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공조용 1마력급 2상 BLDC 팬모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2-phase BLDC Fan Motor with 1-horsepower Class for Air Conditioning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논문은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1마력급 2상 BLDC 팬모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BLDC 모터는 수명 및 내구성이 우수한 무정류자 모터방식이며 2상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모터의 가장 중요한 목표사양은 정격운전점에서 높은 효율을 갖는 것이다. 이를 위해 BLDC 모터의 고정자 형상과 회전자 자석의 설계를 수행하고 구동을 위한 제어회로를 설계하였다. BLDC 모터는 모터부와 제어부 그리고 전원부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BLDC 모터의 특성계산을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사용하였으며 시제품의 제작 및 성능시험을 실시하여 설계결과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1hp class two-phase type BLDC fan motor used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e BLDC motor, which is implemented in this study, is not a commutator motor type with excellent lifetime and durability and is driven by two phase power source. The most important target specification of a motor used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that it has a high efficiency at the rated operating point. For this purpose, we designed the stator shape of the BLDC motor, the design of the rotor magnet, and the control circuit for driving. The BLDC motor has a structure where the motor part, the control part, and the power part are integrate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DC motors, and the conformity of the design results was confirmed by fabricating and testing the prototype model.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1마력급 2상 BLDC 팬모터를 대상으로 효율 향상효과를 얻고자 고정자에 보조치를 추가한 형상설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1마력급 2상 BLDC 팬모터를 대상으로 효율 향상효과를 얻고자 고정자에 보조치를 추가한 형상설계를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LDC 모터
BLDC 모터 회전자에 무엇을 사용하는가?
영구자석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BLDC 모터는 유도 모터와 달리 역률과 효율특성이 우수하지만 영구자석의 재료로 사용되는 희토류자석 재질의 가격이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심하게 변동하는 이유로 모터 제조원가 또한 불안정하게 변동된다. 이는 모터업체의 불안정한 수익성으로 연결되고 있다.

DC(BLDC) 모터
DC(BLDC) 모터의 특성은?
가전기기 및 산업기기 분야에서 고출력 및 고효율

가전기기 및 산업기기 분야에서 고출력 및 고효율 특성을 갖는 Brushless 타입의 DC(BLDC) 모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 BLDC 모터는 특히 전기적인 제어회 로를 이용하여 속도 및 토크의 제어가 용이하고 소형화, 저소음 및 유지보수성 우수한 특징을 갖기 때문에 공조시스템 및 자동차분야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다 [6-7].

에너지효율관리 3대 프로그램
정부주도하의 에너지효율관리 3대 프로그램에는 무엇들이 있는가?
첫째, 에너지소비량이 많고 시중이 많이 보급된 제품을 1에서 5등급으로 구분하여 에너지소비효율 등급라벨을 부착하고 최기준에 미달한 제품에 대해 생산 및 판매를 금지하는 에너지소비효율 등급표시제도 둘째, 산업분야와 건물에 사용되는 고효율설비의 보급을 위해 일정기준 이상의 효율특성을 갖는 제품을 인증하는 고효율 기자재 인증제도 셋째,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대기시간 중에 절 전모드 상태와 대기전력의 최소화를 유도하고 대기전력 저감 기준 달성제품에 대해 에너지절약마크를 표시하는 대기전력 저감 프로그램을 말한다

먼저 국내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부주도의 에너지효율관리 3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첫째, 에너지소비량이 많고 시중이 많이 보급된 제품을 1에서 5등급으로 구분하여 에너지소비효율 등급라벨을 부착하고 최기준에 미달한 제품에 대해 생산 및 판매를 금지하는 에너지소비효율 등급표시제도 둘째, 산업분야와 건물에 사용되는 고효율설비의 보급을 위해 일정기준 이상의 효율특성을 갖는 제품을 인증하는 고효율 기자재 인증제도 셋째,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대기시간 중에 절 전모드 상태와 대기전력의 최소화를 유도하고 대기전력 저감 기준 달성제품에 대해 에너지절약마크를 표시하는 대기전력 저감 프로그램을 말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0)

  1. 1. J. Kim, "Characteristic comparison analysis for standard and high-efficiency induction motor," Tra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6, no. 4, Dec. 2007, pp. 186-109. 
  2. 2. J. Kim, "Characteristics for current and power of induction motor by load variation," Tra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5, no. 8, Aug. 2011, pp. 82-87. 
  3. 3. P. Han and J. Lee, "The study of efficiency and characteristics comparison between aluminum and copper die casting induction motor for improving efficiency," Tra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1, no. 1, Jan. 2012, pp. 70-74. 
  4. 4. G. Ryu and J. Lee, "High efficiency design of IE4 class synrm substituting for induction motor,"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9, no. 11, Nov. 2015, pp. 35-40. 
  5. 5. J. Kim, "A study on the optimum selection of the power factor compensation condenser according to the improved efficiency of induction motor," Tra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5, no. 7, Jul. 2016, pp. 1311-1315. 
  6. 6. S. Kwak, H. Kim, and J. Ya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il pump control system driven by a brushless dc electric motor,"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1, Jan. 2014, pp. 83-90. 
  7. 7. Y. Jeon and M. Cho, "A speed control of BLDC motor using adaptive back stepping technique,"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8, Sep. 2014, pp. 899-905. 
  8. 8. S. Lee, Y. Jeon, and W. Cho, "Position and speed control of the BLDC motor based on the back-stepping(gain design),"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0, no. 3, Mar. 2015, pp. 403-412. 
  9. 9. J. Yang and S. Kwak, "Design of brushless DC motor speed control system for handpiece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1. no. 6, Jun. 2016, pp. 597-604. 
  10. 10. M. Rahman and, H. Rahman, "Performance of newly developed integrated space conditioning and domestic water heating device," J. of Energy & Environment, vol. 3, no. 1, 2011, pp. 23-27.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