Predicting popular messages in twitter",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companion on world wide web. Hyderabad, India, 2011, pp. 57-58. 

  24. Hong, S. and Lee, E., "Understanding of online oral marketing and its utilization strategy",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 19, 2004, pp. 1-15. 

  25. Hughes, D. J., Rowe, M., Batey, M., and Lee, A., "A tale of two sites : Twitter vs. Facebook and the personality predictors of social media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8, No. 2, 2012, pp. 561-569. 

  26. Jones, E., Interpersonal perception, NewYork : W. H. Freeman, 1990. 

  27. Jung, C. G., Psychological typ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21. 

  28. Kang, Y. S., Hong, S., and Lee, H., "Exploring continued online service usage behavior : The roles of self-image congruity and regr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5, No. 1, 2009, pp. 111-122. 

  29. Kim, S. J. and Lee, S. J., "The Effectiveness of eWOM(Word-Of- Mouth) on the Movie Marketing-Focusing on the Impacts of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 Type of Message, and Characteristics of Receiver", Advertising Research, Vol. 96, 2013, pp. 100-136. 

  30. Kim, Y. J., "A Study on the Blog as a Media : Focused on Media Func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Blo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0, No. 2, 2006, pp. 59-88. 

  31. Lasch, C. L., The culture of narcissism, New York : Norton, 1979. 

  32. Leary, M. and Kowalski, R., "Impression management : a literature review and two-factor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990, pp. 34-47. 

  33. Lee, B. H., Han, S. L., Yi, S. K., and Lee, S. H., "Exploratory Study of Underlying Dimensions of Use Motive in Social Media and Marketing Implications", Korea Marketing Review, Vol. 28, No. 2, 2013, pp. 87-108. 

  34. Lee, J. Y., Son, I. S., and Lee, D. Y., "Does Online Social Network Contribute to WOM Effect on Product Sale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NDSL, Vol. 18, No. 2, 2012, pp. 85-105. 

  35. Mathieson, K., "Predicting User Intentions : Comparing the Technolog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 No. 3, 1991, pp. 173-191. 

  36. Mehdizadeh, S., "Self-presentation 2.0 :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 13, No. 4, 2010, pp. 357-364. 

  37. Min, G. H., Park, H. S., Song, M. J., and Lee, J. K., "The Effects of Types of Ads and the Intensity of Use on Electronic Word-of-Mouth in Facebook : The Moderating Role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6, No. 8, 2015, pp. 7-33. 

  38. Moore, G. C. and Benbasat, I., "Development of and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 No. 3, 1991, pp. 5-34. 

  39. Myers, T. B.,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962. 

  40. Noh, S. U., Lee, J. E., Son, J. E., and Kim, H. W.,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lectronic Word-of-Mouth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Environment",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 14, No. 1, 2013, pp. 1-19. 

  41. Park, C. and Yoo, C. J.,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mers' Word of Mouth about Brand Experiences and Responses on Brand Evaluations at Online Contex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 17, No. 1, 2006, pp. 73-92. 

  42. Park, S. J., "The Differential Effects of Individual- Involvement and Product-Involvement on Word-of-Mouth Effects",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43, No. 3, 2014, pp. 771-792. 

  43. Park, T. W. and Lee, K. Y., "An integrated model of information processing of eWOM in social network service", Advertising Research, Vol. 100, 2004, pp. 172-224. 

  44. Qualman, E., Socialnomics, Hoboken, NJ : John WIley and Sons, 2011. 

  45. Ritchie, L., Fitzpatrick, D., and Anne, M.,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 measuring intrapersonal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ination Research, Vol. 17, No. 4, 1990, pp. 524-544. 

  46. Ryu, I. and Choi, H. R.,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on Flow,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in Online Community",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17, No. 2, 2008, pp. 113-135. 

  47. Shin, H.-S., Song, Y.-U., and Sung, N.-H., "The Impact of Percep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Mobile and Stationary Internet Toward the Intention to Use Mobile Internet",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Vol. 16, No. 1, 2009, pp. 149-168. 

  48. Sirgy, M. and Su, C., "Destination image, self-congruence, and travel behavior, toward an integrative mode",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 38, No. 4, 2000, pp. 340-352. 

  49. Sung, Y. S., Park, J. Y., and Park, E., "The Influence of On-line Word of Mouth Information On Viewing Intention toward Motion Picture", Advertising Research, Vol. 57, 2002, pp.31-52. 

  50. Taylor, D. and Altman, I., "Self-disclosure as a function of reward-cost outcomes", Sociometry, Vol. 38, 1975, pp. 18-31. 

  51. Taylor, S. and Todd, P. A.,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6, No. 2, 1995, pp. 144-176. 

  52. Taylor. D., Lewin, J. E., and Strutton, D., "Friends, fans, and followers : Do ads on social networks? How gender and age shape receptivit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51, No. 1, 2011, pp. 258-275. 

  53. Twenge, J. M. and Joshua, D. F., "Birth cohort increases in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mong American college students, 1982-2009",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Vol. 1, No. 1, 2010, pp. 99-106. 

  54. Utz, S., Martin, T., and Ivar, V., "It is all about being popular : The effects of need for popularity on social network site",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 15, No. 2, 2012, pp. 91-98. 

  55. Venkatesh, V. and Brown, S. A.,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personal computers in homes : Adoption determinants and emerging", MIS Quarterly, Vol. 25, No. 1, 2001, pp. 71-102. 

  56. Yang, H. D. and Choi, I. Y., "The Impact of Social Influence on Information Systems Adoption : An Extension to the Technology Accptance Model", The Journal of MIS Research, Vol. 11, No. 3, 2001, pp. 165-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