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enebrio molitor Fermented by Several Kinds of Micro-organism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8 = no.220, 2018년, pp.923 - 930  

장성호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심소연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안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서권일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갈색거저리를 발효시킨 분말을 water, ethanol, methanol 용매별로 추출하여 다양한 실험을 행하였다. 균주는 3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 (F5), Lactobacullus gasseri Ba9 (Ba9), 1종의 곰팡이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Ak), 1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Sc), 1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Bs) 총 6종의 균주를 사용하였다. 각 균주를 이용한 발효 후 갈색거저리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DPPH assay, 총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 함량, Cu 환원력, Fibrinolytic activity, 효소-기질 활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DPPH assay 결과, Water 추출물이 전반적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그 중 Bs 균주 발효 추출물이 우수한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총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의 경우, phenolic compound는 Ak발효군이 가장 함량이 많았고, Flavonoid는 Bs발효군이 가장 높았다. 환원력은 ethanol - Bs발효군에서 높은 수치를 확인하였고, Fibrinolytic activity 및 전분분해능은 water - Bs발효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발효 갈색거저리분말은, 기존 갈색거저리 분말보다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측면에서 효능이 상당부분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발효거저리분말은 식품산업전반에서 높은 이용가치를 증명하는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enebrio molitor (T. molitor)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 (F5), Lactobacillus gasseri Ba9 (Ba9),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Ak),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Sc), and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Bs). After 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갈색거저리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보다 폭넓은 활용을 추구하고자 상기 6 종의 유용 균주를 이용한 발효 갈색거저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데 널리 쓰이는 방법들 중 하나이며, 수소-전달 기작을 이용하여 시료의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원리이다[20]. 이는 홀전자를 가지고 있는 Free radical과 시료의 -OH기가 붙어서 Free radical의 radical 생성반응을 종결시키는 것에 기인하며, 이 반응에 의해 DPPH가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화, 이를 흡광도 측정을 통해 항산화능을 알아보는 것이다.

가설 설정

  • molitor) fermented using several kinds of micro-organisms (A, B). 0: Non-fermented. 1: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색거저리의 산업화에서 장점은 무엇인가? 갈색거저리는 딱정벌레 목 갈색거저리 과에 속하고, 야행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량으로 사육 및 공급할 수 있는 체계가 이미 구축되어 있어서 산업화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27]. 또한 GABA의 생성을 촉진하는 Glutam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혈중 HDL의 함량을 높이고 LDL의 함량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는 Oleic acid가 많이 존재한다는 영양학적 가치뿐만 아니라[27], 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 진균 효능을 가지고[6], TNF-α, il-6 및 NO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등 항 염증 효과 또한 존재한다는 연구결과[22]를 통해 식용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써의 가치도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곤충의 영양성분은? 옛날부터 인간은 곤충을 식용으로 이용해 왔으며, 곤충은 그 종에 따라 영양성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50~60%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고, 8.1~59%의 조지방, 4.9~ 12.1%의 Fe와 비타민 B군 등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22]. 또한 육류에 비해 Fe, Vitamin A, 불포화지방산 등이 비교적 풍부하며, 필수 아미노산 및 식이섬유 또한 풍부하다[17].
갈색거저리의 효능은 무엇인가? 갈색거저리는 딱정벌레 목 갈색거저리 과에 속하고, 야행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량으로 사육 및 공급할 수 있는 체계가 이미 구축되어 있어서 산업화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27]. 또한 GABA의 생성을 촉진하는 Glutam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혈중 HDL의 함량을 높이고 LDL의 함량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는 Oleic acid가 많이 존재한다는 영양학적 가치뿐만 아니라[27], 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 진균 효능을 가지고[6], TNF-α, il-6 및 NO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등 항 염증 효과 또한 존재한다는 연구결과[22]를 통해 식용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써의 가치도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방면의 연구결과 덕분에 2014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한시적인 식품 원료로 인정받았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S. I. 2005.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Department of Food and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2. Astrup, T. and Mullertz, S. 1991.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 40, 346-351. 

  3. Bijoy, M., Jayati, S. and Prabir, K. Sarkar.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bean as affected by Bacillus-fermentation to kinema. Food Res. Int. 41, 586-593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5. Chang, H. G. and Park, Y. S. 2003.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J. Appl. Biol. Chem. 46, 367-375. 

  6. Chung, S. J., Lee, Y. H., Chung, J. H., Lee, B. R. and Han, D. M. 1995. Antifungal Effect and activity spectrum of crude antifungal proteins from hemolymph of larvae of Tenebrio molitor in Korea. Hanguk Kyun Hakoe Chi 23, 232-237. 

  7. Dibyangana, R., Tania, B., Suchita, M., Shrayan, K. D. and Suvroma, G. 2014. Production and partial purification of alpha amylase from Bacillus subtilis (MTCC 121) using solid state fermentation. Biochem. Res. Int. 2014, 568141. 

  8.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9. Ahn, H. Y., Choe, D. J., Kim, B. K., Lee, J. H. and Cho, Y. S. 2015.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Saengmyeong Gwahag Hoeji 25, 1014-1020. 

  10. Huang, M. X., Ye, Y., Chen, Y. and Han, Y. L. 2012.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s from yellow mealworm. Int. J. Pept. Res. Ther. 18, 153-161. 

  11. Cha, J. Y., Kim, Y. S., Ahn, H. Y., Kang, M. J., Heo, S. J. and Cho, Y. S.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and Aspergillus kawachii. Saengmyeong Gwahag Hoeji 21, 81-88. 

  12. Jeong, M. E., Kang, S. A. and Cheong, C.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sh quality of Cheongju prepared using different Nuruks. JKAIS. 15, 5150-5158. 

  13. Jia, Z., Tang, M. and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4. Lee, J. H., Um, Y. R., Shim, K. S., Jeon, W. K., Lee, J. H. and Ma, J. Y. 2009. Acute toxicity study on fermented Ssanghwa-tang extracts in mice. Kor. J. Orient. Int. Med. 30, 780-787. 

  15. Kaur, C. and Kapoor, H. C. 2002.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some Asian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nol. 37, 153-161. 

  16. Kim, H. A., Lee, S. H., Choi, Y. C., Park, K. H., Hwang, J. S., Kim, N. J. and Nam, S. H. 2013. Comparison of fibrinolytic activity from Korean indigenous insects. J. Seric. Entomol. Sci. 51, 147-152. 

  17. Kim, S. Y., Son, Y. J., Kim, S. H., Kim, A. N., Lee, G. Y. and Hwang, I. K. 2015. Studies on oxidative stability of Tenebrio molitor Larvae during cold storage. Kor. J. Food Cook Sci. 31, 62-71 

  18. Chae, K. S., Jung, J. H., Yoon, H. H. and Son, R. 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mulberry wine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B-8. J. Kor. Soc. Food Sci. Nutr. 43, 1017-1024. 

  19. Lee, S. Y., Kim, J. H., Park, J. M., Lee, I. C. and Lee, J. Y.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Smilax China L. Kor. J. Food Preserv. 21, 254-263. 

  20. Liu, S., Sun, J., Yu, L., Zhang, C., Bi, J., Zhu, F. and Yang, Q.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Holotrichia parallela Motschulsky extracts. Food Chem. 134, 1885-1891. 

  21. Baek, M. H., Seo, M. C., Kim, M. A., Yun, E. Y. and Hwang, J. S. 2017.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ir-growth promotion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extracts (TMEs). Saengmyeong Gwahag Hoeji 27, 1269-1275. 

  22. Kang, M. S., Kim, M. J., Han, J. S. and Kim, A. J. 2017.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reeze dried Tenebrio molitor Larva. Kor. J. Food Nutr. 30, 251-256. 

  23. Oomah, B. D., Cardador­Martinez, A. and Loarca­Pina, G. 2005. Phenol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common beans (Phaseolus vulgaris L). J. Sci. Food Agric. 85, 935-942. 

  24. Phonesavanh, P., Kim, K. K., Lim, J. C., Lee, K. Y., Park, C. H. and Choe, M. 2015. Saccharification of Fagopyrum esculentum by amylase treatments increases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J. East Asian Soc. Diet Life 25, 139-145. 

  25. Hwang, S. Y., Bae, G. K. and Choi, S. K. 2015.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of Tenebrio molitor (Mealworm) according to cooking method. Culi. Sci. Hos. Res. 21, 100-115. 

  26. Swain, T. and Hillis, W. 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27. Yoo, J. M., Hwang, J. S., Goo, T. W. and Yun, E. Y.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J. Kor. Soc. Food Sci. Nutr. 42, 249-2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