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난소절제 동물모델을 이용한 폐경 후의 비만에 대한 건강 추출물의 효능에 대한 실험적 고찰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Beneficial Effect of Zingiberis Rhizoma on Post-menopausal Obesity Using Ovariectomized Rats원문보기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obesity effects of Zingiberis Rhizoma on ovariectomized ra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he clinical use in preventing and treating post-menopausal obesity. Methods: To investigate how menopause affects obesity in woman, rats w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obesity effects of Zingiberis Rhizoma on ovariectomized ra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he clinical use in preventing and treating post-menopausal obesity. Methods: To investigate how menopause affects obesity in woman, rats were treated with Zingiberis Rhizoma extracts. We measured various biomarkers including GOT,GPT, leptin, ghrelin, adiponectin, $PPAR-{\gamma}$ mRNA,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iver weight, estradiol, uterine weight, and calcitonin, which are linked with obesity and menopaus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group which was given Zingiberis Rhizoma extracts 100 mg/kg and lipid level found in blood(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t accumulation of liver cells was repressed, liver function was improved and leptin and adipomec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normalized. In addition, expression of $PPAR-{\gam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Zingiberis Rhizoma extracts have anti-obesity effects on ovariectomized rats through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c function.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obesity effects of Zingiberis Rhizoma on ovariectomized ra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he clinical use in preventing and treating post-menopausal obesity. Methods: To investigate how menopause affects obesity in woman, rats were treated with Zingiberis Rhizoma extracts. We measured various biomarkers including GOT,GPT, leptin, ghrelin, adiponectin, $PPAR-{\gamma}$ mRNA,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iver weight, estradiol, uterine weight, and calcitonin, which are linked with obesity and menopaus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group which was given Zingiberis Rhizoma extracts 100 mg/kg and lipid level found in blood(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t accumulation of liver cells was repressed, liver function was improved and leptin and adipomec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normalized. In addition, expression of $PPAR-{\gam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Zingiberis Rhizoma extracts have anti-obesity effects on ovariectomized rats through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c fun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또한 생강 추출물의 투여가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인지질의 혈중 농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대사성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11). 그러나 생강의 건조에 따른 유효성분의 변화 및 그에 따른 건강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정확한 기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험 연구하여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추출물을 난소 절제술을 통한 갱년기 동물모델에 투여하여 비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효과가 어떠한 기전으로 이루어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25, 5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의 체중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후 체중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던 100 mg/kg 투여군에 대하여 건강 추출물이 어떠한 원리로 여성 갱년기 비만에서의 체중 감소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안 방법
체중이 140±10 g인 5주령의 암컷 랫트(Rat)를 대상으로 실험실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뒤, 양쪽 난소를 절제하여 폐경 모델을 유도하고, 나머지는 복부 절개 후 봉합시키는 Sham-operation을 실시하여 비폐경 모델을 유도하였다.
체중이 140±10 g인 5주령의 암컷 랫트(Rat)를 대상으로 실험실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뒤, 양쪽 난소를 절제하여 폐경 모델을 유도하고, 나머지는 복부 절개 후 봉합시키는 Sham-operation을 실시하여 비폐경 모델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각 모델을 1주일간 고형사료를 주어 상처를 회복시킨 뒤, 난소가 절제되지 않은 대조군과 난소가 절제된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본연구는 가천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승인번호: GIACUC-R 2017006)의 승인 하에 수행되었다.
실험동물은 실험대조군(OVX), 모의수술 정상군(Sham), 양성대조군(OVX + Red clover), 25mg/kg 투여군(OVX + G-25 mg/kg), 50 mg/kg 투여군(OVX + G-50 mg/kg), 100 mg/kg 투여군(OVX + G-100 mg/kg)으로 분류된다(Table I). 모의수술 정상군은 6마리, 난소가 절제된 실험대조군과 양성대조군, 건강 추출물 투여군은 8마리씩 5개 그룹으로 나누어 건강 추출물은 각각 25, 50, 100mg/kg의 농도로 생수에 용해시킨 후 경구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는 Red clover 추출물(3.
실험동물은 실험대조군(OVX), 모의수술 정상군(Sham), 양성대조군(OVX + Red clover), 25mg/kg 투여군(OVX + G-25 mg/kg), 50 mg/kg 투여군(OVX + G-50 mg/kg), 100 mg/kg 투여군(OVX + G-100 mg/kg)으로 분류된다(Table I). 모의수술 정상군은 6마리, 난소가 절제된 실험대조군과 양성대조군, 건강 추출물 투여군은 8마리씩 5개 그룹으로 나누어 건강 추출물은 각각 25, 50, 100mg/kg의 농도로 생수에 용해시킨 후 경구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는 Red clover 추출물(3.3mg/kg)을 생수에 용해시킨 후 경구 투여하였다. Red clover 추출물의 용량은 성인 체중 60kg을 기준으로 200 mg/kg로 복용되고 있는 근거를 기반으로 환산하여 계산되었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 지방(Triglyceride), HDL-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의 농도는 측정용 KIT(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타 비만 관련 마커 농도는 측정용 KIT(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 및 Mercodia, Uppsala, Swede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 지방(Triglyceride), HDL-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의 농도는 측정용 KIT(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타 비만 관련 마커 농도는 측정용 KIT(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 및 Mercodia, Uppsala, Swede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top Solution을 100 μl씩 각 well에 첨가한 후 부드럽게 섞은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 450 nm에서 550 nm의 흡광도 값을 뺐다.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Leptin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간 조직은 파라핀 블록을 제작, 박리하여 절편을 만들고 hematoxylin and eosin(H&E)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PCR은 total volume 25 μl에 10배 PCR buffer, 0.2 mM dNTPs, 2 pmole의 sense 및 antisenseprimer를 넣은 혼합액에 cDNA와 1.25 unit의 Taq polymerase(Promega, Cat. No. M8295)을 넣어 PCR을 시행하였다.
(11) RT-PCROligo(dT) primer(Promega, Cat.No. C1101),reaction buffer(50 mM Tris-HCl, 75 mM KCl,3 mM MgCl2, 10 mM DTT, pH 8.3)(Promega,Cat.No. M1705), 1 mM dNTP(Promega,Cat.No. U1515)과 200 unit M-MLV-RT(Moloneymurine leukemia virus reverse transcriptase)(Promega, Cat.No. M1705)를 분리한 RNA에 처리하여 역전사를 수행함으로써 cDNA를 합성하였다. PCR은 total volume 25 μl에 10배 PCR buffer, 0.
특히, 건강추출물을 10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은 양성대조군(OVX + Red clover)보다 체중 감소에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25, 5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의 체중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후 체중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던 100 mg/kg 투여군(OVX + G-100 mg/kg)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의 효과를 단편적으로 밝히거나, 간에서의 효과만을 밝힌 이전의 연구들과 달리 이전의 연구에서 비만과 관련된 생체 지표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에스트라디올 농도 및 자궁의 무게 변화, 칼시토닌 농도를 확인하여 여성 갱년기 비만에 대한 건강의 체중 감량 효과가 성호르몬의 작용에 따른 것이 아님을 밝혔으며, leptin, adiponectin, ghrelin 등비만관련 호르몬의 수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비만과 관련된 인자인 지질 농도와 leptin, adiponectin, PPAR-γ 수치 확인 등을 통해 간과 근육에서의 지질 대사와 관련된 작용을 통한 것임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건강의 갱년기 비만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난소절제술로 유도된 갱년기 동물 모델에 건강 추출물을 8주간 투여한 결과 유의 있는 체중감소가 나타났으며, 건강이 비만과 관련된 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실험에 사용한 건강은 (주)옥천당에서 구입하였으며, 500 g을 80% MeOH(1.5 L)로 상온 25 ℃에서 세 번 추출하여 감압 건조하여 메탄올 추출물 101.5 g을얻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붉은 토끼풀(red clover)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인체 내 여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하는 식물에스트로겐이라고 부르는 화학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약초이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붉은 토끼풀(red clover)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인체 내 여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하는 식물에스트로겐이라고 부르는 화학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약초이다. 붉은 토끼풀은 서울제약(서울)의 클로미딘정(powdered red clover extract 100mg)을 구입하여 필름코팅을 제거하고 분말 상태로 사용하였다.
모든 시약은 실온에 방치한 후 사용하였다. Serum은 Calibrator Diluent RD5-26을 이용하여 1,0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Assay Diluent RD1W를 각 well에 50 μl에 첨가 후 Standard, bControl 또는 Sample(희석된 serum)을 50 μl씩 넣고, Plate Sealers를 붙이고 microplate shaker 550 rpm에서 1시간 설정하였다.
데이터처리
각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따른 통계분석은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를실시한 후 유의성이 있는 경우,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을 2% agarose gel에 전기 영동하였다. 전기 영동 결과 나온 band를 density 분석 프로그램인 Gel-Pro analyzer 3.1(Media Cybernetics,.USA)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RT-PCR에 사용한 primer는 아래 Table Ⅱ에 표시하였다.
이론/모형
혈청 중 Leptin의 농도 측정은 ELISA KIT(R&Dsystems, Inc.., USA)를 이용하였다.
혈청 중 Adiponectin의 농도 측정은 ELISAKIT(R&D systems, Inc., USA&Canada)를 이용하였다.
혈청 중 ghrelin의 농도 측정은 ELISAKIT(Phoenix Pharmaceuticals, Inc., USA)를 이용하였다. Serum은 Assay buffer로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모든 시약은 실온에 방치한 후 사용한다.
혈청 중 Estradiol 농도 측정은 ELISA KIT(R&Dsystems, Inc., USA&Canada)를 이용하였다.
혈청 중 Calcitonin의 농도 측정은 ELISAKIT(Phoenix Pharmaceuticals, Inc., USA)를 이용하였다. Serum은 Assay buffer로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모든 시약은 실온에 방치한 후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1). 난소를 절제한 실험대조군(OVX)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비해 체중이 증가하였다. 체중, 체중변화량 및 식이효율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Ⅲ와 같다.
체중, 체중변화량 및 식이효율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Ⅲ와 같다. 갱년기 동물모델에서건강을 각각 25, 50, 100 mg/kg의 농도로 8주간 투여한 결과 건강을 투여한 군의 체중이 실험대조군(OVX)보다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건강추출물을 10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은 양성대조군(OVX + Red clover)보다 체중 감소에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갱년기 동물모델에서건강을 각각 25, 50, 100 mg/kg의 농도로 8주간 투여한 결과 건강을 투여한 군의 체중이 실험대조군(OVX)보다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건강추출물을 10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은 양성대조군(OVX + Red clover)보다 체중 감소에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25, 5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의 체중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후 체중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던 100 mg/kg 투여군(OVX + G-100 mg/kg)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대조군(OVX)에서 감소한 calcitonin 수치는 건강 추출물 100 ㎎/㎏ 투여에 의해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근접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Table Ⅷ).
갱년기 동물모델에서 건강 추출물을 100 mg/kg의 농도로 8주간 경구 투여한 결과 건강을 투여한 군에서 HDL-Cholesterol의 경우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경우는 실험대조군(OVX)보다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간의 무게 또한 건강 100 mg/kg 투여군에서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가깝게 감소되었다(Table Ⅴ).
난소를 제거하지 않은 모의수술 정상군(Sham)과 비교하였을 때, 난소를 제거한 실험 대조군(OVX)은 간에서의 지방 축적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건강을 100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는 OVX군에 비하여 간에서의 지방 축적이 현저히 억제되었다(Fig. 2).
연구 결과, 난소 절제 실험대조군(OVX)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비해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여성호르몬 부족에 따른 체내 지방조직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지방조직에서 여성호르몬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지방 조직에서 난소의 기능을 대체하는 체내의 보상성 작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가 체중 증가를 가져온 이전의 보고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23,24).
이는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가 체중 증가를 가져온 이전의 보고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23,24). 갱년기 동물모델에서 8주간의 건강추출물의 투여 결과, 건강을 투여한 군의 체중이 OVX군보다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건강 추출물을 10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은 OVX+Red clover 군보다 오히려 체중 감소에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Fig.
갱년기 동물모델에서 8주간의 건강추출물의 투여 결과, 건강을 투여한 군의 체중이 OVX군보다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건강 추출물을 10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은 OVX+Red clover 군보다 오히려 체중 감소에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Fig. 1). 그러나 25, 5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의 체중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먼저 건강 추출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보면, 건강을 투여한 군의 GOT가 OVX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PT의 경우 OVX 군에서 Sham군에 비해 그 증가폭이 크지는 않았으나, 역시 건강을 투여한 군에서 정상화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Ⅳ).
GPT의 경우 OVX 군에서 Sham군에 비해 그 증가폭이 크지는 않았으나, 역시 건강을 투여한 군에서 정상화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Ⅳ). 광학현미경으로 본 간 조직의 지방축적에 대해서도 난소를 제거하지 않은 Sham 군과 비교하였을 때, 난소를 제거한 OVX 군은 간에서의 지방 축적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건강 100 mg/kg 투여군에서는 OVX 군에 비하여 간에서의 지방 축적이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Fig 2).
건강 추출물이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건강 100 mg/kg 투여군에서 HDL-Cholesterol의 경우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경우는 OVX 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간의 무게 또한 건강 100 mg/kg 투여군에서 정상군에 가깝게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Table Ⅴ).
건강 추출물이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을 때, PPAR-γ 발현량의 경우, OVX 군은 Sham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으며, 건강 100 ㎎/㎏ 투여군은 OVX 군에 비해 PPAR-γ 발현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Fig. 3).
에스트라디올 농도 및 자궁의 무게 변화, 칼시토닌 농도를 확인하여 여성 갱년기 비만에 대한 건강의 체중 감량 효과가 성호르몬의 작용에 따른 것이 아님을 밝혔으며, leptin, adiponectin, ghrelin 등비만관련 호르몬의 수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비만과 관련된 인자인 지질 농도와 leptin, adiponectin, PPAR-γ 수치 확인 등을 통해 간과 근육에서의 지질 대사와 관련된 작용을 통한 것임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건강 추출물의 비만 관련 호르몬 수치를 비교한 결과, OVX 군은 Sham 군에 비해 leptin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으며, 건강 100 ㎎/㎏ 투여군에서는 OVX 군에 비해 leptin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OVX 군에서 감소한 adiponectin의 수치는 건강 100 ㎎/㎏ 투여에 의해서 OVX + Red Clover 군보다도 유의하게 증가하여 모의수술 정상군 수치에 근접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건강 추출물의 비만 관련 호르몬 수치를 비교한 결과, OVX 군은 Sham 군에 비해 leptin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으며, 건강 100 ㎎/㎏ 투여군에서는 OVX 군에 비해 leptin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OVX 군에서 감소한 adiponectin의 수치는 건강 100 ㎎/㎏ 투여에 의해서 OVX + Red Clover 군보다도 유의하게 증가하여 모의수술 정상군 수치에 근접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ghrelin의 경우 건강 100 ㎎/㎏ 투여군은 OVX군에 비하여 농도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다(Table Ⅵ).
갱년기 동물 모델에서 건강 추출물의 여성 호르몬 개선 효과를 보았을 때, OVX + Red Clover 군의 에스트라디올이 OVX 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건강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의 에스트라디올과 자궁 무게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Table Ⅶ).
이와 같이 실험을 통해 알아본 결과, 건강은 난소절제술로 유도된 갱년기 비만에 효과가 있으며, 간의 기능개선 및 근육의 지질대사 기능 개선을 통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건강이 여성 갱년기 비만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보다 많은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5. 건강 100 mg/kg 투여군은 갱년기 동물 모델의PPAR-γ 발현에 대해 유의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1. 건강 추출물을 1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중 감소가 있었다.
2. 건강 100 mg/kg 투여군은 갱년기 동물 모델의 혈중 지질 수준(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에서 유의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3. 건강 100 mg/kg 투여군은 갱년기 동물 모델의 간 조직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간 기능을 개선시켰다.
4. 건강 100 mg/kg 투여군은 갱년기 동물 모델의 leptin 및 adiponectin 수치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건강은 난소 절제술로 유도된 갱년기 비만에 효과가 있으며, 간의 기능 개선 및 근육의 지질대사 기능 개선을 통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건강이 여성 갱년기 비만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건강은 난소 절제술로 유도된 갱년기 비만에 효과가 있으며, 간의 기능 개선 및 근육의 지질대사 기능 개선을 통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건강이 여성 갱년기 비만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대조군(OVX)은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비해 PPAR-γ 발현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으며, 실험군인 건강 100 ㎎/㎏ 투여군(OVX + G-100mg/kg)은 실험대조군(OVX)에 비해 PPAR-γ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Fig. 3).
갱년기 동물모델에서 건강 추출물을 100 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한 결과 GOT의 경우 건강을 투여한 군(OVX + G-100mg/kg)은 실험 대조군(OVX)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PT의 경우 실험 대조군(OVX)에서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비해 그 증가 폭이 크지는 않았으나, 역시 건강을 투여한 군에서 감소 효과를 보였다(Table Ⅳ).
실험 대조군(OVX)은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비해 leptin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으며, 실험군인 건강 100 ㎎/㎏ 투여군에서는 실험대조군(OVX)에 비해 leptin 농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대조군에서 감소한 Adiponectin의 수치는 건강 100 ㎎/㎏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모의수술 정상군 수치에 근접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대조군(OVX)은 모의수술 정상군(Sham)에 비해 leptin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으며, 실험군인 건강 100 ㎎/㎏ 투여군에서는 실험대조군(OVX)에 비해 leptin 농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대조군에서 감소한 Adiponectin의 수치는 건강 100 ㎎/㎏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모의수술 정상군 수치에 근접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ghrelin의 경우 건강 100 ㎎/㎏ 투여군(OVX +G-100 mg/kg)은 실험 대조군(OVX)에 비해 농도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다(Table Ⅵ).
실험 결과 양성 대조군(OVX + Red Clover)의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실험 대조군(OVX)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지만 건강을 투여한 경우 에스트라디올의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며, 자궁 무게의 경우에도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Table Ⅶ).
후속연구
이는 난소절제 rat의 PPAR-γ 발현이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고, 건강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기존 연구 결과들과 상반되는 결과로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실험을 통해 알아본 결과, 건강은 난소절제술로 유도된 갱년기 비만에 효과가 있으며, 간의 기능개선 및 근육의 지질대사 기능 개선을 통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건강이 여성 갱년기 비만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보다 많은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갱년기란?
갱년기란 여성의 일생에서 생식능력이 끝나는 시기라는 생물학적 개념과 함께 사회, 문화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으며, 폐경전과 폐경기 동안 그리고 폐경기 이후의 일정기간을 포함하는 폐경전후기(perimenopausalphases)를 의미한다1). 여성은 폐경을 전후하여 내분비 계통에 일어나는 급격한 생리적 변화와 여성 호르몬의 생성 중단으로 신체와 정신에 단기 또는 장기간에 걸친 신체적, 정신적, 생리학적인 증상들을 동반하는데 이를 갱년기 증후군이라고 한다2).
갱년기의 비만이 야기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갱년기의 비만은 당뇨, 고혈압, 뇌졸중 및 지방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건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야기한다5). 실제로 폐경 전의 여성보다 폐경 후여성의 체내 지방량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가 있으며6), 갱년기에 비만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7).
갱년기 증후군의 호르몬 변화가 갱년기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은?
여성은 폐경을 전후하여 내분비 계통에 일어나는 급격한 생리적 변화와 여성 호르몬의 생성 중단으로 신체와 정신에 단기 또는 장기간에 걸친 신체적, 정신적, 생리학적인 증상들을 동반하는데 이를 갱년기 증후군이라고 한다2). 이러한 호르몬의 변화는 갱년기 여성의 근육량을 감소시키고 복부 지방축적을 촉진하여 남성형 체형으로 변화시키면서 비만을 유발하고,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증가시킨다3,4).
참고문헌 (37)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eiental obstetrcis & gynecology. Seoul:Euiseongdang publishing company. 2016:228-9.
Choi YD. Clinical gynecology. Seoul:Koer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01;305-26.
Carr MC.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2003;88:2404-11.
Ozebey N, Sencer E, Molvalilar S. Body fat distribution and cardiob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re and post menopausal obese women with similar BMI. Endocr J. 2002;49(4):503-9.
Ahn DK, Park KM, Park KW, Kang H, Kim SJ, Jang BH, et al. Effects of Herbal Mixture Extract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and Cuscuta chinensis Lam. on Menopausal Symptoms in Ovariectomiz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45(8):1083-89.
Kang KH, Lee BC, Ahn SY, Doo HK, Ahn YM. The Effects of Zingiberis rhizoma on Hypothyroidism Rat induced by PTU. Korean J Orient Int Med. 2006;27(3):677-87.
Nam SC, Kang H, Shim BS, Kim SH, Choi SH, Ahn KS. Angiogenic inhibitory effect of Zingiberis Rhizoma. J Korean Orient Oncology. 2006;11(1):55-63.
Shin JH, Lee SJ, Sung NJ. Effects of Zingiber mioga, Zingiber mioga Root and Zingiber dfficinale on the Lipid Concentration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2;31(4):679-84.
Meli R, Pacilio M, Raso GM, Esposito E, Coppola A, Nasti A, et al. Estrogen and raloxifene modulate leptin and its receptor in hypothalamus and adipose tissue from ovariectomized rats. Endocrinology. 2004;145:3115-21.
Wang JF, Guo YX, Niu JZ, Liu J, Wang LQ, Li PH. Effects of Radix Puerariae flavones on liver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World J Gastroenterol. 2004;10:1967-70.
Hong SM, Chil WH, Kim JM, Yong MJ, Lee CB, Park YS, et al. Correlation of Serum Total Testosterone wit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Obes. 2004;13(4):300-7.
You YO. Side Effects and Management of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reapy. J Menopausal Med. 2004;10(1):14-20.
Kim DI. After July 2002, What can we do for menopausal women-A review of recent research about HRT and a proposal of alternative therapies for treating climacteric or menopausal syndrome-. J Orient Obstetrics & Gynecology. 2004;17(3):105-15.
Lee SC, Chung SI, Kang MY. Water extracts of Eucommia ulmoides improve lipid, glucose,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6;48(6):604-9.
Lee SH, Kim DC. Aqueous Extracts of Jibaekjihwang-tang Ameliorate Ovariectomy-induced Climacterium Symptoms in Mouse. J Korean Obstet Gynecol. 2017;30(2):16-36.
Kim HC. Korea medicine pharmacology. Seoul:Jipmoondang publishing company. 2001:250-252.
Wronski TJ, Cintron M, Dann LM.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bone loss and increased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1988;43:179-83.
Yoshimatsu H, Itateyama E, Kondou S, Tajima D, Himeno K, Hidaka S, Kurokawa M, et al. Hypothalamic neuronal histamine as a target of leptin in feeding behavior. Diabetes. 1999;48:2286-91.
Maffei M, Halaas J, Ravussin E, Pratley RE, Lee GH, Zhang Y, et al. Leptin levels in human and rodent: measurement of plasma leptin and ob RNA in obese and weight-reduced subjects. Nature Medicine. 1995;1:1155-61.
Perusse L, Collier G, Gagnon J, Leon AS, Rao DC, Skinner JS, et al.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exercise on leptin levels in human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997;83:5-10.
Fatouros IG, Tournis S, Leontsini D, Jamurtas AZ, Sxina M, Thomakos P, et al. Leptin and adiponectin responses in overweight inactive elderly following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are intensity related. Clin. Endocrinol. Metab. 2005;90(11):5970-77.
Kojima M, Hosoda H, Date Y, Nakazato M, Matsuo H, Kangawa K. Ghrelin is a growth-hormone-releasing acylated peptide from stomach. Nature. 1999;402:656-60.
Asakawa A, Inui A, Kaga T, Yuzuriha H, Nagata T, Ueno N, et al. Ghrelin is an appetite-stimulatory signal from stomach with structural resemblance to motilin. Gastroenterology. 2001;120:337-45.
Hansen TK, Dall R, Hosoda H, Kojima M, Kangawa K, Christiansen JS, et al. Weight loss increases circulating levels of ghrelin in human obesity. Clin Endocrinol. 2002;56:203-6.
Kliewer SA, Forman BM, Blumberg B, Ong ES, Borgmeyer U, Mangelsdorf DJ, et al. Differential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a family of murin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roc Natl Acad Sci. 1994;91:7355-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