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mergency Room Nurs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2, 2018년, pp.249 - 262  

장은화 (건양대학교병원) ,  심문숙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emotional labor,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in general hospitals. Basic data were provided o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reduce negativ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improve nurse health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감정노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감소시키고 간호사의 건강 증진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중재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간호사의 효율적인 인력관리, 질 높은 간호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응급실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 행위 및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선행연구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요인으로는 업무스트레스, 피로(Oh, Sung, & Kim, 2011)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만,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함께 연결하여 시행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감정노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감소시키고 간호사의 효율적인 인력관리, 질 높은 간호 서비스 제공으로 병원 발전에 기여하며, 간호사의 건강증진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중재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 간호사가 신체적, 정서적 탈진상태를 더 많이 경험하는 이유는? 이처럼 응급실 환경은 감정노동 상황에 쉽게 노출되어 있고 여러 가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응급실 간호사는 상황적 특수성으로 인해 병동 간호사보다 환경이나 대인관계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더욱 많이 받게 되며 이는 신체적, 정서적 탈진상태를 더 많이 경험하게 한다(Joe & Lee, 2017). 뿐만 아니라 간호사는 각종 감염에의 노출 위험성이 높고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는 집단이어서 적극적인 건강증진행위가 필수적이다(An,Lee, & Song, 2010).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는 간호사 자신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 건강 역할 모델로 작용하여 그들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요소이다(Kelly, Wills, & Sykes, 2017). 하지만 간호사는 3교대 근무로 인한 불규칙한 생활, 과중한 업무 부담, 의료인으로서 자신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인해 건강관리 또는 운동과 같은 건강증진 실천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Nam & Kwon, 2013) 자신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건강증진행위가 필요하다.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관리해야하는 이유는? 간호사는 자신의 실제 감정과 조직이 기대하는 감정의 차이로 인해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간호사에게 자존감 저하, 이직의도와 소진을 느끼게 하고(Cheng, Bartram, Karimi, & Leggat, 2013)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게 한다(Kang & Hong, 2018). 이처럼 응급실 환경은 감정노동 상황에 쉽게 노출되어 있고 여러 가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응급실 간호사는 상황적 특수성으로 인해 병동 간호사보다 환경이나 대인관계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더욱 많이 받게 되며 이는 신체적, 정서적 탈진상태를 더 많이 경험하게 한다(Joe & Le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J. Y., Lee, Y. M., & Song, J. H. (2010). A study on performance level for universal precautions on blood-borne infections among nurses in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92-10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92 

  2. Bae, S. I. (2014). Comparison of burnout,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between cancer ward and general war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Gachon, Seongnam. 

  3. Cheng, C., Bartram, T., Karimi, L., & Leggat, S. G. (2013). The role of team climate in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ur: implications for nurse reten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9(12), 2812-2825. https://doi.org/10.1111/jan.12202 

  4. Cho, Y. S., Park, J., Ryu, S. Y., Kang, M. G., Min, S., Kim, H. S., Ha, Y. J., & Kim, E. A. (2012).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s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5-15. https://doi.org/10.5932/jkphn.2012.26.1.005 

  5. Cho, M. K., & Kim, C. G. (2016).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f male nurses. Korean Jouran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3), 177-187. https://doi.org/10.5807/kjohn.2016.25.3.177 

  6. Han, C. B., & Mun, H. J. (1996). A study on role conception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 115-124. 

  7. Hong, E. Y. (2014). Factors affecting nurse's health promoting behavior :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Korean Jouran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3), 154-162. https://doi.org/10.5807/kjohn.2014.23.3.154 

  8. Jeon, E. Y., Choi, S. R., & Han, S. S. (2007).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promotion lifestyle of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3(1), 40-47. 

  9. Joe, S. R., & Lee, E. K. (2017).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4), 397-405.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4.397 

  10. Jung, A. S.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b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11. Kang, Y. S., & Hong, E. Y. (2018). Factors affecting on the job stress among employees of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public health centers : Focus on self efficacy and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1), 19-29. 

  12. Kelly, M., Wills, J., & Sykes, S.(2017). Do nurses' personal health behaviours impact on their health promotion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76, 62-77.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7.08.008 

  13. Kim, H. Y., & Yeun, E. J.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resourcefu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1), 17-26. 

  14. Kim, M. J. (1998).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1(2), 129-141. 

  15. Kim, S. H., & Lee, M. A.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32-341.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1.22 

  16. Kim, Y. O., Lee, J. Y., & Kim, K. B. (2014). The comparison between ICU Nurses and ER nurses in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coping typ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2(10), 312-312. https://doi.org/10.5811/westjem.2012.12.12830 

  17. Lee, K. M., & Hong, M. S. (2003). A study on relationships of work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Nursing Science, 8(1), 87-103. 

  18. Morris, J. A., & Feldman, O. G.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19. Nam, M. H., & Kwon, Y. C. (2013).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3), 329-339. https://doi.org/10.1016/j.aucc.2012.07.005 

  20. National Medical Center. (2013).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1. Oh, M. O., Sung, M. H., & Kim, Y. W. (2011). Job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15-227. https://doi.org/10.1007/s00420-011-0725-5 

  22. Park, E. H. (2015). An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f emergency room nurse on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odang, Muan. 

  23. Park, H. J., & Kim, H. J. (2000). A stud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9(2), 94-109. 

  24. Park, I. S. (1995). A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usan, Busan. 

  25. Park, M. M., & Han, S. J. (2013).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wit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in home health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51-61. 

  26. Smith, P. (2012). The emotional labour of nursing revisite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7.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4), 337-352. 

  28. Wi, S. M., & Yi, Y. J. (2012).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3), 310-319.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3.310 

  29. Yom, Y. H. (2009).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ealth status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2), 216-224. 

  30. Yun, J. Y., Ham, O. K., Cho, I. S., & Lim, J. Y. (2012). Effec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shift and non-shift nurses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268-279.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