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촉진요인에 대한 인식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Evidence-Based Practice Facilitators in a Tertiary Hospital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3, 2011년, pp.300 - 309  

조명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임상간호학교실) ,  송미라 (삼성서울병원 간호업무개발팀) ,  차선경 (삼성서울병원 간호업무개발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ilit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EBP) in Clinical Nurses. Method: The instruments used in study were the EBP facilitator scale developed by Nagy et al. and a questionnaire on EBP-related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ur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EBP 촉진요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EBP를 수행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촉진요인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실무현장에서 EBP 수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조직 차원에서 EBP 개념을 도입하고자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EBP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므로, 연구결과의 해석 및 일반화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국내병원들에서 도입, 적용되기 시작한 EBP와 관련하여 임상간호사의 활동과 간호사가 인지하는 EBP 촉진요인을 조직, 신념, 기술, 지식, 시간 차원에서 제시함으로써 향후 간호에서의 EBP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간호실무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EBP를 수행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촉진요인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실무현장에서 EBP 수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연구활동이나 연구결과 활용의 관련요인 파악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EBP를 활성화하고자 간호조직 차원에서 EBP 프로그램 진행을 계획하고 있는 일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EBP관련 특성과 EBP 촉진요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임상에서 간호사들의 EBP 수행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와 Haynes에 의한 근거기반실무의 정의는? 1980년대 중반에 시작된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EBP)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개념이다. 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와 Haynes (1997)는 의학에서의 EBP를 임상결정 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도출된 활용가능한 최선의 근거에 임상실무자의 경험, 환자의 선호도를 통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 후 간호에서도 EBP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왔으며 Sigma Theta Tau (Scott & McSherry, 2009에 인용됨)는 간호에서의 EBP를 활용가능한 최선의 근거와 간호 전문성, 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가치와 선호도를 통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근거기반실무가 시작된 시기는? 1980년대 중반에 시작된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EBP)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개념이다. 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와 Haynes (1997)는 의학에서의 EBP를 임상결정 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도출된 활용가능한 최선의 근거에 임상실무자의 경험, 환자의 선호도를 통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국내에서 EBP의 개념이 소개되기 시작한 때는? 반면,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에 EBP의 개념이 소개되기 시작하여 실무에서의 EBP 활성화가 추진되어 왔으나 필요성에 비해 활성화 정도는 낮은 현실이다. 그러나 향후 간호실무 현장의 EBP 활성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빠른 시일 내에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려는 병원과 간호조직의 노력이 대두될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dib-Hajbaghery, M. (2007). Factors facilitating and inhibiting evidence-based nursing in Ir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8, 566-575. 

  2. Estrada, N. (2009). Exploring perceptions of a learning organization by RNs and relationship to EBP beliefs and implementation in the acute care setting.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6, 200-209. 

  3. Gerrish, K., Ashworth, P., Lacey, A., & Bailey, J. (2008). Developing evidence-based practice: experiences of senior and junior clinical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 62-73. 

  4. Hutchinson, A. M., & Johnston, L. (2004). Bridging the divide: a survey of nurses' opinions regarding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research utilization in the practice sett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304-315. 

  5. Kim, M. Y., Kim, S. Y., Kim, Y. Y., Byun, J. H., & Jung, Y. Y. (2002). A study of relating factors to the research activity in an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8(1), 117-128. 

  6. McKenna, H., Ashton, S., & Keeney, S. (2004).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in primary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5, 178-189. 

  7. Mclnerney, P., & Suleman, F. (2010). Exploring knowledge, attitudes, and barriers toward the use of evidence-based practice amongst academic health care practitioners in their teaching in a south african university: a pilot study.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7, 90-97. 

  8. Melnyk, B. M., Fineout-Overholt, E., Feinstein, N. F., Li, H., Small, L., Wilcox, L., et al. (2004). Nurses' perceived knowledge, beliefs, skills and needs regarding evidence -based practice: implication for accelerating the paradigm shift.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1, 185-193. 

  9. Nagy, S., Lumby, J., McKinley, C., & MacFarlane, C. (2001). Nurses' beliefs about the conditions that hinder or support evidence-based nur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 314-321. 

  10. Nolan, P., & Bradley, E. (2008). Evidence-based practice: implications and concern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6, 388-393. 

  11. Oh, E. G., Oh, H. J., & Lee, Y. J. (2004). Nurses' research activities and barriers of research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4, 838-848. 

  12. Olade, R. A. (2004). Evidence-based practice and research utilization activities among rural nurs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 220-225. 

  13. Park, H. S. (2005). A study on accessibility, usefulness, barriers of evidence based nursing of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4. Park, J. W. (1997).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research activity in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3(1), 235-252. 

  15. Park, M. H. (200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Seoul: Koonja. 

  16. Pathman, D. E., Ricketts, T. R., & Konrad, T. R. (2006). How adults' access to outpatient physician services relates to the local supply of primary care physicians in the rural southeast. Health Services Research, 41, 79-102. 

  17. Prior, P., Wilkinson, J., & Neville, S. (2010). Practice nurse use of evidence in clinical practice: A descriptive survey. Nursing Praxis in New Zealand, 26(2), 14-25. 

  18. Robin, P. N., Sandra, L. D., Stephanie, S. P., Linda, C. P., & Kathleen, M. W. (2007).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d guidelines. Indianapolis: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19. Sackett, D. L., Straus, S. E., Richardson, W. S., Rosenberg, W. M., & Haynes, R. B. (1997).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0. Scott, K., & McSherry, R. (2009). Evidence-based nursing: clarifying the concepts for nurses in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1085-1095. 

  21. Sherriff, K. L., Wallis, M., & Chaboyer, W. (2007). Nurses' attitudes to and perceptions of knowledge and skills regarding evidence-based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3(6), 363-369. 

  22. Thiel, L., & Ghosh, Y. (2008). Determining registered nurses' readiness for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5, 182-192. 

  23. Upton D., & Upton P. (2006). Knowledge and use of evidence-based practice by allied health and health science professionals in the United Kingdom. Journal of Allied Health, 35, 127-133. 

  24. Uysal, A., Temel, A. B., Ardahan, M., & Ozkahraman, S. (2010).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among nurses in Turk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3443-3452. 

  25. Yang, Y. H., & Gu, M. O. (2005). Research related activities and its related factor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 421-4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