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약 건강정보이해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한의 진료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patter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medicine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2 no.2, 2018년, pp.33 - 40  

박정수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Health literacy can affect medical results. This study aimed to detect to the modify point of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s. Methods : The general Korean Medicine service procedure was recorded and categorized. The participants were in- or out-patient of Korean Medical hospital. Wr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3333px;">7), 아직 한의 관련 도구는 개발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한 의 진료패턴을 분석하여 한의약 건강정보이해력 측정 을 위해서는 기존 도구에 비하여 어떠한 부분이 보강되 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 의료정보이해력 평가도구에는 한방과 양방 병용치료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한의사의 설명의무와도 맞닿아 있다. 대법원 선고 2009다102209 판결에서 환자의 간 손상 이 개인의 특이체질로 인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한의사 는 한약과 양약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여야 할 의 무가 있다고 보았다19). 그러므로 한의 의료정보이해력 평가도구에는 한방과 양방 병용치료에 대한 내용이 포 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ALM란? 건강정보이해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REALM) 과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TOFHLA)가 많이 사용된다. REALM은 건강관련 단 어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 평가하는 검사로, 66개의 단 어를 제시하고 이를 제대로 읽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 다. 우리나라는 문맹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해당 단어의 뜻을 잘 알고 있는지를 측정하도록 수정한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est(KHLAT)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초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번 연구의 참여자는 제천시와 충주시 소재 한방병 원의 외래 혹은 입원환자 중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여 연구에 참여하고자 서면으로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선정 기준은 1) 해당 질환으로 처음 방문한 자, 2)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로 하였다. 재진 환자의 경우 진료 패턴이 초진에 비 해 간략할 수 있기 때문에 초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 다. 다만 초진 환자라 하더라도 해당 병원에 처음 방문 한 환자는 한의사와의 라포(rapport)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진료 내용을 녹음하는 것이 진료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어, 여러 번 방문한 환자 중 새로 생긴 증상으 로 병원에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linical Ethics 3rd edi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4. 

  2.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Available URL: http://www.law.go.kr [cited 2018.7.20.] 

  3. Modified mandatory law is "ragged" that the Korean Medical doctors are practically excluded. Avaliable URL: http://www.medicaltimes.com/News/1108485 [cited 2018.7.20.] 

  4. Sorensen K, Broucke SV, Fullam J, Doyle G, Pelikan J, Slonska Z, Brand H. Health literacy and public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integration of definitions and models. BMC Public Health 2012;12:80. 

  5.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5;12:215-227. 

  6. Kim SH, Lee EJ.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8;38(2):195-203. 

  7. Lee M, Shin HG, Lee M, Park CY. Research trends and policy issues of health literacy in Korea. J Health Tech Assess 2018;6(1):22-32. 

  8. Berkman ND, Sheridan SL, Donahue KE, Halpern DJ, Crotty K. Low health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n intern Med 2011;155:97-107. 

  9.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 Health Res. 2005;15(9):1277-1288. 

  10. Gazmararian JA, WIlliams MV, Peel J, Baker DW. Health literacy and knowledge of chronic disease. Patient Educ. Couns. 2003;51:267-275. 

  11. Kim SH.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 Clin Nurs. 2009;18(16):2337-2343. 

  12. Paasche-Orlow MK, Wolf MS. The causal pathways linking health literacy to health outcomes. Am J Health Behav. 2007;31 suppl 1:S19-26. 

  13. Hong IH, Eun Y. Health literacy of inpatient at general hospital. Korean J Adult Nurs 2012;24(5):477-488.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Utilization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2017. 

  15. Lee HM. "Kwan" the 'Pain' : Verbalization of 'Pain' in the language use in Korean Medicine clinics. Cross-Cultural Studies. 2016;22(2):45-79. 

  16. Donguibogam. Available URL: http://https://www.mediclassics.kr/books/8/volume/7 [cited 2018.7.21.] 

  17. Baker DW, WIlliams MV, Parker RM, Gazmararian JA, Nurss J. Development of a brief test to measure functional health literacy. Patient Educ. Couns.1999;38:33-42. 

  18. Kang SJ, Lee TH, Kim GS, Lee JH. THe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adults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2;29(3):75-89. 

  19. Lee MS, Kim KH, Yang GY. Legal study on the explanatory duty for medical practice in Korean Medicine by judicial precedent analysis. J Acupunct Res 2012;29(4):71-79. 

  20. Kim S, Oh J, Lee Y. Health litera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3;19(4):558-5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