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 (설치목; 비단털쥐과)의 분포 현황 및 서식지 특성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 of Tscherskia triton (Rodentia; Cricetidae) in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3, 2018년, pp.412 - 423  

박준호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김강일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김만호 (한세대학교 ICT 환경공학과) ,  오홍식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의 분포와 서식지 유형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4개 지점에서 9개체의 비단털쥐가 포획되었고, 4개 지점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서식지 유형은 대부분 자연형과 경작지 또는 휴경지형이었고, 일부 지역은 약간의 도심형이 공존하는 지역이었다. 자연형의 경우 대부분 숲과 관목림, 초지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도별로는 저지대인 102 m에서 산간지대인 742 m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나 1,000 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주변에는 대부분 하천, 건천 또는 습지가 있는 곳으로 나타났다. 비단털쥐의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주로 자연식생 및 식재림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다소 온전하거나 온전하지 못한 층위구조를 가진 대부분 상층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 또는 장경초지나 관목림의 분포가 비교적 넓은 지역이었다.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대부분 도로와 산림소로가 위치하고 있어 비단털쥐는 인위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지역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국립공원은 보존대상지역이라 개발에 의한 서식지 훼손은 거의 없으나 소형포유류의 선호도가 높은 초지대는 생태계 교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비단털쥐의 안정적인 개체군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산간지역의 보전과 저지대 초지대 보호를 통한 다양한 서식지의 유형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scherskia triton from 2014 to 2016 in Jeju Island. Nine individuals of T. triton were observed and captured from four habitat sites. Most of the habitats were of the natural and rural type, and urban type coexisted in some of the a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각각의 종은 서로 다른 생태적 지위를 가지며, 선호하는 서식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떠한 종을 이해하기 위해 서식지 환경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의 분포 현황 및 서식지 유형을 분석하여 생활사를 이해하고 종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의 서식 현황과 서식지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종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6개 지점에서 14개체의 비단털쥐가 포획되었고 (포획률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10.1071/WR14165 HeinS and J Jacob. 2015. Recovery of small rodent populations after population collapse . Wildl. Res.42:108-118. 

  2. IUCN. 20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6-3.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Cambridge, UK. Available at: www.iucnredlist.org. 

  3. 10.12651/JSR.2012.1.2.249 JoYS , TW Kim, BJ Choi and HS Oh. 2012. Current status of terrestrial mammals on Jeju Island . J. Spec. Res.1:249-256. 

  4. JonesJK and DH Johnson. 1965. Synopsis of the lagomorphs and rodents of Korea . University of Kansas Publications, Museum of Natural History.16:357-407. 

  5. KangTJ . 2006. Climate characteristics of Hallasan natural reserve. Report of survey and study of Hallasan natural reserve. Research Institute for Hallasa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p. 33-42. 

  6. KFS. 2014. Korean Forest Service [Cited 2016 Dec 29].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Available at: http://nature.go.kr/kpni/index.do 

  7. 10.3347/kjp.2015.53.1.135 KimDG , JH Park, JL Kim, BK Jung, SJ Jeon, H Lim, MY Lee, EH Shin, TA Klein, HC Kim, ST Chong, JW Song, LJ Baek and JY Chai. 2015. Intestinal nematodes from small mammals captured near the demilitarized zone,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 Korean J. Parasitol.53:135-139. 

  8. 10.1111/j.1948-7134.2011.00139.x KimHC , TA Klein, HJ Kang, SH Gu, SS Moon, LJ Baek, ST Chong, ML O Guinn, JS Lee, MJ Turell and JW Song. 2011. Ecological surveillance of small mammals at Dagmar North training area,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2001-2005 . J. Vector Ecol.36:42-54. 

  9. KimHC , WK Kim, TA Klein, ST Chong, PV Nunn, JA Kim, SH Lee, JS No and-JW Song. 2017. Hantavirus surveillance and genetic diversity targeting small mammals at Camp Humphreys, a US military installation and new expansion site, Republic of Korea . PloS One12:e0176514. 

  10. 10.1080/19768354.2012.754379 KohHS , J Eger, JG Oh, B Lim, BK Lee, KH Jang, ST In, JH Lee, KS Kim and GH Kweon. 2013. Genetic distinctiveness of the greater long-tailed hamster, Tscherskia triton nestor (Rodentia: Mammalia), from Jeju Island, Korea: cytochrome oxidase I and cytochrome b sequence analyses .Anim. Cells Syst.17:31-35. 

  11. KrebsCJ . 2001. Ecology: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12. KwakTS , JH Ki, YE Kim, HM Jeon and SJ Kim. 2008. A study of GIS prediction model of domestic fruit cultivation location changes by the global warming-six tropical andsub-tropical fruits . J. Korea Spat. Inf. Soc.10:93-106. 

  13. 10.13087/kosert.2014.17.6.51 LeeHJ , JY Cha, CU Chung, YC Kim, SC Kim, GH Kwon and JJ Kim. 2014. Home range analysis of three midium-sized mammals in Sobaeksan National Park . J. Korea Soc. Environ. Restor. Technol.17:51-60. 

  14. LeeTB .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 1828. 

  15. LeeYN .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p. 1237. 

  16. NGII. 2012. The geography of Korea: Jeju.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p. 373. Magurran AE. 2005. Biological diversity . Curr. Biol.15: R116-R118. 

  17. 10.1146/annurev.ecolsys.28.1.495 McKinneyML . 1997. Extinction vulnerability and selectivity: combining ecological and paleontological views . Annu. Rev. Ecol. Syst.28:495-516. 

  18. OhHS , MH Chang and BS Kim. 2007. Current status of mammals in Hallasan National Park . Korean J. Environ. Ecol.21:235-242. 

  19. 10.1086/285138 OriansGH and JF Wittenberger. 1991. Spatial and temporal scales in habitat selection . Am. Nat.137:S29-S49. 

  20. ParkCW .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 1482. 

  21. 10.13047/KJEE.2017.31.2.152 ParkJH and HS Oh. 2017a. Breeding and development of the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 Korean J. Environ. Ecol.31:152-165. 

  22. 10.11626/KJEB.2017.35.3.389 ParkJH and HS Oh. 2017b.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of the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Korea . Korean J. Environ. Biol.35:389-397. 

  23. 10.11626/KJEB.2017.35.2.160 ParkJH , KJ Ahn and HS Oh. 2017. Estrus cycles of the female Tscherskia triton (Mammalia: Rodentia: Cricetidae) according to the photoperiod . Korean J. Environ. Biol.35:160-168. 

  24. ShimJH and BS Park. 1998. Vertebrate fauna, speciation and geological history in the Cheju Island . Korean J. Environ. Ecol.12:42-57. 

  25. 10.1139/z05-060 SongM , Z Zhang, K Neumann and R Gattermann. 2005. Sex-biased dispersal of greater long-tailed hamster ( Tscherskia triton ) revealed by microsatellites . Can. J. Zool.83:773-779. 

  26. 10.1046/j.0021-8901.2001.00674.x SullivanTP and DS Sullivan. 2001. Influence of variable retention harvests on forest ecosystems. II. Diversity and population dynamics of small mammals . J. Appl. Ecol.38:1234-1252. 

  27. WonPH and JI Lee. 1975. Studies on the ecological observation of Cricetulus triton nestor . Dongguk Univ. Res. Bull.5:271-291. 

  28. 10.1007/s10661-015-4596-1 WuW , Z Xu, C Zhan, X Yin and S Yu. 2015. A new framework to evaluate ecosystem health: a case study in the Wei River basin, China . Environ. Monit. Assess.187:460. 

  29. 10.1371/journal.pone.0099540 XueH , M Zhong, J Xu and L Xu. 2014. Geographic distance affects dispersal of the patchy distributed greater longtailed hamster ( Tscherskia triton ) . PloS One9:e99540. 

  30. 10.1139/cjz-2014-0004 YanC , T Xu, X Cao, F Wang, S Wang, S Hao, H Yang, H Li and Z Zhang. 2014. Temporal change in body mass of two sympatric hamster species and implications for population dynamics . Can. J. Zool.92:389-395. 

  31. YoonMH , SH Han, HS Oh and JK Kim. 2004. The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Seoul, p. 274. 

  32. 10.14770/jgsk.2014.50.4.457 YoonS , CY Jung, WH Hyun and ST Song. 2014. Tectonic history of Jeju Island . J. Geol. Soc. Korea50:457-474. 

  33. ZhangZB , L Hinds, G Singleton and ZW Wang. 1999. Rodent biology and management ; abstracts of papers presented at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dent Biology and Management, held at Beijing, China, October 1998, p. 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