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대학병원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신념, 역량, 조직의 지원에 관한 조사
Nurses'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and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Support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245 - 254  

김선경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이현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박광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현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최종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박경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이민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이은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nurses' evidence-based practice (EBP) beliefs and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supports to develop EBP.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of clinical nurses at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Results: The survey was distr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근거기반 간호 실무 신념과 조직 지원에 비해 역량이 낮게 나타난 것은 간호 실무의 역량은 근거의 생산과정뿐만 아니라 근거의 실무적용 및 확산 등과 같은 근거의 소비과정의 두 측면에서 모두 균형적인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두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많은 교육과 훈련 및 지지체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7]. 그러나 본연구에서는 근거기반실무의 시작 단계에서 본 기관 의 현 수준을 알고자 시행한 기초조사의 결과로 해석된다.
  • 본 연구는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근거기반 간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체계적인 활동을 시도함에 있어 기초자료로써 본 기관에 속한 임상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신념, 역량, 조직의 지원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근거기반간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근거기반간호의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활동을 시도함에 있어 본 병원의 임상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신념, 역량과 조직의 지원에 대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본 기관의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근거기반 간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체계적인 활동을 시도함에 있어 기초자료로써 본 임상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간호 실무에 대한 신념 및 역량과 조직의 지원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체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근거기반 간호실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근거기반 간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체계적인 활동을 시도함에 있어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신념, 역량, 조직의 지원이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신념과 조직의 지원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근거기반 간호에 대한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간호실무에 대한 신념 및 역량과 조직의 지원에 대한 현 수준을 조사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본 병원의 근거기반 간호실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전략을 수립하는 등의 근거기반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기반실무 역량이란?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최상의 과학적 근거와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간호사의 임상적 전문성으로 통합하여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14]. 본 연구에서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관한 측정도구는 Yi 와 Park [11]이 개발한 도구와 Melnyk 등[15]의 근거기반실무 역량 도구를 참조하여 Jang과 Park [10]이 수정 ‧ 보완한 도구로 총 19개 문항이며 각 문항은 1점(전혀 할 수 없다)에서 5점(매우 잘 할 수 있다)척도이다.
근거기반실무 신념이란? 근거기반실무 신념은 근거기반실무가 임상적 결과를 향상시킬 것이란 전제에 대한 지지와 근거기반실무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13]. 본 연구에서의 근거기반실무신념에 관한 측정도구는 Melnyk 등[13]이 개발한 근거기반 실무 신념 척도(Evidenced Based Practice Beliefs Scale)를 Jang과 Park [10]이 번안하여 사용한 한국판 도구로 총 16개 문항이며 각 문항은 1점(매우 부정)에서 5점(매우 긍정)척도이다.
근거기반실무가 의료전문직의 교육, 실무 및 정책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이 된 계기는?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 질환의 다양화 및 의료정보의 급속한 증가 추세로 지식은 가속화 되고 보편화됨으로써 환자와 가족들은 의료소비자로서 권리가 향상되었으며, 임상현장에서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직접적인 참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의료전문직의 책임은 더욱 강조되고 전 세계적으로 근거기반실무가 의료전문직의 교육, 실무 및 정책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YJ. Development of a competency model for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by clinical ladder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p. 1-131. 

  2. Sackett DL, Rosenberg WM, Gray JA, Haynes RB, Richardson WS.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1996;312(7023):71-72. https://doi.org/10.1136/bmj.312.7023.71 

  3. Melnyk BM, Fineout-Overholt E, Gallagher-Ford L, Kaplan L. The state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 US nurses: Critical implications for nurse leaders and educator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42(9):410-417. https://doi.org/10.1097/NNA.0b013e3182664e0a 

  4. Bays CL, Hermann CP. An evidence-based practice primer for infusion nurses.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10;33(4):220-225. https://doi.org/10.1097/NAN.0b013e3181e3a0bd 

  5. Park MH. Practical examples of applying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Query. 2005;13(2):60-76. 

  6. Lim KC, Kwon JS, Jeong JS, Kim JH, Kim KS, Kim SJ, et al. Awareness and attitude of registered nurses about evidence based nursing. Nursing Research in Korea: Present and Future; 2010 October 22; The Korea Science and Techonolgy Center International Conference Hall. Seoul: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0. p. 177. 

  7. Oh EG, Lee HJ. Theoretical model and platform for implementing and diffusing evidence into nursing practice. Evidence and Nursing. 2016;4(1):1-3. 

  8. McClellan MB, McGinnis JM, Nabel EG, Olsen LA;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Evidence-based medicine and the changing nature of healthcare: 2007 IOM Annual Meeting Summa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8. 

  9. Choe MA, Bang KS, Park YH, Kang HJ.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1;8(2):129-138. 

  10. Jang IS, Park M. Knowledge management, beliefs, and competence on evidence-based practice,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1):83-94. https://doi.org/10.7475/kjan.2016.28.1.83 

  11. Yi J, Park MH. Nurses' access &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barriers & competency of evidence based practi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3):255-266. 

  12. Cho MS, Song MR, Cha SK.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evidence- based practice facilitators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3): 300-309. 

  13. Melnyk BM, Fineout-Overholt E, Mays MZ. The evidence based practice beliefs and implementation scale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wo new instruments.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08;5(4):208-216. https://doi.org/10.1111/j.1741-6787.2008.00126.x 

  14. Ilic D. Assessing competency in evidence based practic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current tools in practice. BMC Medical Education. 2009;9:53. https://doi.org/10.1186/1472-6920-9-53 

  15. Melnyk BM, Gallagher-Ford L, Fineout-Overholt E. The establishment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ies for practicing registered nurses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in real- world clinical settings: Proficiencies to improve healthcare quality, reliability, patient outcomes, and costs.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14;11(1):5-15. https://doi.org/10.1111/wvn.12021 

  16. Nagy S, Lumby J, McKinley S, Macfarlane C. Nurses' beliefs about the conditions that hinder or support evidence based nur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1;7(5): 314-321. https://doi.org/10.1046/j.1440-172X.2001.00284.x 

  17. Ryu S, Kim YS, Kim YH. Factors influencing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evidence based practice readin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5):448-460.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5.448 

  18. Kim JS, Gu MO, Jo SY.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readiness for tertiar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 14(6):2945-2957. 

  19. Thiel L, Ghosh Y. Determining registered nurses' readiness for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08;5(4):182-192. https://doi.org/10.1111/j.1741-6787.2008.00137.x 

  20. Choi MY, Kim YH, Son HM.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3):274-282.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274 

  21. Choi M, Jeong JS, Kwon JS, Kim KS, Lee SH, Seo HJ, et al. Current status of teaching evidence-based nursing to nursing students and educational strategies for dissemination. Evidence and Nursing. 2017;5(1):4-15. 

  22. Keib CN, Cailor SM, Kiersma ME, Chen AMH. Changes i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research and evidence-based practice after completing a research course. Nurse Education Today. 2017;54:37-43. https://doi.org/10.1016/j.nedt.2017.04.007 

  23. Cho YA, Gu MO, Jeong JS, Eun Y, Kim SM, Jung IS, et al. Current status of evidence-based nursing in general hospitals in Korea. Evidence and Nursing. 2013;1(1):16-24. 

  24. Eizenberg MM. Implement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nurses' personal and profess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1):33-42.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488.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