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를 이용한 경도 치매 노인의 주의집중력과 단기 기억력 증진 : 단일대상연구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Short-term Memory of Mild Dementia Using iPad Applications: A Single Case Stud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3, 2018년, pp.47 - 58  

황보승우 ,  김문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종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 치매 노인의 주의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을 위한 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 중재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중재법의 효과를 통하여 임상현장의 작업치료사에게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경도 치매 노인 한 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 중 ABA 설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20회기를 기초선 A 5회기, 중재기 B 10회기, 기초선 A' 5회기로 나누어서 각 회기별 30분씩 진행되었다. 중재기 때는 'Memorado-움직이는 공, '와 'Circles'라는 두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의 집중력 및 기억력 훈련을 실시하였고, 매 회기마다 Fit Brains의 '짝 맞추기, '와 '틀린 그림 찾기'로 주의 집중력과 기억력 수준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사전 및 사후 평가로 한국판 노인형 기호잇기검사, 숫자외우기 검사,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Fit Brains '짝 맞추기'와 '틀린 그림 찾기'를 매 회기 시행해본 결과 중재기부터 주의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전 및 사후 평가로 실시된 한국판 노인형 기호잇기검사는 전, 후 대비 A형의 경우 정답 수 3점 증가, 오류 수 3점 감소, B형의 경우 정답 수 7점 증가, 오류 수 2점 감소를 보여 점수변화를 나타냈으나, 숫자외우기 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에서는 점수 변화가 미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 중재방법을 통해 경도 치매 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확인하였고,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장기간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Pad applications on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short-term memory in mild dementia. Methods : A single-case experimental study using A-B-A design was conducted. A total of 20 sessions, including 5 each for baseline phase A and A'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결과들을 고려하여, 급증하는 고령층과 초기 치매 환자의 치매 예방 및 진행 억제를 위해서 인지 기능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휴대가 용이하고, 디스플레이가 크며, 간편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아이패드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을 활용한 인지 기능 훈련이 경도 치매 환자들의 기억력과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을 중재방법으로 이용하여 경도 치매 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매 회기 ‘Memorado’와 ‘Circles’어플리케이션으로 집중력과 기억력 훈련을 실시하였고, ‘Fit Brains’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집중력과 기억력 수준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아이패드의 인지 훈련용 어플리케이션이 경도 치매 환자의 주의집중력과 단기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84세의 경도 치매 환자 1명을 대상으로 단일 사례를 이용하였다.
  • 따라서 실제 사용자인 대상자의 입장에서 어플리케 이션 적용이 적절하며 용이했는지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으며, 난이도 조절,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은 없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되었음을 근거로 임상에서 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과 새로운 기술을 재활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인가? 치매 환자는 기억력을 포함한 여러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다양한 행동 및 심리증상을 나타낸다(Reitz & Mayeux, 2014). 치매 환자의 주요 증상으로는 기억력 장애(건망증), 지남력 장애(시간, 장소, 인물), 판단력 및 사고력 장애, 계산력 장애 등이 있고, 배회, 공격적인 태도 등의 이상 행동 및 불안한 심리 상태를 보인다(Maeng, 2009). 인지 기능의 저하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떨어뜨리고, 여가활동 또는 사회활동의 참여를 제한시킨다 (Arrighi, Gelinas, McLaughlin, Buchanan, & Gauthier, 2013; Dobbs et al.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치매 유병률의 전망은 어떠한가? 이런 급속한 고령화와 동시에 우리 나라의 치매환자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Cho & Ko, 2012).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2030년경에는 약 9%, 2050년에는 약 13%에 달하는 210만 명이 치매에 걸릴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는 노인 의료비 증가로 이어져 사회적, 국가적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보건복지부, 2012)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는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치매 환자의 주요 증상으로는 기억력 장애(건망증), 지남력 장애(시간, 장소, 인물), 판단력 및 사고력 장애, 계산력 장애 등이 있고, 배회, 공격적인 태도 등의 이상 행동 및 불안한 심리 상태를 보인다(Maeng, 2009). 인지 기능의 저하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떨어뜨리고, 여가활동 또는 사회활동의 참여를 제한시킨다 (Arrighi, Gelinas, McLaughlin, Buchanan, & Gauthier, 2013; Dobbs et al., 2005; Mioshi, Hodges, & Hornberger,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은수. (2006). 한국 실버산업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 8, 351-396. 

  2. 박근태. (2012). 노인스마트폰 사용자 10 명 중 6 명 애플리케이션 이용. 조선비즈. Retrieved from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6/28/2012062801255.html 

  3. 보건복지부. (2012). 2012 년 치매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4. 통계청. (2016). 장애인구추계: 2015-2065. 통계청 보도자료. 

  5. Arrighi, H. M., Gelinas, I., McLaughlin, T. P., Buchanan, J., & Gauthier, S. (2013). Longitudinal changes in functional disability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5(06), 929-937. 

  6. Abu-Ghanem, S., Handzel, O., Ness, L., Ben-Artzi-Blima, M., Fait-Ghelbendorf, K., & Himmelfarb, M. (2015). Smartphone-based audiometric test for screening hearing loss in the elderly.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1-7. 

  7. Behl, P., Edwards, J. D., Kiss, A., Lanctot, K. L., Streiner, D. L., Black, S. E., & Stuss, D. T. (2014). Treatment effects in multiple cognitive domains in Alzheimer's disease: A two-year cohort study.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6(4), 48. doi.org/10.1186/alzrt280 

  8. Boulos, M. N., Wheeler, S., Tavares, C., & Jones, R. (2011). How smartphones are changing the face of mobile and participatory healthcare: An overview, with example from eCAALYX. Biomedical Engineering Online, 10(1), 24. doi. org/10.1186/1475-925X-10-24 

  9. Cho, H., & Ko, Z. (2012). Current state of senile dementia and improvement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 5816-5825. 

  10. Cho, M., Kim, D., Chung, J., Park, J., You, H., & Yang, Y. (2015). Effects of a cognitive-enhancement group training program on daily living activities, cognition, and depression in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3), 681-684. doi. org/10.1589/jpts.27.681 

  11. Crossland, M. D., S Silva, R., & Macedo, A. F. (2014). Smartphone, tablet computer and e-reader use by people with vision impairment. Ophthalmic and Physiological Optics, 34(5), 552-557. doi. org/10.1111/opo.12136 

  12. Dobbs, D., Munn, J., Zimmerman, S., Boustani, M., Williams, C. S., Sloane, P. D., & Reed, P. S. (2005).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ower activity involvement in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45(suppl 1), 81-86. doi. org/10.1093/geront/45.suppl_1.81 

  13. Gunther, V. K., Schufer, P., Holzner, B. J., & Kemmler, G. W. (2003). Long-term improvements in cognitive performance through computer-assisted cognitive training: A pilot study in a residential home for older people. Aging & Mental Health, 7(3), 200-206. doi. org/10.1080/1360786031000101175 

  14. Herrera, C., Chambon, C., Michel, B. F., Paban, V., & Alescio-Lautier, B. (2012). Positiv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training in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sychologia, 50(8), 1871-1881. doi.org/10.1016/j.neuropsychologia.2012.04.012 

  15. Huntley, J. D., Gould, R. L., Liu, K., Smith, M., & Howard, R. J. (2015). Do cognitive interventions improve general cognition in dementia? A meta-analy sis and meta-regression. BMJ open, 5(4), e005247. dx.doi.org/10.1136/bmjopen-2014-005247 

  16. Kanaan, S. F., McDowd, J. M., Colgrove, Y., Burns, J. M., Gajewski, B., & Pohl, P. S. (2014). Feasibility and efficacy of intensive cognitive training in early-stage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29(2), 150-158. doi. org/10.1177/1533317513506775 

  17. Kang, Y., Chin, J., & Na, D. L.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digit span test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11-922. 

  18. Kim, H., & Park., T. (2003). Korean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igits forward and digits backwar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3), 599-613. 

  19. Kim, J. M., Shin, I. S., Yoon, J. S., & Lee, H. Y. (2003). Comparison of diagnostic validities between MMSE-K and K-MMSE for screening of dementi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2(1), 124-30. 

  20. Kim, S. Y. (2003). Factors affecting on the QOL of the demented elderly caregivers: Suggestions of political alternatives. Soc Welf Policy, 17, 77-105. 

  21. Lee, I. (2014).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memory of stroke patient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Single case study.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3(1), 57-65. 

  22. Maeng, I. K. (2009). A Study of dementia old man's actual conditions and treatment plan(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Asan. 

  23. Mioshi, E., Hodges, J. R., & Hornberger, M. (2013). Neural correlate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frontotemporal dementia.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6(1), 51-57. 

  24. Leng, F. Y., Yeo, D., George, S., & Barr, C. (2013). Comparison of iPad applications with traditional activities using person-centred care approach: Impact on well-being for persons with dementia. Dementia, 13(2), doi.org/10.1177/1471301213494514 

  25. Reitz, C., & Mayeux, R. (2014). Alzheimer disease: Epidemiology, diagnostic criteria, risk factors and biomarkers. Biochemical Pharmacology, 88(4), 640-651. doi.org/10.1016/j.bcp.2013.12.024 

  26. Samson, S., Clement, S., Narme, P., Schiaratura, L., & Ehrle, N. (2015). Efficacy of musical interventions in dementia: Methodological requirements of nonpharmacological trial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337(1), 249-255. doi. org/10.1111/nyas.12621 

  27. Sung, K. H. (2006). Burden and depression of caregiver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dementia patients(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Yi, H. (2006). Development &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rail making test for Elderly persons(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9. Yi, H., Chin, J., Lee, B. H., Kang, Y., & Na, D. L.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rail making test for elderly persons.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6(2), 54-67. 

  30. Yoon, H. K. (2003). Research Analysis on the Present of Koreas Silver Industry and Silver Produc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6(2), 151-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