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생 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ripe Apple Peel Water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8 = no.220, 2018년, pp.900 - 907  

장영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이진태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시료의 항산화,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항산화 평가는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멜라닌 생합성량 측정 및 미백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의 $1,000{\mu}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77.3%,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93.1%로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미백활성 평가결과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농도 $50{\mu}g/ml$에서 tyrosinase 활성 억제 19.8%, 멜라닌 생합성 억제율은 17.3%로 나타냈다. ${\alpha}$-MSH로 유도된 B16F10 세포 내에서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되었고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이 저해되었다. Real- time PCR 실험 결과에서 상위신호단계에 있는 관련 유전자의 발현도 미숙사과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현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우수한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nripe apple peel water extracts as cosmetic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samples.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the samples were confirmed by 1,1-diphenyl-2-picrylhyd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 그리고 무기질 등이 풍부하게 함유된 사과는 효능이 높은 화장품 및 미용소재로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성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을 활용하여 tyrosinase, TRP- 1, TRP-2, MITF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를 통한 미백활성을 평가함으로써 피부 미백활성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Melanin은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종류에는 흑갈색의 유멜라닌(eumelanin)과 적황색의 페오멜라닌(pheomelanin)이 있다. 멜라닌은 인종의 피부색, 머리카락, 눈동자의 색을 결정하며 자외선 흡수에 의한 사람의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4]. 그러나 합성과 축적이 과도할 경우에는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색소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병변은 심하게는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5].
Melanin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Melanin은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종류에는 흑갈색의 유멜라닌(eumelanin)과 적황색의 페오멜라닌(pheomelanin)이 있다. 멜라닌은 인종의 피부색, 머리카락, 눈동자의 색을 결정하며 자외선 흡수에 의한 사람의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4].
멜라닌의 합성과 축적이 과도할 경우 어떤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가? 멜라닌은 인종의 피부색, 머리카락, 눈동자의 색을 결정하며 자외선 흡수에 의한 사람의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4]. 그러나 합성과 축적이 과도할 경우에는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색소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병변은 심하게는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5]. 멜라닌은 흑갈색의 고분자 화합물로서 표피 기저층에 위치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단계적 효소 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며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와 같은 효소들에 의해 멜라닌이 생성되게 된다[6,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J. J., Hwang, T. Y. and Kim, H. S. 2015.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leyera japonica extract. J. Plant Res. 28, 153-157. 

  2. Akiyama, H., Sakushima, J., Taniuchi, S., Kanda, T., Yanagida, A., Kojima, T., Teshima, R., Kobayashi, Y., Goda, Y. and Toyoda, M. 2000. Antiallergic effect of apple polyphenols on the allergic model mouse. J. Bio. Pharm. Bull. 23, 1370-1373. 

  3. Alvarez, P. E., Laura, A., Torres, R. F., Rodrigo, G. J., Gonzalez, A. G. A. 2005. Complexation of apple antioxidants: chlorogenic acid, quercetin and rutin by ${\beta}$ -cyclodextrin ( ${\beta}$ - CD). J. Incl. Phenom. Macrocycl. Chem. 53, 121-129. 

  4. Ando, H. Y., Niki, M., Ito, K., Akiyama, M. S., Matsui, D. B., Yarosh, M. and Ichihashi, M. 2012. Melanosomes are transferred from melanocytes to keratinocytes through the processes of packaging, release, uptake, and dispersion. J. Invest. Dermatol. 132, 1222-1229. 

  5. Ando, S. O., Ando, Y. S. and Mishima, Y. 1993.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genet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00, 150-155. 

  6. Bentley, N. J., Eisen, T. and Goding, C. R. 1994. Melanocytespecific expression of the human tyrosinase promoter: activation by the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nd role of the initiator. J. Mol. Cell. Biol. 14, 7996-8006. 

  7. Boyer, J. and Liu, R. H. 2004. Apple phytochemicals and their health benefits. J. Nutr. 3, 5-15. 

  8. Choi, J. E. and Moon, J. S. 201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arsley extracts as an ingredient of function cosmetics. Asian J. Beauty Cosmetol. 15, 501-511. 

  9. Choi, S. J., Cho, E. A., Cho, E. H., Jeong, Y. J., Ku, C. S., Ha, B. J. and Chae, H. J. 2011. Screening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solvent fractions of apple flower leaf extract. J. KSBB. 26, 165-171. 

  10. Friedmann, P. S., Wren, F., Buffey, J. and Macneil, S. 1990. ${\alpha}$ -MSH causes a small rise in cAMP but has no effect on basal or ultraviolet-stimulated melanogenesis in human melanocytes. Br. J. Dermatol. 123, 145-151. 

  11. Han, S. B., Kwon, S. S., Kong, B. J., Kim, K. J. and Park, S. N. 2013. Antioxidative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unripened fruit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 295-302. 

  12. Han, Y. S. and Jung, E. S. 2003.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plant extracts. Asian J. Beauty Cosmetol. 1, 11-22. 

  13. Hearing, V. J. 1999.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 Dermatol. 4, 24-28. 

  14. Hunt, G., Todd, C., Cresswell, J. E. and Thody, A. J. 1994.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nd its analogue Nle4DPhe7 alpha-MSH affect morphology,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cultured human melanocytes. J. Cell. Sci. 107, 205-211. 

  15. Iwata, M., Corn, T., Iwata, S., Everett, M. A. and Fuller, B. 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c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 Dermatol. 95, 9-15. 

  16. Jin, Y. H., Lee, S. J., Chung, M. H., Park, J. H., Park, Y. I., Cho, T. H. and Lee, S. K. 1999. Aloesin and arbutin inhibit tyrosinase activity in a synergistic manner via a different action mechanism. J. Arch. Pharm. Res. 22, 232-236. 

  17. Jeong, S. J., Kim, K. H. and Yook, H. S. 2015.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Hot-Air Dried Allium hookeri. J. Kor. Soc Food Sci. Nutr. 44, 832-839. 

  18. Jung, B. R., Jung, J. G., Cho, S. S. and Bang, M. A. 2017.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fallen pear. J. Kor. Soc. Food Sci. Nutr. 46, 320-326. 

  19. Kang, M. C., Lee, J. Y., Lee, J. A., Han, J. H., Kim, B. S. and Kim, G. O. 2008. Antioxidant effects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Pimpinella komarovii extracts in Jeju island. J. KSBB. 23, 77-82. 

  20. Kim, M. J., Kim, Y. G., Kim, H. S., Cheong, C., Jang, K. H. and Kang, S. A. 2014.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of apple peel, grape peel, and sweet potato peel as natural antioxidant. J. JKAIS. 15, 3766-3773. 

  21. Kim, S. H. and Park, I.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meat broths served with oriental noodles. Kor. J. Food Nutr. 26, 150-153. 

  22. Miura, D., Miura, Y. and Yagasaki, K. 2007. Effect of apple polyphenol extract on hepatoma proliferation and invasion in culture and on tumor growth, metastasis, and abnormal lipoprotein profiles in hepatoma-bearing rats. J. Biosci. Biotechnol. Biochem. 71, 2743-2750. 

  23. Park, H. Y., Kosmadaki, M., Yaar, M. and Gilchrest, B. A. 2009. Cellular mechanisms regulating human melanogenesis. J. Cell. Mol. Life. Sci. 66, 1493-1506. 

  24. Park, J. G., Kramer, B. S., Steinberg, S. M., Carmichael, J., Collins, J. M., Minna, J. D. and Gazdar, A. 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J. Cancer Res. 47, 5875-5879. 

  25. Park, S. Y., Jin, M. L., Kim, Y. H., Kim, Y. and Lee, S. J. 2011. Aromatic-turmerone inhibits ${\alpha}$ -MSH and IBMX-induced melanogenesis by inactivating CREB and MITF signaling pathways. J. Arch. Dermatol. Res. 303, 737-744. 

  26. Poprac, P., Jomova, K., Simunkova, M., Kollar, V., Rhodes, C. J. and Valko, M. 2017. Targeting free radicals in oxidative stress-related human diseases. J. Trends Pharmacol. Sci. 38, 592-607. 

  27. Sanchez, F. A., Rodriguez, L. J. N., Garcia, C. F. and Garcia, C. F. 1995. Tyrosinase a compre hensive review of its mechanism. J. Biochim. Biophys. Acta. 1247, 1-11. 

  28. Stracke, B. A., Rufer, C. E., Bub, A., Seifert, S., Weibel, F. P, Kunz, C. and Watzl, B. 2010. No effect of the farming system (organic/conventional) on the bioavailability of apple (Malus domestica Bork., cultivar Golden Delicious) polyphenols in healthy men: a comparative study. Eur. J. Nutr. 49, 301-310. 

  29. Seiberg, M. 2001. Keratinocyte-melanocyte interactions during melanosome transfer. J. Pigment Cell Res. 14, 236-242. 

  30. Wolfe, K., Wu, X. and Liu, R. H. 2003. Antioxidant act activity of apple peels. J. Agric. Food Chem. 51, 609-614. 

  31. Won, H. R., Park, M. W. and Choi, M. Y. 2005. Antioxidant properties of unripened apple extracts. Kor. J. Community Living Sci. 16, 11-16. 

  32. Yasumoto, K., Yokoyama, K., Takahashi, K., Tomita, Y. and Shibahara, S. 1997. Functional analysis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in pigment cell-specific transcription of the human tyrosianse family genes. J. Biol. Chem. 272, 503-509. 

  33. Yoo, Y. K., Park, E. Y. and Kim, Y. C. 2013. Antioxidative ability and whitening efficacy of peel's water extracts from plum (Hongrosen and Hollywood). J. Kor. Soc. Cosm. 19, 516-523. 

  34. Yun, H. J., Lim, S. Y., Hur, J. M., Jeong, J. W., Yang, S. H. and Kim, D. H. 2007. Changes of functional compounds i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appl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J. Food Preserv. 14, 239-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