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8, 2018년, pp.629 - 642  

황세운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  조재필 (APEC기후센터) ,  윤광식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 등 다양한 기상이변과 극한사상에 관련된 수자원 연구는 일반적으로 전지구 기후 모델(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산출물에 기반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과거기간에 대한 원시 모의결과 평가를 통한 GCM의 성능과 산출물에 대한 재현성 고찰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전지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격자단위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과거기간(1970~2005)에 대한 강우특성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GCM 산출물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평균/절대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오차 통계와 대상지역에 따라 GCM 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간분포의 패턴과 절대적 오차를 기준으로 판단한 GCM 순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Hadley Centre 계열 모델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강우특성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반도 지역만을 대상으로 평가한 경우 MPI_ESM_MR과 CMCC center 계열 모델의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가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GCM의 선정과 GCM 성능고려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 불확실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향 평가 연구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ture variability of the spatial patterns of rainfall events is the point of water-related risks and impacts of climate change. Recent related researches are mostly conducted based on the outcomes from General Circulation Models (GCMs), especially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해안지역을 2개 영역으로 나누어 대상지역에 대해 29개 CMIP5 GCM의 일 단위 산출물의 다양한 강우특성에 대한 공간적 재현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9개 강우특성지표를 정의하고 이에 대해 격자 단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의 관측치 재현성에 대한 순위를 정하고 평가지표 및 방법에 따른 연구 결과의 다양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 9개 강우특성지표를 정의하고 이에 대해 격자 단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의 관측치 재현성에 대한 순위를 정하고 평가지표 및 방법에 따른 연구 결과의 다양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기후 모델링의 한계와 구조적인 차이에 의한 다양성을 보이고 기후모델과 평가의 불확실성 고려에 대한 인식을 고무하는 것은 물론,기후모델 산출물의 공간적 재현성을 검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 과학적 한계는 다양한 GCM 산출물로부터 도출한 미래기후정보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GCM들의 강우량 평가지표에 대한 공간분포를 비교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GCM 산출물의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따른 격자단위 모델산출물의 평균적 평가결과의 차이를 보이기 위해 동아시아 해안지역을 포함하는 지역(doamin1)과 남한을 포함하는 한반도지역(domain 2)를 구분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CMIP5 GCM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격자형 관측자료 대비 강우특성에 대한 공간적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해안지역을 2개 영역으로 나누어 대상지역에 대해 29개 CMIP5 GCM의 일 단위 산출물의 다양한 강우특성에 대한 공간적 재현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9개 강우특성지표를 정의하고 이에 대해 격자 단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더불어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의 관측치 재현성에 대한 순위를 정하고 평가지표 및 방법에 따른 연구 결과의 다양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기후 모델링의 한계와 구조적인 차이에 의한 다양성을 보이고 기후모델과 평가의 불확실성 고려에 대한 인식을 고무하는 것은 물론,기후모델 산출물의 공간적 재현성을 검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단계 CMIP (CMIP5)은 어떻게 이용되는가? IPCC 평가보고서는 전세계 기후모델링 연구진이 참여한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CMIP5)을 통해 축적된 모델링 연구결과와 GCM 산출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5단계 CMIP (CMIP5)은 최신 GHG 배출시나리오인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50여개 GCM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 제공하고 있다. 이들 자료는 자료의 형태, 모의기간, 변수명 등에 대한프로토타입을 정비하여 전세계 기후모델링 산출물 자료 간의 일관성이 개선되어 그 활용성이 높아 기후예측과 영향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신 GCM자료인 CMIP5 GCM 산출물은 다양한 기상요소에 대한 미래기후정보를 제공하며 AR5는 그간 향상된 GCM 기술을 이용한 결과로부터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 영향평가 등에 대한 종합적인 최신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GCM이란? 일반적인 기후변화연구는 전지구 기후 모델(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산출물을 가공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GCM은 해양, 대륙, 대기에 이르는 기상현상을 연속체적으로 해석하는 물리적 모델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을 비롯하여 과거 기후의 변동성과 다른 양상의 기상이변에 대한 통계적 예측성의 한계에 기인하여 물리적 해석기반 기후역학모델의 활용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Milly et al.
5단계 CMIP가 제공하는 것은? IPCC는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에 따른 잠재적인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기후변화 영향과 대응전략을 평가하는 대표적 협력체이다. IPCC 평가보고서는 전세계 기후모델링 연구진이 참여한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CMIP5)을 통해 축적된 모델링 연구결과와 GCM 산출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5단계 CMIP (CMIP5)은 최신 GHG 배출시나리오인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50여개 GCM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 제공하고 있다. 이들 자료는 자료의 형태, 모의기간, 변수명 등에 대한프로토타입을 정비하여 전세계 기후모델링 산출물 자료 간의 일관성이 개선되어 그 활용성이 높아 기후예측과 영향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shouri H., Hsu, K., Sorooshian, S., Braithwaite, D. K., Knapp, K. R., Cecil, L. D., Nelson, B. R., and O. P. Prat (2015). "PERSIANN-CDR: Daily precipitation climate data record from multisatellite observations for hydrological and climate studi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96, No. 1, pp. 69-83. 

  2. Beven, J. K. (2001). Rainfall-runoff modeling. The primer, John Wiley & Sons Ltd., England, pp. 285-287. 

  3. Demirel, M. C., and Moradkhani, H. (2016). "Assessing the impact of CMIP5 climate multi-modeling on estimating the precipitation seasonality and timing." Climatic Change, Vol. 132, No. 2, pp. 357-372 

  4. Gleckler, P. J., Taylor, K. E., and Doutriaux, C. (2008). "Performance metrics for climate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3, D6104, doi: 10.1029/2007JD008972. 

  5. Gomez-Navarro, J. J., Montavez, J. P., Jerez, S., Jimenez-Guerrero, P., and Zorita, E. (2012). "What is the role of the observational dataset in the evaluation and scoring of climate model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9, No. 24, pp. L24701, doi: 10.1029/2012GL054206. 

  6. Hwang, S. (2012). "Utility of gridded observations for statistical bias-correction of climate model outputs and its hydrologic implication over west central Florid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4, No. 5, pp. 91-102. 

  7. Hwang, S., and Graham, W. D. (2011). "Quantitative spatiotemporal evaluation of dynamically downscaled MM5 precipitation predictions over the Tampa bay region, Florida."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2, No. 6, pp. 1447-1464. 

  8. Hwang, S., Graham, W. D., Geurink, J. S., and Alison, A. (2014). "Hydrologic implications of errors in bias-corrected regional reanalysis data for west central Florida." Journal of Hydrology, Vol. 510, pp. 513-529. 

  9. Kwon, S.-H., Boo, K.-O., Shim, S., and Byun, Y.-H. (2017). "Evaluation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season simulated in CMIP5 models and the future change."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7, No. 2, pp. 133-150. 

  10. Maurer, E. P., Wood, A. W., Adam, J. C., Lettenmaier, D. P., and Nijssen, B. (2002). "A long-term hydrologically-based data set of land surface fluxes and states for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Journal of Climate, Vol. 15, No. 22, pp. 3237-3251. 

  11. Milly, P. C., Betancourt, D. J., Falkenmark, M., Hirsch, R. M., Kundzewicz, Z. W., Lettenmaier, D. P., and Stouffer, R. J. (2008). "Stationarity is dead-whither water management?" Science, Vol. 319, No. 5863, pp. 573-574. 

  12. Palutikof, J. P., Winkler, J. A., Goodess, C. M., and Andresen, J. A. (1997). "The simulation of daily temperature time series from GCM output. Part 1: comparison of model data with observations." Journal of Climate, Vol. 10, pp. 2497-2513. 

  13. Radic, V., and Clarke, K. C. G. (2011). "Evaluation of IPCC models' performance in simulating late-twentieth-century climatologies and weather patterns over North America." Journal of Climate, Vol. 24, pp. 5257-5274 

  14. Seo, Y.-W., Kim, H., Yun, K.-S., Lee, J.-Y., Ha, K.-J., and Moon, J.-Y. (2014). "Future change of extreme temperature climate indices over East Asia with uncertainties estimation in the CMIP5."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50, pp. 609-624, doi: 10.1007/s13143-014-0050-5. 

  15. Temba, N., and Chung, S.-O. (2014). "Uncertainty of Hydro-meteorological predictions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3, pp. 257-267. 

  16. Yatagai, A. (2012). "APHRODITE: Constructing a long-term daily gridded precipitation dataset for Asia based on a dense network of rain gauges."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93, pp. 1401-1415. 

  17. Yoo, S.-H., Kim, T., Lee, S.-H., and Choi, J.-Y. (2015). "Trend analysis of projected climate data based on CMIP5 GCMs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n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7, No. 5, pp. 69-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