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빨강불가사리(Certonardoa semiregularis)에서 분리된 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Isolated from Red Starfish (Certonardoa semiregularis) Gu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8 = no.220, 2018년, pp.955 - 961  

이해리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박소현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김동휘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문경미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허문수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다른 천연물 연구에 비해 불가사리로 부터 분리한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채집한 극피동물인 빨강불가사리(Certonardoa semiregularis)의 내장으로부터 Marine Agar와 R2A를 이용하여 총 103개의 균주를 분리하여 세균군집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16S rRNA유전자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 및 동정하였다. 그 결과 주요 계통군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24%, Beta-proteobacteria 4%, Gamma-proteobacteria 65%) 93%, Bacteroidetes 4%, Actinobacteria 2%, Firmicutes 1%로 4개의 문이 확인되었고, 7개의 강(Actinobacteria, Flavobacteria, Bacilli, Sphing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15개의 목, 19개의 과, 24속이 관찰되었다. 또한 계통 분석 결과 2개의 균주(Lysobacter sp., Pedobacter sp.)가 각각 97.55%, 97.58%로 상동성이 98% 이하로 나타나 새로운 속 또는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표준 균주와 함께 신종 후보 균주에 대한 생화학적, 형태학적 등의 추가적인 신종실험을 향후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various bioactive substances in starfish, research on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tarfish is lacking as compared with other natural produ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gut of red starfish (Certonardoa semiregularis) in Jeju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빨강불가사리에 내장에 서식하는 세균을 분리 배양하고 16S rRNA 분석을 통하여 세균 군집 구조 및 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관한 천연물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불가사리와 해면과 같은 해양 무척추동물의 세포 외 또는 세포 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22]. 불가사리에 관한 천연물 연구에 따르면 불가사리로부터 추출한 Cerebroside 및 polyhydroxylated steroidal glycosides가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4, 13]. 또한 불가사리의 체액 추출물이 B세포의 증식, IgM과 IgG의 생산을 유도하고 대식세포의 활성화 등 면역세포에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이외에도 불가사리로부터 추출한 Asterosaponins의 항염증작용과 Polysaccharide가 항산화제로서의 라디칼 소거능력과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하여 신경 보호 활성을 나타내어 새로운 약물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36, 40]. 이렇듯 최근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관한 천연물 연구가 비교적 많이 진행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료,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소재가 개발 되고 있다.
빨강불가사리는 주로 어느 지역에 분포하는가? 무척추동물 중 불가사리는 극피동물로 해양의 다양한 위치에 서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불가사리는 강한 번식력과 재생력을 갖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 사용된 빨강불가사리(Certonardoa semiregularis)는 연변목(Valvatida)에 속하고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의 아열대성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수심 5~15 m 정도의 조하대 암반지역에서 서식한다. 불가사리와 해면과 같은 해양 무척추동물의 세포 외 또는 세포 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22].
빨강불가사리의 세균 군집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하여 세균 군집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빨강불가사리의 세균 군집 구조는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 proteobacteria), Bacteroidetes, Actinobacteria, Firmicutes로 총 4개의 문(Phylum), 8개의 강(Class), 15개 목(Order), 19개의 과(Family)와 24개의 속(Genus)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Proteobacteria 96%, Bacteroidetes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freider, A., Pernthaler, J., Amann, R., Sattler, B., Glockner, F., Wille, A. and Psenner, R. 1996. Community analysis of the bacterial assemblages in the winter cover and pelagic layers of a high mountain lake by in situ 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2, 2138-2144. 

  2. Anand, T. P., Bhat, A. W., Shouche, Y. S., Roy, U., Siddharth, J. and Sarma, S. P.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marine bacteria associated with sponges from the waters off the coast of South East India. Microbiol. Res. 161, 252-262. 

  3. Ananthi, S., Raghavendran, H. R. B., Sunil, A. G., Gayathri, V., Ramakrishnan, G. and Vasanthi, H. R. 2010. In vitro antioxidant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crude polysaccharide from Turbinaria ornate (Marine Brown Alga). Food. Chem. Toxicol. 48, 187-192. 

  4. Andersson, L., Nasir, A., Bohlin, L. and Kenne, L. 1987. Studies of Swedish Marine Organisms, IX. Polyhydroxylated steroidal glycosides from the starfish Porania pulvillus. J. Nat. Prod. 50, 944-947. 

  5. Aneiros, A. and Garateix, A. 2004. Bioactive peptides from marine source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isolation procedures. J. Chromatogr. B. 803, 41-53. 

  6. Bernan, V. S., Greenstein, M. and Carter, G. T. 2004. Mining marine microorganisms as a source of new antimicrobials and antifungals. Curr. Med. Chem. Anti-Infective Agents. 3, 181-195. 

  7. Bonner, D. P., O'Sullivan, J., Tanaka, S. K., Clark, J. M. and Whitney, R. R. 1988. Lysobactin, A novel antibacterial agent produced by Lysobacter sp.. J. Antibiot. 41, 1745-1751. 

  8. Chae, S. Y., Kim, M. J., Kim, D. S., Park, J. E., Jo, S. K. and Yee, S. T. 2007. Effect of Asterina pectimifera extraction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36, 269-275. 

  9. Cho, H. H. and Park, J. S.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of culturable bacteria associated with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Spirastrella panis by 16S rDNA-RELP. 2009. Kor. J. Microbiol. 45, 155-162. 

  10. Choi, G. G., Lee, O. H. and Lee, G. H. 2003. The diversity of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intestine of starfish (Asterias amurensis) by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 J. Ecol. Environ. 26, 307-312. 

  11. Choi, H. J., Kim, Y. E., Bang, J. H., Kim, D. W., Ahn, C. S., Jeong, Y. K. and Joo, W. H. 2011. Characterization of an indigenous antimicrobial substance-producing Paenibacillus sp. BCNU 5011. Kor. J. Microbiol. Biotechnol. 26, 100-106. 

  12. Choi, H. R., Park, S. H., Kim, D. H., Kim, J. Y. and Heo, M. S. 2016. Phyolgenetic diversity and community analysis of marine bacteria associated with Ulva pertusa. J. Life Sci. 26, 819-825. 

  13. Du, L., Li, Z. J., Xue, J., Wang, J. F., Xue, Y., Xue, C. H., Takahashi, K. and Wang, Y. M. 2012. The anti-tumor activities of cerebrosides derived from sea cucumber Acaudina molpadioides and starfish Asterias amurensis in vitro and in vivo. J. Oleo. Sci. 61, 321-330. 

  14. Eilers, H., Pernthaler, J., Glockner, F. O. and Amann, R. 2000. Culturability and in situ abundance of pelagic bacteria from the North sea. Appl. Envion. Microbiol. 66, 3044-3051. 

  15. El Amraoui, B., El Amraoui, M., Cohen, N. and Fassouane, A. 2014.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marine microorganisms. Ann. Pharm. Fr. 72, 107-111. 

  16. Habbu, P., Warad, V., Shastri, R., Madagundi, S. and Kulkarni, V. H. 2016. Antimicrobial metabolites from marine microorganisms. Chin. J. Nat. Med. 14, 0101-0116. 

  17. Islam, T. M., Hashidoko, Y., Deora, A., Ito, T. and Tahara, S. 2005. Suppression of damping-off disease in host plants by the rhizoplane bacterium Lysobacter sp. Strain SB-K88 is linked to plant colonization and antibiosis against soilborne Peronosporomycetes. Appl. Eviron. Microbiol. 71, 3876-3796. 

  18. Isnansetyo, A. and Kamei, Y. 2003. Pseudoalteromonas phenolica sp. Nov., a novel marine bacterium that produces phenolic anti-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ubstanc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3, 583-588. 

  19. Kamei, Y., Yoshimizu, M., Ezura, Y. and Kimura, T. 1987. Screening of bacteria with antiviral activity against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from estuarine and marine environments. Bull. Jpn. Soc. Sci. Fish. 53, 2179-2185. 

  20. Kato, A., Nakaya, S., Ohashi, Y., Hirata, H., Fujii, K. and Harada, K. I. 1997. WAP- $8294A_2$ , A novel anti-MRSA antibiotic produced by Lysobacter sp.. J. Am. Chem. Soc. 119, 6680-6681. 

  21. Kim, D. H., Park, S. H., Kim, J. H., Lee, H. R. and Heo, M. S. 2017.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marine-derived biomaterials aginst fish pathogens. Microbiol. Biotechnol. Lett. 45, 250-256. 

  22. Levina, E. V., Kalinovsky, A. I., Andriyashenko, P. V., Dmitrenok, P. S., Aminin, D. L. and Stonik, V. A. 2005. Phrygiasterol, a cytotoxic cyclopropane-containing Polyhydroxysteroid, and related compounds from the pacific starfish Hippasteria phrygiana. J. Nat. Prod. 68, 1541-1544. 

  23. Li, Z., He, L. and Miao, X. 2007. Cultivable bacterial community from South China Sea sponge as revealed by DGGE fingerprinting and 16S rDNA phylogenetic analysis. Curr. Microbiol. 55, 465-472. 

  24. Muscholl-Silberhorn, A., Thiel, V. and Imhoff, J. F. 2008. Abundance and bioactivity of cultured sponge-associated bacteria from the Mediterranean Sea. Microbiol. Ecol. 55, 94-106. 

  25. Okami, Y., Okazaki, T., Kitahara, T. and Umezawa, H. 1976. Studies on marine microorganisms. V: A new antibiotic, aplasmomycin, produced by a streptomycete isolated from shallow sea mud. J. Antibiot. 29, 1019-1025. 

  26. Okami, Y. 1986. Marine microorganisms as a source of bioactive agents. Microbial. Ecol. 12, 65-78. 

  27. Okutani, K. 1992. Antiviral activities of sulfated derivates of a fucosamine containing polysaccharide of marine bacterial origin. Nippon Suisan Gakk. 58, 927-930. 

  28. Park, E. H., Kim, J. A., Choi, S. H., Bin, J. H., Cheigh, H. S., Suk, D. H., Lee, S. C. and Kim, Y. H. 2007. Isol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diarrhea patients. J. Life Sci. 17, 811-815. 

  29. Park, S. H., Kim, J. Y., Kim, Y. J. and Heo, M. S. 2015. Flavobacterium jejuensis sp. Nov., isolated from marine brown alga Ecklonia cava. J. Microbiol. 53, 756-761. 

  30. Ryazanova, L. P., Stepnaya, O. A., Suzina, N. E. and Kulaev, I. S. 2005. Antifungal action of the lytic enzyme complex from Lysobacter sp. XL1. Process. Biochem. 40, 557-564. 

  31.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32.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and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33. Tang, H. F., Cheng, G., Wu, J., Chen, X. L., Zhang, S. Y., Wen, A. D. and Lin, H. W. 2009. Cytotoxic Asterosaponins capable of promoting polymerization of tubulin from the starfish Culcita novaeguineae. J. Nat. Prod. 72, 284-289. 

  34. Tang, H. F., Yi, Y. H., Li, L., Sun, P., Zhang, S. Q. and Zhao, Y. P. 2005. Three new Asterosaponins from the starfish Culcita novaeguineae and their bioactivity. Planta. Med. 71, 458-463. 

  35. Thao, N. P., Cuong, N. X., Luyen, B. T. T., Quang, T. H., Hanh, T. T. H., Kim, S. H., Koh, Y. S., Nam, N. H., Kiem, P. V., Minh, C. V. and Kim, Y. H. 2013. Anti-inflammatory components of the starfish Astropecten polyacanthus. Mar. Drugs 11, 2917-2926. 

  36. Thao, N. P., Cuong, N. X., Luyen, B. T. T., Thanh, N. V., Nhiem, N. X., Koh, Y. S., Ly, B. M., Nam, N. H., Kiem, P. V., Minh, C. V. and Kim, Y. H. 2013. Anti-inflammatory Asterosaponins from the starfish Astropecten monacanthus. J. Nat. Prod. 76, 1764-1770. 

  37. Thompson, J. D., Higgins, D. G. and Gibson, T. J.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n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38. Wu, F. J., Xue, Y., Tang, Q. J., Xu, J., Du, L., Xue, C. H., Takahashi, K. and Wang, Y. M. 2013. The protective effects of Cerebrosides from sea cucumber and starfish on the oxidative damage in PC12 cells. J. Oleo. Sci. 62, 717-727. 

  39. Yun, H., Oh, H. J. and Choi, S. W. 2012. Difference of Catechins extracted level when fermented sun-dried salt and green tea. Kor. J. Contents. 12, 278-285. 

  40. Zhang, W., Wang, J., Jin, W. and Zhang, Q. 2013.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europrotectice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the starfish Asterias rollestoni. Carbohyd. Polym. 95, 9-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