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mentia Risk Factors on the Cognitive Function Ability declin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265 - 272  

함민주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차태현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임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43명을 대상으로 치매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간이 설문지, 노인우울척도,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학과 초졸 이하의 학력, 연령, 우울상태, 흡연, 여가활동,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인지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인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다각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mentia risk factors. We conducted a simple questionnaire, GDS-K and MMSE-DS tests to investigate the risk of dementia among 143 elderly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 정도를 확인하여 치매 위험인자가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수준은 일반적 특성 및 치매 위험요인 중 성별, 연령, 학력, 1일 운동량, 여가활동, 흡연, 우울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 고위험군인 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인지기능 수준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주요 치매 위험인자를 확인하였고 독거노인 집단의 치매예방 및 인지기반 중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가 노인복지관 및 보건소를 이용하고 있는 독거노인 일부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독거노인의 특성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연구적 제한점이 존재한다.
  • 치매는 개인이 조절가능 한 인자와 불가능한 인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인구 고령화가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장기적인 차원에서 치매 위험 감소에 초점을 맞추고 조절 가능한 위험 요소에 대한 근거 자료 수집이 필요하며 두뇌 건강을 촉진,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정책과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11,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 고위험 관리대상에 해당하는 독거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치료적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의 실태는 무엇인가? 5%를 차지하였다[2]. 독거노인은 가족, 친구, 이웃 등 사회적 관계망과의 교류가 단절되고 사회적 역할상실에 따른 외로움과 고립감이 매우 높은 편이며 사별, 이혼, 별거 등으로 배우자가 없는 독거노인은 비독거노인에 비하여 우울증상을 두 배 이상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4]. 특히, 사회활동이 떨어지는 독거노인은 비교적 단순한 생활패턴으로 인하여 부부나 자녀동거 노인 집단에 비하여 인지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5], 고령자에게서 나타나는 우울증의 발병은 치매의 첫 징후로 의심할 수 있다[6].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른 인식은 어떠한가? 최근에는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치매 유병률 증가, 치매 환자의 돌봄과 관리방안이 국가와 지역사회의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7], 치매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치매 위험인자 관리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8]. 선행연구에서는 고령, 여성, APOE 유전자,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저밀도지질단백질 등의 만성질환 보유, 흡연과 음주, 우울증 등이 치매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위험인자임을 보고하였으며[9], 이러한 위험인자는 주로 87세 이전의 치매환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43명을 대상으로 치매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간이 설문지, 노인우울척도,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학과 초졸 이하의 학력, 연령, 우울상태, 흡연, 여가활동,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인지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인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다각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 J. Nam, S. H. Hwang, Y. J. Kim, S. J. Byoen & K. W. Kim. (2017).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7. Seongnam-si :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 Statistical Korea, 2017 elderly people statistics, http://kostat.go.kr. 2017. 

  3. Eom, E. T. (2007). Elderly suicide and its related factors: Focused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stery in the effects of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 355-379. 

  4. J. N. Sohn. (2012).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Live with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1(2,), 118-126. 

  5. Y. M. Jung & J. H. Kim.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ut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495-503. DOI: 10.4040/jkan.2004.34.3.495 

  6. D. Kitching. (2015). Depression in dementia. Australian Prescriber, 38, 209-211. DOI: 10.18773/austprescr.2015.071 

  7. N. Curry, H. Holder & L. Patterson. (2013). Caring for an Older Population - Points to Consider from Reform in Japan. London : Research report. Nuffield Trust Publishing. 

  8. OECD. (2015). Addressing Dementia: The OECD Response. Paris : OECD Publishing. 

  9. C. N. Lee & K. W. Park. (2012). Risk Factors of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3), 129-132. DOI: 10.4093/jkd.2012.13.3.129 

  10. M. Ganguli, C. W. Lee, B. E. Snitz, T. F. Hughes, E. McDade & C. C. Chang. (2015). Rates and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to incident dementia vary by age in a population cohort. Neurology, 84(1), 72-80. DOI: 10.1212/WNL.0000000000001113 

  11. M. Prince, E. Albanese, M. Guerchet, & M. Prina. (2014). Dementia and risk reduction - an analysis of protective and modifiable risk factors. London: Alzheimer Disease International Publishing. 

  12. M. Prince, G. C. Ali, M. Guerchet, A. M. Prina, E. Albanese & Y. T. Wu. (2016). Recent global trends in the prevalance and incidence of dementia, and survival with dementia.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8(23), 1-13. DOI: 10.1186/s13195-016-0188-8 

  13. J. A. Yesavage, T. L. Brink, T. L. Rose, O. Lum, V. Huang, M. Adey & V. O. Leirer.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14. I. K. Jung, D. I. Kwak, D. K. Shin, M. S. Lee, H. S. Lee & J. Y. Kim. (1997).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6, 103-112. 

  15. J. N. Bae & M. J. Cho. (2004).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its short form among elderly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3), 297-305. DOI: 10.1016/j.jpsychores.2004.01.004 

  16. J. W. Han, T. H. Kim, J. H. Jhoo, J. H. Park, J. R. Kim, S. H. Ryu ... & K. W. Kim. (2010).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Its Short form(SMMSE-DS)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irc Psychiatry, 14(1), 27-37. 

  17. M. Folstein, S. Folstein & P. McHugh.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3), 189-198. 

  18. H. W. Kang. (2016). The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 995-1009. 

  19. J. C. Allaire & K. E. Whitfield. (2004).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 Age,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Older African Americans: The Impact of Desegregation. Aging Neuropsychology and Cognition, 11(4), 443-449. DOI: 10.1080/13825580490521511 

  20. J. W. Choi, M. U. Chun & S. G. Kang. (2017).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Typ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31-444. 

  21. G. H. Suh, J. K. Kim, B. K. Yeon, S. K. Park, K. Y. Yoo, B. K. Yang ... & M. J. Cho. (200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5), 809-824. 

  22. J. J. Sun & S. H. Oh.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Life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55-64. DOI: 10.22156/CS4SMB.2017.7.3.055 

  23. J. Y. Lee, M. J. Ham, J. Y. Pyeon, E. S. Oh, S. H. Jeong, E. H. Sohn ... & A. Y. Lee. (2017). Factors Affecting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ho Live Alone: Cas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16(1), 12-19. DOI: 10.12779/dnd.2017.16.1.12 

  24. C. G. Lyketsos, L. Baker, A. Warren, C. Steele, J. Brandt, M. Steinberg ... & A. Baker. (1997). Major and minor depression in Alzheimer's disease: prevalence and impact.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9, 556-561. 

  25. E. Duron & O. Hanon. (2008). Vascular risk factors,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Vascular Health Risk Management, 4(2), 363-381. 

  26. L. A. Yates, S. Ziser, A. Spector & M. Orrell. (2016). Cognitive leisure activities and futur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8(11), 1791-1806. DOI: 10.1017/S1041610216001137 

  27. E. J. Lim.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4), 1849-1856. DOI: 10.5762/KAIS.2013.14.4.1849 

  28. M. W. Kim & J. M. Park. (2017).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fender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Epidemiology and Health, 39, 1-20. DOI: 10.4178/epih.e2017054 

  29. L. Fratiglioni, S. Paillard-Borg & B. Winblad. (2004). An active and socially integrated lifestyle in late life might protect against dementia. The Lancet Neurology, 3(6), 343-353. 

  30. J. K. Kang & J. Y. Lee. (2015). Status and Tasks of ICT-base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3(1), 67-76. DOI: 10.14400/JDC. 2015.13.1.67 

  31. J. S. Kim. (2018). The Structural Model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29-36. DOI: 10.22156/CS4S MB.2018.8.2.029 

  32. J. S. Park & Y. J. Yu. (2016).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4(11), 63-70. DOI: 10.14400/JDC.2016.14.11.63 

  33. S. M. Kim, H. J. Seo & M. R. Sung. (2014). Factors Affecting Dementia Prevalence in People Aged 60 or Over: A Community based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4), 391-397. DOI: 10.4040/jkan.2014.44.4.391 

  34. B. L. Zhong, S. L. Chen, X. Tu & Y. Conwell. (2017). Loneli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Findings From the Chinese Longitudinal Healthy Longevity Surve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72(1), 120-128. DOI: 10.1093/geronb/gbw0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