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 산란계에 Chlorella의 급여가 계란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resh Water Algae, Chlorella Supplementation on Egg Quality and Fatty Acid in Organic Laying Hen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6 no.3, 2018년, pp.393 - 408  

김민정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심창기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용기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변영웅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종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한은정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최근형 (국립농업과학원 화학물질안전과) ,  고병구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클로렐라 건조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 산란계 사료의 수분함량은 약 12.8%, 회분함량은 10.8%, 조단백질함량은 18.0%, 조지방 함량은 2.5%이었다. 사료에 첨가한 클로렐라분말의 수분함량은 약 1.54%, 회분함량은 6.53%, 조단백질은 54.56%, 조지방 함량은 2.45%이었다. 계란 난각의 색깔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해졌다. 파각강도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강하였다. 계란 난각의 두께도 클로렐라를 급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두꺼웠다. 클로렐라 급여한 계란 난백의 높이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계란 난백의 품질 기준이 되는 호유닛은 클로렐라를 급여한지 10일 후, 92.0 HU로 대조구(84.8 HU)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 난황의 황색도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한 황색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의 무게는 급여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7.5%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은 급여 10일과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각각 11.9%, 10.7% 증가하였다. 클로렐라 급여에 따른 계란 노른자의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바, 난황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trans-linoleic acid, palmitic acid, ${\alpha}$-linolenic acid, stearic acid, DHA, EPA, palmitole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Palmitoleic acid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포화지방산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보다 대조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클로렐라 생균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급여할 경우 계란의 품질 향상과 난황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chlorella dry powder added to the feed of laying hens influences on the egg quality and the composition of egg yolk's fatty acid. Moisture content, ash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and crude fat content were 12.8%, 10.8%, 18.0% and 2.5%, respective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광배양한 클로렐라 배양액 건조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란 노른자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하기 위해 제시된 방안은 무엇인가? 그러나 계란의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논의되고 있으며 (Schonfeld et al., 1982), 그 효율성은 아직도 불분명하나 산란계에 급여하는 지방의 종류나 식물성 스테롤을 사료에 첨가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Botsoglou et al., 1998; Jee, 2004).
클로렐라는 무엇인가? 클로렐라(Chlorella sp.)는 미세조류 중 담수에서 자라는 녹조류 중의 하나이며,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가지고 있으면서도 식이섬유소,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Borowitzka, 1986; Kay, 1991). 최유진 등(2010)은 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이 활성화된 쥐의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Chlorella ellipsoidea의 유기용매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발효 클로렐라를 사료에 첨가하면 육계, 산란계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클로렐라를 발효시켜 육계, 산란계 및 오리 사료 내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산성과 생리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한 바, 발효 클로렐라의 가금류 사료 내 첨가 급여는 육용 가금류에 대한 사료섭취량을 증가시키고 육계에게 성장 성적과 면역 기능을 강화시켰으며, 산란계의 산란율 증가와 난황색의 착색 효과 및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가금류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로써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Oh,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Metho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2. Arakawa, S., N. Tsurumi, K. Murakami, S. Muto, J. O. Hoshino, and T. Yagi. 1960. Experimental breeding of White Leghorn with the Chlorella-added combined feed. Jpn. J. Exp. Med. 30: 185-192. 

  3. Astushi, M. C. 1999. What is Chlorella. Food Ind, 9: 122-138. 

  4. Bajguz, A. 2000. Effect of brassinosteroids on nucleic acids and protein content in cultured cells of Chlorella vulgaris. Plant Physiol Biochem, 38: 209-215. 

  5. Borowitzka, M. A. 1986. Micro-algae as sources of fine chemicals. Microbiol Sci, 3: 372-375. 

  6. Botsoglou, N. A., A. L. Tannakopouloes, D. J. Fleouris, A. S. Tserveni, and I. E. Psomas. 1998. Yolk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in response level and form of dietary flexseed. J. Agric. Food Chem. 46: 4652-4656. 

  7. Choi, Y. J., W. S. Jo, H. J. Kim, B. H. Nam, E. Y. Kang, S. J. Oh, G. A. Lee, and M. H. Jeong.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lorella ellipsoidea extracted from seawater by organic solvents. Kor. J. Fish Sci. 43: 39-45. 

  8. Del Campo, J. A., M. Garcia-Gonzalez, and M. G. Guerero. 2007. Outdoor cultivation of microalgae for carotenoid production: current state and perspective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74: 1163-1174. 

  9. Englmaierova M, M. Skrivan, and I. Bubancova. 2013. A comparision of lutein, spray-dried Chlorella, and sunthetic carotenoids effects on yolk colour, oxidative stability,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laying hens. Czech J. Anim. Sci. 58: 412-419. 

  10. Folch, J., M. Lees, and G. H. S. Sloan-Stanlet.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1. Frederiksson, S., K. Elwinger, and J. Pickova. 2006. Fatty acids and carotenoids composition of egg yolk as an effect of microalgae addition to feed formula to laying hens. Food Chemistry 99: 530-537. 

  12. Gouveia, L., V. Veloso, A., Reis, H. L. Fernandes, J. Empis and J. M. Novais, 1996. Chlorella vulgaris used to colour egg yolk. J. the Sci. Food and Agri. 70: 167-172. 

  13. Hammershoj, M., U. Kidmose, and S. Steenfeldt. 2010. Deposition of carotenoids in eggyolk by short-term supplement of coloured carrot (Daucus carota) varieties as forage material for egg-laying hens. J. Sci. Food and Agri. 90: 1163-1171. 

  14. Janczyk, P., I. Halle, G. Freyer, and W. B. Souffrant. 2009. Effect of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on laying hen performance. Arch. Zootec. 12: 5-13. 

  15. Jee, G. M. 2004. Perspective on modifying a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of eggs. Korean J. Poultry Sci. 31: 61-71. 

  16. Jiang, Z. ans J. S. SJim. 1991.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content ans tissue fatty acid composition od rates fed n-3 fatty acid enriched egg yolk. Inform 2: 351(Abstr.) 

  17. Kang, H. K. H. M. Salim, N. Akter, D. W. Kim, J. H. Kim, H. T. Bang, M. J. KIm, J.C. Na, J. Hwangbo, H.C. Choi, and O. S. Suh. 2013. Effect of various forms of dietary Chlorella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characteristics, and intestinal microflora population of broiler chickens. J. Appl. Poult. Res. 22: 100-108. 

  18. Kang, H. K., G. H. Kim, B. S. Park, and A. Jang. 2006. Effects of dietary on the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517-524. 

  19. Kang, M. S., S. J. Sim, and H. J. Chae. 2004. Chlorella as a functional biomaterial. Korean J. Biotechanol Bioeng, 15: 113-118. 

  20. Karadas, F., E. Grammenidis, P. F. Surai, T. Acamovic, and N. H. Sparks. 2006. Effect of carotenoids from lucerne, marigold and tomato on egg yolk pigmentation and carotenoid composition. British Poultry Sci. 47: 561-566. 

  21. Kay, P. A. 1991. Microalgae as food and supplement. Crit Rev Food Sci Nutr, 30: 555-573. 

  22. Khozin-Goldberg, I., U. Iskandarov, and Z. Cohen. 2011. LC-PUFA from phytosynthetic microalgae: Occurrence, biosynthesis, and prospects in biotechnology. Appl. Microbiol. Biot. 91: 905-915. 

  23. Kim, G. H. 2011. Study on dietary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on productivity and immune response in poultry and post-weaned pigs. The thesis of Doctor's degree of Konkuk University. 

  24. Kim M. J., C. K. Shim, Y. K. Kim, S. J. Hong, J. H. Park, E. J. Han, H. J. Jee, J. C. Yoon, and S. C. Kim. 2014. Isolation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fresh water green algae from organic farming habitats in Korea. Korean J. Org. Agri. 22: 743-760. 

  25. Kotrbacek, V., M. Skrivan, J. Kopecky, O. Penkava, P. Hudeckova, I. Uhrikova, and J. Doubek. 2013. Retention of carotenoid in egg yolks of laying hens supplemented with heterotrophic Chlorella. Czexh J. Anim. Sci. 58: 193-200. 

  26. Lee, C. H.. 2011. Special: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Where have you been to the environmental friendly livestock industry? "When it is necessary to ha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stable acquisition of organic feed". Korean Poultry J. 507: 92-95. 

  27. Leaf, A. and P. C. Weber. 1988. Cardiovascular effect of n-3 fatty acid. New Engl. J. Mel. 318: 549-553. 

  28. Marshell, A. C., A. R. Sams, and M. E. Van Elswyk. 1994. Oxidative stability and sensory quality of stored eggs from hens fed 1.5% menhaden oil. J. Food Sci. 59: 561-563. 

  29. Miguel, O. 2003. Commercial development of microalgal biotechnology : from the test tube to the marketplace. Biomol Eng. 20: 459-466. 

  30. Morrison, W. R. and L. M. Smith. 1967.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esters and dimethylacetates from lipid with boron fluoride methanol. J. Lipid Res. 5: 600-608. 

  31. Oh, S. T. 2013.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Chlorella vulgaris ( $CBT^{(R)}$ ) on productivity and change of the physiological function in poultry. The thesis of Master degree of Konkuk University. 

  32. Park, B. S., H. G. Kang, and A. R. Jang. 2005. Influence of feeding ${\beta}$ -cyclodextrin to laying hens on the egg reduction and cholesterol content of yolk. Asian Aust. J. Anim. Sci. 18: 835-840. 

  33. Park, J. H., S. Y. Park, and K. S. Ryu. 2005. Effects of dietary betaine and protein levels on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bdominal fat and liver amino acid concentration n laying hens. Kor. J. Poult Sci. 32: 157-163. 

  34. Park, S. B., K. J. Lee, W. H. Lee, and K. S. Ryu. 2012. Effect of feeding Thymus vulgaris powder on the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egg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s. Kor. J. Polut. Sci. 39: 157-161. 

  35. Park, S. I. and E. J. Cho.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 J. Food & Nutr. 17: 120-127 

  36. Pulz, O., and W. Gross. 2004. Valuable products from biotechnology of microalgae.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5: 635-648. 

  37. Roche, Com. 1988. Egg yolk pigmentation with carophyll. Brochre. p. 1218. 

  38. SAS Institute. 2004.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8 edition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9. Schonfeld, G., W. Patcsh, L. L. Ridel, C. Nelson, M. Epstein, and R. E. Olson. 1982. Effects of dietary cholesterol and fatty acids on plasma lipoprotein. J. Clin. Invest. 69: 1072-1080. 

  40. Steel, R. G. D. and J. H. Torrie. 1980. Principles and procedure of statistics. McGeaw Hill New York. 

  41. Van Elswyk, M. E., B. Hargis, J. D. Williams, and P. S. Haris. 1994. Dietary menhaden oil contributes to hepatic lipidosis in laying hens. Polut. Sci. 73: 657-669. 

  42. Ward, O. P. and A. Singh. 2005. Omega-3/6 fatty acid : Alternative sources of production. Process Biochem. 40: 3627-3652. 

  43. Yongmanitchai, W. and O. W. Ward. 1989. Omega-3 fatty acid: alternative sources of production. Process Biochemistry. 24: 117-125. 

  44. Yongmanitchai, W. and O. W. Ward. 1992. Separation of lipid classes from Phaeodactylum tricornutum using silica cartridges. Phytochemistry. 31: 3405-34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