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 일부지역 성인의 기능성 음료 구매실태
Actual Purchasing of Functional Beverages for Adults in Chungnam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4, 2018년, pp.520 - 531  

최선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식품영양전공) ,  이제혁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urchasing status of functional beverages for adults in the Chungnam area. In this case, the reasons to buy the functional beverages for men were 'recovery of fatigue (43.1%)', 'quenching thirst (21.6%)', 'health promotion (19.6%)', 'supply of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능성 음료에 대한 인식 및 구매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기능성 음료의 구매와 섭취 시 기능성 음료에 대한 지침서 및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능성 음료의 구입 실태, 구입 경험, 인식, 섭취빈도 및 태도 등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를 20세 이상의 성인으로 한정하여 기능성 음료의 구매경험과 이유, 장소와 기능성 음료에 대한 정보의 습득경로와 비용, 구매 시 고려요인, 구매 후 인지효과를 파악하여 기능성 음료의 생산과 마케팅에 대한 전략의 설정과 새로운 기능성 음료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와 성인의 기능성 음료의 구매에 관한 영양교육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기능식품은 무엇인가?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가공 제조한 식품으로 캡슐, 과립, 음료, 정제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a), 그 중 음료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선호도가 높았다(Kim SJ 2008). 이에 따라 기능성을 내세우는 많은 음료들이 개발, 출시되어 소비자들의 기호와 건강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카페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에너지 음료를 과량 음용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건강 문제는? 하지만 기능성 음료에 관한 정확한 정보의 부족과 습관적인 음료섭취로 인하여 특정 영양소별 상한섭취량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카페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에너지 음료를 단시간 과량으로 음용할 경우, 신경과민, 심장박동수 증가, 체내 무기질의 지나친 배설, 위산 분비 촉진으로 인한 궤양 악화, 속쓰림 등의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Lee & La 2014). 따라서 소비자가 기능성 음료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올바르게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의 제공 및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기능성 음료에 대한 인식 및 구매실태를 조사한 결과, 기능성 음료를 구입하는 이유는 남녀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3. 기능성 음료를 구입하는 이유는 남자는 ‘피로회복’이 43.1%, ‘갈증해소’가 21.6%, ‘건강증진’이 19.6%, ‘영양보충’이 15%, ‘다이어트’가 7%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자는 ‘피로회복’이 28.6%, ‘건강증진’이 26.4%, ‘갈증해소’가 22.1%, ‘영양보충’이 12.9%, ‘다이어트’가 10% 순으로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HS. 2013.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ermented vegetable beverage by gen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318-323 

  2. Chang MK, Kim Y. 2008. Assessment of functional food consumption among the working women in Korea. Korean J Nutr 41:832-838 

  3. Cho HS, Kim YO. 1999. The study on Korean youth's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beverage in Chungnam area. Korean J Food Nutr 12:536-542 

  4. Chung HK, Lee HY. 2011.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group in some regions of Korea. J Korean Diet Assoc 17:190-205 

  5. Her ES, Lee KH, Bea EY. 2008. Interrelations among beverage intake,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3:189-198 

  6. Chang MK, Kim Y. 2008. Assessment of functional food consumption among the working women in Korea. Korea J Nutr 41:832-838 

  7. Jeong SB. 2008. A study of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functional foods by housewives depending on nutritional knowledge. Master's Thesis, Gosin National Univ. Busan. Korea 

  8. Kang YJ, Jung SJ, Yang JA, Cha YS. 2007. School dietitians' perceptions and intake of healthy functional foods in Jeon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72-1181 

  9. Kim EY, Ryu KS, Heo YR. 2007.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and perchase of functional foods in Gwangju. Korean J Community Nutr 12:782-789 

  10. Kim HA, Park BH. 1998. A study on housewives perception interest and consumption of health drinks made in a health food stores. Korean J Community Nutr 3:107-115 

  11. Kim JS, Yoo DL, Lee KO. 2006. Consumers' perception of purchase for functional milk products. Korea Consumption Culture Assoc 9:45-65 

  12. Kim NY, Chae HS, Park SJ, Yoon DI, Seo KT, Bae HS. 2012.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Yeongsu, Gangwon-do. Korean J Food Nutr 25:454-459 

  13. Kim SJ. 2008. Study on consumer recognition of health drink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Seoul. Korea 

  14. Koo NS, Park JY. 2001.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of middle-aged people in Daejon. Korean J Dietary Culture 16:137-146 

  15. Kwon SH. 2012. Intake of traditional beverage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567-575 

  16. Lee CH, La SA. 2014. Energy drinks addiction and policy development - Focusing on consumption patterns of teenagers and university students. Serv Mark J 7:29-43 

  17. Lee MH. 2007.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of marketing functional beverag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Seoul. Korea 

  18. Maeil Business Newspaper. 2013. Available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no428317&year2013 [cited 30 May 2018]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b. Food regulation.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foodRvlv/foodRvlv.do. [cited 30 May 2018]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a. Law for Health Functional Foods (Law No.14476) 

  21. Moon HK. 2013.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functional beverag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Master's Thesis, Yeungnam National Univ. Daegu. Korea 

  22. Park MR. 1999.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image of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501-513 

  23. Rho J, Chang E. 2012. A comparison of the preference and consumption status of non-alcohol and alcohol beverag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onbuk area. Korea J Hum Ecol 21:805-817 

  24. Shin SY, Chung LN. 2007.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beverages related to health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Food Cult 22:420-433 

  25. Won HS, Lee HJ, Kwak JS, Kim J, Kim MK, Kwon O. 2012. Study on purchase and intake patterns of individuals consuming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or health/functional foods. Korean J Nutr 45:541-551 

  26. Won WH. 2003. World of Wine/Beverage. pp.220-250. Baeksanchulpansa 

  27. Yoo HS, Sim KH. 2014. Survey on the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407-420 

  28.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136-1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