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Effectiveness of R&D Tax Credit for SME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2, 2018년, pp.663 - 683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  조호수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  백철우 (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기업별 조세감면액 자료에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확률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 그리고 패널 음이항모형(Panel Negative Binomial Model)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는 경우 R&D 조세감면이 R&D 직접지원에 비해 R&D 투자 제고효과는 5.3배, 연구원 수 증가효과는 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소재 기업에서 조세감면의 효과가 직접 지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위해 창업 중소기업의 미사용 R&D 세액공제액의 세금 포인트 전환, 중소기업의 R&D설비투자 비용에 대한 최저한세 적용 배제, R&D 세액공제 제도의 통합 운영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D tax credit for SMEs. We survey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firm's financial statements and R&D tax credit during 2014-2016, and implemented fixed effect model, random effect model and panel negative binomial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분석에서는 정부 R&D 지원제도의 기업 R&D 투자 증대 효과 뿐 아니라 기업의 연구원 수에 미치는 영향 또한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제도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세제 개편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가장 최근인 2014∼2016년의 자료를 활용하고 R&D 조세지원제도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들과의 차별화를 모색하였다.
  • 이를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최근 3년간 기업별 조세감면액 자료를 활용하여 R&D 조세지원제도와 정부 R&D 지원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R&D투자액에 대한 영향 뿐만 아니라 연구원 수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소재지별 특성을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당기순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의 비율로 기업의 수익이 다음 해에 R&D 투자로 사용된다는 가정 하에 1년 전기 값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핵심 설명변수인 R&D 조세감면액과 정부로부터의 R&D 지원금, 투자 여력을 나타내는 당기순이익률 등은 시차를 가지고(t-1년도) 그 다음 해(t년도)에 R&D 투자액과 연구원 고용 창출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여 1년도 전기(lag) 변수를 사용하며, 이 변수들을 식 (1)에서 x2i(t -1)로 표기하였다.
  • 앞선 방법론에서의 단계대로 t-1기의 R&D 조세감면액을 내생적이라고 가정하고 generalized 2SLS 모형으로 추정한 후, 내생성이 없다고 가정하고 Random effect panel data model로 추정하고 이에 대해서 Hausman test를 실시하였다.
  • 이를 모형으로 표현하자면 Fixed effect model에서는 위 식 (2)의 특성변수 ui를 추정해야 할 모수(parameter)로 간주하는 반면, Random effect model에서는 이를 확률변수(random variable)로 가정한다. 식 (2)는 아래의 식 (3)과 같이 쓸 수도 있으며, Fixed effect는 (α + ui)를 패널 개체별 상수항으로 고정된 모수(fixed parameter)로 간주하여 개별 효과에 대한 오차항을 별도로 추정할 필요가 있다.
  • 핵심 설명변수인 R&D 조세감면액과 정부로부터의 R&D 지원금은 1년의 시차를 가지고 그 다음 해에 R&D 투자액과 연구원 고용 창출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D 조세감면이 직접지원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기업별 조세감면액 자료에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과 확률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 그리고 패널 음이항모형(Panel Negative Binomial Model)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는 경우 R&D 조세감면이 R&D 직접지원에 비해 R&D 투자 제고효과는 5.3배, 연구원 수 증가효과는 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소재 기업에서 조세감면의 효과가 직접 지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R&D 조세지원의 효과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R&D 조세지원의 효과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변수의 설정에 따라 대리변수로 ‘사용자 비용(user cost)’을 활용한 연구, ‘B-지수’를 활용한 연구와 조세감면액을 직접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기업의 실제 조세감면액을 분석한 결과가 가지는 한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업의 실제 조세감면액을 직접적으로 분석한 연구들도 일부 존재한다(김상헌・손원익, 2006; 원종학・김진수, 2006; 최대승, 2015). 하지만 이들은 2010년 이전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최근의 R&D 변화 추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하며, 일부 연구는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송종국・김혁준(2009), 신태영(2004) 등 일부 연구에서만 R&D 조세감면과 R&D 직접지원의 영향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있으며, 분석 대상 또한 R&D투자액에 한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기획재정부 (각연도), 조세지출예산서, 세종 : 기획재정부. 

  2. 김상헌.손원익 (2006), "기업의 연구개발에 대한 조세지원의 효과 : 기업별 세액공제 자료를 바탕으로", 공공경제, 11(2): 101-122. 

  3. 김학수 (2007),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 분석", 서울 : 한국경제연구원. 

  4. 노민선 (2017),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 서울 : 중소기업연구원. 

  5. 노민선.박수진.송창현 (2017), "개방형 혁신 촉진을 위한 R&D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2(4). 

  6. 노민선 외 (2017)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대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7. 손원익 (2002),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의 실효성 분석", 서울 : 한국조세연구원. 

  8. 송종국.김혁준 (2009), "R&D투자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17(1): 1-48. 

  9. 신태영 (2004), "기업 혁신능력 확충을 위한 정부 연구개발투자 전략 : 정부의 R&D투자가 민간의 R&D투자에 미치는 영향",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원종학.김진수 (2006), "연구개발투자 조세지원제도의 효과분석 : 기업별 자료를 사용한 분석", 산업경제연구, 19(4): 1653-1679. 

  11. 중소기업중앙회 (2017), "2018 경기전망 및 경제환경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 중소기업중앙회 

  12. 최대승 (2013), "R&D 조세지원제도 효과분석을 통한 일몰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3. 최대승 (2015), "기업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실증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5), "산업계 R&D 조세감면 지원정책에 대한 실태조사", 서울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15.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6), "2017년 산업계 연구개발 전망조사 보도자료", (2016.12.14.). 

  16.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7), "기업 85.7% "R&D조세지원 축소되면 연구원 신규채용 축소", (2017.7.12.). 

  17. Baghana, R. and Mohnen, P. (2009), "Effectiveness of R&D Tax Incentives in Small and Large Enterprises in Quebec", Small Business Economics, 33(1): 91-107. 

  18. Bloom, N., Griffith, R. and Van Reenen, J. (2002), "Do R&D Tax Credits Work? Evidence from a Panel of Countries 1979-1997",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5(1): 1-31. 

  19. Cameron, A. C. and Trivedi, P. K. (1986), "Econometric Models Based on Count data. Comparisons and Applications of Some Estimators and Tests",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1(1): 29-53. 

  20. Cameron, A. C. and Trivedi, P. K. (2005). Microeconometric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5-743. 

  21. Gardner, W., Mulvey, E. P. and Shaw, E. C. (1995), "Regression Analyses of Counts and Rates: Poisson, Overdispersed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18(3): 392. 

  22. Hall, B. H. (1993), "R&D Tax Policy During the Eighties: Success or Failure?", Tax Policy and the Economy, 7: 1-36. 

  23. Hausman, J. A. and Taylor, W. E. (1981), "Panel Data and Unobservable Individual Effects",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1377-1398. 

  24. Kasahara, H., Shimotsu, K. and Suzuki, M. (2014), "Does an R&D Tax Credit Affect R&D Expenditure? The Japanese R&D Tax Credit Reform in 2003", CESifo Working Paper No. 4451. 

  25. Koga, T. (2003), "Firm Size and R&D Tax Incentives", Technovation, 23(7): 643-648. 

  26. Lokshin, B. and Mohnen, P. (2012), "How Effective are Level-Based R&D Tax Credits? Evidence from the Netherlands", Applied Economics, 44(12): 1527-1538. 

  27. OECD (2013), "Entrepreneurship at a Glance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