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elanoma cell (B16F10)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 의 발현 저해
Anti-oxidant Function and Inhibitory Effects of the Expression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of Sesamum indicum L. in B16F10 Melanoma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3 = no.203, 2017년, pp.318 - 324  

유단희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주다혜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참깨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미백효과를 검증하여 나타내었다. 참깨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실험은 $1,000{\mu}g/ml$에서 71.7%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1,000{\mu}g/ml$의 농도에서 42%의 효과를 보였다. 참깨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진행하였으며,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84.3%의 독성을 보였다. 이하의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되는 농도인 $500{\mu}g/ml$ 이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깨 추출물의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50, 250, $5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각각 $500{\mu}g/ml$ 농도에서 68.3%, 39.2%, 89.7%, 22.3%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발현을 RT-PCR로 50, 250, $5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참깨 추출물의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81.8%, 66.5%, 84.2%, 68.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참깨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antioxidant and skin-whitening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 from Sesamum indicum L. (SIL).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the SIL extract was 71.7%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The whitening effects that was measured by tyrosin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깨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 물질의 항산화 기능과 미백유전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관찰하여 새로운 기능성 미백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참깨 추출물의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측정하여 화장품 소재로의 활성을 검증하였고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추후 Q-PCR을 실시하여 참깨 추출물의 활성을 좀 더 심도있게 검증한다면 우수한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참깨 추출물이 melanin 합성에 관련 있는 유전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일환으로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과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mouse melanoma cell (B16F10)에 참깨 추출물을 농도별로 50, 250, 500 μg/ml 처리하여 24시간 뒤에 western blotting으로 MITF, TRP-1, TRP-2, tyrosinase 단백질 발현 측정 결과를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이란 무엇인가? 피부 미백에 대한 연구는 tyrosinase의 활성 억제,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 산화 억제, 자외선 차단 등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keratinocyte에 있는 멜라닌의 양과 분포에 따라 피부색과 색소침착이 결정되므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멜라닌의 형성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4].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 류의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이며, 인체​​​​​​내에서 독성물질에 대한 제거 작용을 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하지만 여러 외적인 요인으로 인한 멜라닌의 과잉 생산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 하여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생성 기전은 무엇인가? 하지만 여러 외적인 요인으로 인한 멜라닌의 과잉 생산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 하여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생성 기전은 멜라닌세포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tyrosine이 tyrosinase에 의해 DOPA로 전환되고, 다시 tyrosinase에 의해 DOPA quinone으로 전환되어 최종적으로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6, 7]. 대표적인 미백제인 알부틴은 강력한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일부 부작용으로 인하여 천연 물질로부터 미백활성을 가지는 물질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0].
피부 미백제 효능에 있어 TRP-1, TRP-2 효소가 관여하는 바는? 멜라닌 합성은 아미노산의 하나인 tyrosine을 기질로 하여 tyrosinase, TRP-1, TRP-2에 의해 DOPA를 거쳐 DOPA quinone으로 전환되고 비효소적 반응과 자발적 산화 과정을 거쳐 아미노산 혹은 단백질과의 중합 반응에 의해 멜라닌이 합성된다[19]. TRP-1과 TRP-2는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HICA)를 흑갈색으로 나타내는 indole-5,6-quinone-2-carboxylic acid (IQCA)로 전환시켜 최종적으로 멜라닌을 합성하며, 이들은 피부 미백제의 효능에 있어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로와 생성된 멜라닌의 분해를 촉진하는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이 중요시되고 있어 미백 효과 검증에 많이 연구되고 있다[12, 15]. 또한 Tyrosinase, TRP-1, TRP-2 뿐만 아니라 MITF 등과 같은 단백질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shri, A. 1998. Sesame breeding. Plant Breed. Rev. 16, 179-228.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120. 

  3.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H.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4. Cho, J. H., Kim, H. J. and Kim, Y. B. 2003. The study on depigmentation effects of salt, acetum, sesami semen nigrum. J. Kor.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16, 79-95. 

  5. Han, G. S., Kim, D. S., Woo, W. H. and Mun, Y. J. 2010. Inhibitory effect of Fructus ligustri lucidi on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s. Kor. J. Ori. Physiol. Pathol. 24, 296-301. 

  6. Hearing, V. J. 1999.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4, 24-28. 

  7. Hwang, J. and Lee, B. M. 2007. Inhibitory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tyrosinase, L-DOPA 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J. Toxicol. Environ. Health A. 70, 393-407. 

  8. Jin, K. S., Oh, Y. N., Park, J. A., Lee, J. Y., Jin, S. J., Hyun, S. K., Hwang, H. J., Kwon, H. J. and Kim, B. W. 2012. Anti-oxidant, anti-melanogen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Ko. J. Microbiol. Biotecnol. 40, 317-379. 

  9. Kamal Eldin, A. and Appelqvist, L. A. 1994.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different acyl lipids in seed oils from four Sesamum species. J. Am. Chem. Soc. 71, 135-139. 

  10. Kikugawa, K., Arai, M. and Kurechi, T. 1983. Participation of sesamol in stability of sesame oil. J. Am. Chem. Soc. 60, 1528-1533. 

  11. Kim, D. H., Moon, Y. S. and Son, J. H. 2015. Verific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Aruncus dioicus, a native plant of Ulleungdo. J. Plant Biol. 42, 55-59. 

  12. Kim, H. H., Park, G. H., Park, K. S., Lee, J. Y., Kim, T. H. and An, B. J. 2010. The effects of Aster glehni Fr. Schm. Extracts on whitening and anti-wringkle. J. Life Sci. 20, 1034-1040. 

  13. Lin, C. B., Babiarz, L., Liebel, F., Roydon-Price, E., Kizoulis, M., Gendimenico, G. J., Fisher, D. E. and Seiberg, M. 2002. Modulat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gene expression alters skin pigmentation. J. Invest. Dermatol. 119, 1330-1340. 

  14. Makinde, F. M. and Akinoso, R. 2014. Comparison between the nutritional quality of flour obtained from raw, roasted and fermented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 grown in Nigeria. Acta. Sci. Pol. Technol. Aliment. 13, 309-319. 

  15. Mallick, S., Singh, S. K., Sarkar, C., Saha, B. and Bhadra, R. 2005. Human placental lipid induces melanogenesi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its related proteins in vitro. Pigment Cell Res. 18, 25-33. 

  16. Mullany, L. C., Darmstradt, G. L., Khatry, S. K. and Titlsch, J. M. 2005. Traditional massage of newborns in Nepal: implications for trials of improved practice. J. Trop. Pediatr. 51, 82-86. 

  17. Park, C. G. 2002. Korean Oriental Medicine special lecture, Jipmoondang, Korea. 

  18. Park, S. H., Kim, A. H., Park, B. J. and Kim, J. J. 2013. Whitening effect of Biochanin A. J. Soc. Cosmet. Sci. Korea 39, 289-294. 

  19. Seo, E. J., Hong, E. S., Choi, M. H., Kim, K. S. and Lee, S. 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amnus yoshinoi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2, 750-754. 

  20. Son, H. U., Lee, S. H., Kim, M. A., Parl, H. J. and Lee, S. H. 2012. Comparison of melanogenesis-inhibiting activity by extracts of Prunus persica flower and Calyx. Kor. J. Food Preserv. 19, 946-950. 

  21. Ukeda, H., Maeda, S., Ishii, T. and Sawamura, M. 1997.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tetrazolium salt 3'-1-(phenylamino)-carbonyl-3,4-tetrazolium]-bis(4-methoxy-6-nitro) benzenesulfonic acid hydrate reduction by xanthine-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251, 206- 209. 

  22.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 53, 515-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