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디자인 조형을 응용한 캐릭터 컨셉 디자인
Character Concept Designs Utilizing Formative Methods in Fashion Design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8 no.3, 2018년, pp.103 - 112  

최미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게임학과) ,  김예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게임학과) ,  백철호 (홍익대학교 대학원 게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캐릭터 디자인에 있어 '패션'은 캐릭터의 정체성과 성격, 개성과 설정을 한눈에 뚜렷하게 제시해주는 강력한 도구이다. '특정한 시기에 유행하는 복식이나 두발의 일정한 형식'으로 정의되는 패션은 의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신구, 헤어를 포함한 메이크업 등을 아우르는 하나의 '이미지'를 창조해낸다. 현재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반영하는 실제 런웨이 위의 패션 디자인과 게임업계 내의 캐릭터 디자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러한 패션의 중요성에 비해 캐릭터 디자인에서 패션 디자인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과 접목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캐릭터 디자인과 패션 디자인 사이의 상호 영향에 대한 고찰을 하고, 패션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조형적 고찰의 접목이 보다 응용된 시각적 시도의 캐릭터 컨셉 디자인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sh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game character design. However, despite its influence, analytical approaches in integrating fashion design methods in character designs are rare practices within the industry. The following paper aims point out the practicality of integrating and u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following paper aims to point out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fashion design and character concept designs, and point out the practicality of integrating and utilizing theoretical and formative methods in fashion design in creating character concept designs and show how the following application can create visual stimuli for artists and aid them in future concept developme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Fashion. (2017). In OxfordDictionaries.com. Retrieved from 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fashion. 

  2. Hyo-Jin Lee and A-Rang Yang, "The Ways in which Clothes worn by Game Characters a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58, No. 4, pp86-98, 2008. 

  3. Hyo-Jin Lee and A-Rang Yang, "The Ways in which Clothes worn by Game Characters a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58, No. 4, pp86-98, 2008. 

  4. Ji Hyun Yi and Chung-Kon Shi, "Synthetic character generation strategies: character design through the application of novel conceptual combination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and Technology, Vol. 9, No. 4, pp346-379, 2016. 

  5. Jung-Lip Seo and Kyoung-Ok Jin, "On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Cyber Character's Fashion in the Cyber-space Ga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54, No. 3, pp99-112, 2004. 

  6. Mi-Young Kim. "Types of Expressio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On-line Game Characters' Body and Costum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 13, No.3, pp425-438, 2005. 

  7. Knox, Kristin, Alexander McQueen: Genius of a generation, A&C Black, 2010. 

  8. Jung-Lip Seo and Kyoung-Ok Jin, "On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Cyber Character's Fashion in the Cyber-space Ga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54, No. 3, pp99-112, 2004. 

  9. Hyun-Ju Oh, "A Study On the Formative Of The Game Character",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Vol. 2, No. 2, pp108-118, 2004. 

  10. Mi-Youn Kim, "The study of people character design shown in domestic online game", Journal of Korea Illustratiors Association, Vol. 13, pp71-94, 2006. 

  11. Hyun-Ju Oh, "A Study On the Formative Of The Game Character",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Vol. 2, No. 2, pp108-118, 2004. 

  12. Min-Sun Lee, "Application of Fashion Design to Mobile-Phone Game Character's Dress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57, No. 3, pp 63-77, 2007. 

  13. Mi-Ra Seo and Ae-Kyung Kim, "Fashion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Fame Charact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343-34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