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스캔과 CFD를 활용한 LPG 폭발사고의 누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culation of Leakage for LPG Explosion Accident using 3D Scan and CFD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3, 2018년, pp.1 - 7  

조완수 (한국가스안전공사 재난관리처) ,  김의수 (한국교통대학교 산업경영안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various engineering approach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accident investigation fiel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o predict damage by accident. Computational analysis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ccident investigation technique. This technique is mainly used to 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막음 조치 불량으로 최근에 발생된 상가 주택의 LPG 폭발 사고를 바탕으로 Fig.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사고 현장의 3D 형상 재구성을 위해 3차원 광대역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폭발 대상 및 주변을 모델링하고 가스의 확산과 폭발, 화연과 충격파의 전달 해석 등에 장점을 가지고 있는 폭발 피해 예측 전용 해석 프로그램인 FLACS를 활용하여 폭발 위력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가스 폭발 사고 발생 시 누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정확한 가스 사고 원인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 사고 통계자료에서 LP 가스로 인한 피해 비율은 얼마인가?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 사고 통계 자료를 참조해보면 전체 가스 사고 유형 중 가스폭발이 약 3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LP 가스로 인한 피해는 67%에 달한다1). 이러한 가스폭발사고의 주요 원인은 배관 및 호스 체결 불량 및 균열, 가스 기구 결함 등에 의한 가스 누설에 의한 폭발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물적 및 인적 피해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아직도 전체 안전사고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가스폭발사고의 폭발 위력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가스폭발사고의 주요 원인은 배관 및 호스 체결 불량 및 균열, 가스 기구 결함 등에 의한 가스 누설에 의한 폭발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물적 및 인적 피해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아직도 전체 안전사고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가스폭발사고는 가스 종류, 가스 누설량, 혼합산소비, 누설 체적, 건물 벽체 재질 등에 따라 폭발 위력이 큰 차이를 나타내며, 기존 연구에서는 가스 자체폭발 특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다2-5).
가스 사고 유형 중 가스폭발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 사고 통계 자료를 참조해보면 전체 가스 사고 유형 중 가스폭발이 약 3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LP 가스로 인한 피해는 67%에 달한다1). 이러한 가스폭발사고의 주요 원인은 배관 및 호스 체결 불량 및 균열, 가스 기구 결함 등에 의한 가스 누설에 의한 폭발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물적 및 인적 피해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아직도 전체 안전사고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가스폭발사고는 가스 종류, 가스 누설량, 혼합산소비, 누설 체적, 건물 벽체 재질 등에 따라 폭발 위력이 큰 차이를 나타내며, 기존 연구에서는 가스 자체폭발 특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nnual Gas Accident Statistics, Gas Accident Almanac,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pp. 27-32, 2016. 

  2. J. I. Bae, Y. S. Kim, Y. C. Seo and C. S. Shin,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Nonhomogeneous LPG-Air Mixtures", Journal of KIIS, Vol. 8, No. 4, pp. 114-119, 1993. 

  3. J. W. Choi, D. H. Lee, T. G. Kim, W. C. Min, W. S. Lim and B. S. Choi, "A Study on the Explosion Phenomenon and Flame Propagation of LP Gas", KIGAS, Vol. 11, No. 2, pp. 65-69, 2007. 

  4. J. W. Choi, I. S. Lee and S. T. Park,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City Gas on the Chang of Oxygen Concentration and Pressure", KIGAS, Vol. 9, No. 1, pp. 38-43, 2005. 

  5. K. h. Oh, H. Kim, S. S. Kim, Y. D. Jo, J. W. Jo and S. K. Oh, "A Study on the Vented Gas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Leakage of the LPG", KIGAS, Vol. 3, No. 3, pp. 51-57, 1999. 

  6. E. S. Kim, J. H. Sim, J. P. Kim and N. K. Park, "The Study on Evaluation of Human Body Injury by Explosion of Portable Butane Gas Range", J. Korean Soc. Saf., Vol. 31, No. 3, pp. 60-67, 2016. 

  7. E. S. Kim, J. H. Kim and M. G. Kim, "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the Explosion Accident Investigation of the Centrifugal Casting Machine Using ADINA FSI", J. Korean Soc. Saf., Vol. 26, No. 4, pp. 27-33, 2011. 

  8. E. S. Kim, J. H. Kim, J. H. Sim, J. P. Kim, J. M.. Koh and N. K. Park, "A 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Evaluation of Explosive Pressure and Velocity for LNG Explosion Accident using AUTODYN", J. Korean Soc. Saf., Vol. 30, No. 4, pp. 56-63, 2015. 

  9. "Cyclone Ver,9.1.5 Leica Geosystems", 2017. 

  10. "3D Reshaper Ver 17.0.06.24515 HEXAGON", 2017. 

  11. "Technical Guidance on Accident Damage Prediction Techniques" KOSHA GUIDE P-102-2012,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