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 단절에 따른 의사소통 회복전략 특성
The Communication Repair Strateg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mmunication Breakdown of Elderly Man With Alzheimer's Dementia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8 no.4, 2019년, pp.53 - 63  

김선영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  박희준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성공적인 대화를 위해서 의사소통 단절이 일어났을 때 여러 가지 의사소통 회복 전략을 사용해야 하지만 치매 노인의 경우 그 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여 의사소통 문제가 증가된다. 이에 대화 담화에서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 단절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회복 전략 특성이 일반 노인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 중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ementia; AD) 노인 8명과 일반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집단 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단절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단절 수와 회복률 차이와 집단별 회복전략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자와 1:1로 대화 담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발화 중 200 발화를 기준으로 의사소통 단절과 의사소통 회복전략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AD 집단은 일반 집단보다 의사소통 단절 수가 많았으나 의사소통 단절의 회복률은 집단 간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AD 집단에서 의사소통 회복전략 중 표현 전략비구체적 회복 전략, 명료화 요구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표현 전략 사용 후 회복률은 설명 전략, 복합 전략, 비구체적 전략, 반복 확인 전략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반응 전략바꾸어 말하기 전략, 복합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반응 전략 사용 후 회복률은 간략히 말하기 전략, 반복하기 전략, 몸짓 전략이 100%로 나타났다. 결론 : AD 집단은 의사소통 단절이 일반 집단에 비해 많았으며, 의사소통 회복 전략 간 회복 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양한 표현 전략과 반응 전략을 사용하는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AD 집단은 표현 전략에서는 비구체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반응 전략에서는 바꾸어 말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 이는 일반 집단과 다른 특성으로 AD 노인의 언어 재활에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Many communication recovery strategies should be used when communication breakdowns occur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however, communication problems increase due to inadequate use of such strategies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의사소통 상황인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단절이 발생했을 때 치매 노인과 일반 노인 간의 의사소통 단절 수와 회복률, 의사소통 회복 전략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 것은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치매 집단, 일반 집단) 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단절 유형(연구대상자 단절, 연구자 단절)에 따른 의사 소통 단절 수와 회복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집단(치매 집단과 일반 집단)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회복 전략(표현 전략, 반응 전략)의 특성이 어떠한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이를 AD 노인의 중재에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AD 노인의 의사소통 회복전략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AD 노인에게 의사소통 회복 전략을 지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집단(AD 집단, 일반 집단) 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단절 유형(연구대상자 단절, 연구자 단절) 에 따른 의사소통 단절 수와 회복률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집단(AD 집단, 일반 집단)별 의사 소통 회복 전략(표현 전략, 반응 전략)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는 아래와 같다.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치매 집단, 일반 집단) 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단절 유형(연구대상자 단절, 연구자 단절)에 따른 의사 소통 단절 수와 회복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집단(치매 집단과 일반 집단)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회복 전략(표현 전략, 반응 전략)의 특성이 어떠한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단절이 나타났을 때 어떤 의사소통 회복 전략이 의사소통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의 결과를 통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대화 담화 분석을 통해 화용적 측면에서 AD 집단의 언어 특성을 살펴보았다. AD 집단은 연구대상자 단절, 연구자 단절이 일반 집단에 비해 많았으며, 의사소통 회복전략 간 회복 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양한 표현 전략과 반응 전략을 사용하는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집단(AD 집단, 일반 집단) 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단절 유형(연구대상자 단절, 연구자 단절) 에 따른 의사소통 단절 수와 회복률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집단(AD 집단, 일반 집단)별 의사 소통 회복 전략(표현 전략, 반응 전략)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 대화 시작은 인사와 연구자 소개로 시작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그 날의 날씨나 식사 등에 대해 간단히 질문하여 대화를 나눈 뒤 대화 담화 과제로 들어갔다. 연구대상자들이 노약자이므로 연구대상자에게 대화 중 불편한 점이나 대화를 계속해도 되는지에 대해 질문을 해서 이를 확인했다. 연구대상자 단절이 나타났을 때는 연구대상자가 자유롭게 표현 전략을 사용하고 연구자는 바꾸어 말하기 전략을 중심으로 반응했다.
  • 그리고 집단(치매 집단과 일반 집단)별 대화 담화에서 의사소통 회복 전략(표현 전략, 반응 전략)의 특성이 어떠한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단절이 나타났을 때 어떤 의사소통 회복 전략이 의사소통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기질적 뇌질환 때문에 지능, 기억, 의사소통 기능이 오랫동안에 걸쳐 점진적으로 퇴행하는 것이며 이로 말미암아 사회에서 또는 직업에서 그 기능을 할수 없게 된다(Bayles, 1982). 치매는 의사소통에 부정적 영향을 주어 치매 노인이 다른 사람들과 순조롭게 상호 작용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치매 노인의 대표적인 언어 특성은 어떠한가? 치매 노인의 대표적인 언어 특성은 주제 응집력에서 많은 결함을 보이고(Dijkstra, Bourgeois, Allen, & Burgio, 2004; Garcia & Joanette, 1994), 지나치게 장황하며(Appell, Kertesz, & Fisman, 1982), 어휘 사용이 제한적이고, 단어 찾기에 많은 문제를 보인다(Kempler, 1991). 그리고 치매 노인의 요양 인력들이 치매 노인과 의사소통하는 것이 어렵다고 보고되었다 (Suh & Choi, 2010).
의사소통 단절유형 중 연구대상자 단절은 어떤 경우를 말하는가? 연구대상자 단절은 연구대상자 즉, AD 노인 또는 일반 노인이 의사소통 단절 발생을 인식하는 맥락이다. 연구대상자가 연구자의 말을 잘 듣지 못했거나, 언어 이해 능력의 부족으로 이해하지 못했거나, 연구자가 정확하지 않은 말을 하여 연구대상자 관점에서 의사소통 단절이 나타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ational Institute Demnetia. (2019).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8. Retrieved from https://www.nid.or.kr. 

  2. Stastics Korea. (2019). Future population estimate: Main population indicators.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 

  3. Appell, J., Kertesz, A., & Fisman, M. (1982). A study of language functioning in Alzheimer patients. Brain and Language, 17(1), 73-91. doi:10.1016/0093-934X(82)90006-2 

  4. Bayles, K. A. (1982). Language function in senile dementia. Brain and Language, 16(2), 265-280. doi:10.1016/0093-934X(82)90086-4 

  5. Choi, I. J. (2001). Responses to requests for clarification in normal and deaf childre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Choi, S. H., Na, D. L., Lee, B. H., Hahm, D. S., Jeong, J. H., Jeong, Y., ... Ahn, S. S. (2002).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Global Deterioration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6), 612-617. 

  7. Dijkstra, K., Bourgeois, M. S., Allen, R. S., & Burgio, L. D. (2004). Conversational coherence discourse analysis of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dementia. Journal of Neurolinguistics, 17(4), 263-283. doi:10.1016/S0911-6044(03)00048-4 

  8. Garcia, L. J., & Joanette, Y. (1994). Conversational topic-shifting analysis in dementia. Discourse Analysis and Applications: Studies in Adult Clinical Populations, 161-183. doi:10.1111/0023-8333.51997005 

  9. Golinkoff, R. M. (1986). ‘I beg your pardon?’: The preverbal negotiation of failed messages. Journal of Child Language, 13(3), 455-476. doi:10.1017/S0305000900006826 

  10. Kang, Y. W., Na, D. L., & Hahn, S. H. (1997). A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2), 300-308. 

  11. Kempler, D. (1991), Language changes in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In R. Lubinski(Eds.), Dementia and Communication(pp. 98-114). Philadelphia: B. C. Decker, inc. 

  12. Mentis, M., Briggs-Whittaker, J., & Gramigna, G. D. (1995). Discourse topic management in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5), 1054-1066. doi:10.1044/jshr.3805.1054 

  13. Min, J. S., Yoon, J. H., Na, D. L., & Lee, Y. K. (2018).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in frontotemporal dementia: Comparison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3(1), 146-159. doi:10.12963/csd.18468 

  14. Orange, J. B., Lubinski, R. B, & Higginbotham, D. J. (1996). Conversational repair by individual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4), 881-895. doi:10.1044/jshr.3904.881 

  15. Orange, J. B., Van Gennep, K. M., Miller, L., & Johnson, A. M. (1998). Resolution of communication breakdown in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26(1), 120-138. doi:10.1080/00909889809365495 

  16. Roth, F. P., & Spekman, N. J. (1984). Assessing the pragmatic abilities of children: Part 1.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assessment paramet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9(1), 2-11. doi:10.1044/jshd.4901.02 

  17. Shon, E. N., & Park, S. H. (2008). A comparative study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of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47(2), 143-166. 

  18. Suh, H. K., & Choi, H. J. (2010). An analysis of caregivers'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problems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3), 1-18. 

  19. Tye-Murray, N. (2015). Foundations of aural rehabilitation children, adults, and their family members (4th ed.). Stanford: Cengage Learning. 

  20. Watson, C. M., Chenery, H. J., & Carter, M. S. (1999). An analysis of trouble and repair in the natural conversations of people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Aphasiology, 13(3), 195-218. doi:10.1080/026870399402181 

  21. Williams, L. J., Abdi, H., French, R., & Orange, J. B. (2010). A tutorial on multiblock discriminant correspondence analysis (MUDICA): A new method for analyzing discourse data from clinical population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3(5), 1372-1393. doi:10.1044/1092-4388(2010/08-01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