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 자생식물 번행초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속 식물생장촉진근권 세균에 의한 식물병 저항성 유도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plants by Bacillus sp. Isolated from Dok-do Islands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7 no.4, 2019년, pp.596 - 602  

김승건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손진수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권덕기 (경북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사열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도에서 서식하는 자생식물인 번행초와 번행초의 근권에서 미생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의 식물생장 촉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식물 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효과를 가진 균 중 범용성이 좋은 바실러스 속 세균에 초점을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번행초의 분리 균들은 근권환경에 52종, 식물체 내생 환경에서 51종, 식물체 표면에서 35종으로 총 138종의 분리 균이 확보되었다. 분리 균의 식물생장촉진특징을 확인하여 보기 위하여, 식물 성장에 필요한 난용성인 가용화와 철의 결합에 사용되는 siderophore의 생산능, 식물생장호르몬인 옥신 생산능을 확인하여 각각의 비율을 확인하였고, 3가지 특성을 모두 가진 균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 균을 담배에 처리하여 병원균에 대한 유도전신저항성을 확인하였고, 그 중 효과가 좋았던 균 35종을 부분 동정한 결과, 바실러스 속은 KUDC6588, KUDC6597, KUDC6606, KUDC6614, KUDC6615, KUDC6619로 나타났다. 6종의 바실러스 속 세균들은 모두 저항성 향상에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KUDC6619의 경우 현재 화학항생물질인 BTH와도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KUDC6619는 대표적인 식용작물인 고추에서도 유도전신저항성의 향상에 대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사람과 동물에 대한 안전성, 식물 병원성 등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한 후,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KUDC6619는 식물의 ISR을 야기하는 생물농약 으로서의 높은 산업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eptember 2017, the rhizospheric soil of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was further sampled. One hundred and thirty eight species of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soil. Indole-3-acetic acid (IAA) production, siderophore production, and phosphate degradation were examined in or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독도의 자생식물인 번행초와 번행초의 근권토양에서부터 분리한 세균 중 식물병 저항성을 유도하는 능력을 갖추는 세균의 분포를 파악하며, 그 중 그람 양성 세균인 바실러스 속 세균에 초점을 맞추어 작물에서의 식물병저항 효과를 증명하려고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의 식물병저항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독도 자생식물의 근권에서 식물생장촉진세균을 선별하고, 그 중에도 상업적 가치가 높은 바실러스 속 세균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식물생장촉진근권세 균들이 가지고 있는 식물생장촉진특성인 옥신생산능과 siderophore 생산능, 난용성 인산 가용능을 확인하여 식물 근권에 군집하여 있는 균들의 PGP 분포비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이란 무엇인가?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은 식물의 뿌리 주위에 서식하는 미생물 중 식물의 성장을 향상시키거나 식물의 질병에 저항성을 높여 주는 임무를 수행하는 근권세균들을 통칭한다. 현재까지 잘 알려진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의 속으로는 Pseudomonas, Bacillus, Rhizobium, Alcaligenes, Azospirillum, Paenibacillus, Klebsiella, Azotobacter, Burkholderia, Arthrobacter, Serratia 등이 있다[2].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기작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은 식물의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관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다양한 기작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기작으로는 전신획득저항성(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 [10]과 유도전신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이다[11].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은 식물의 성장에 이로운 영향을 주는 옥신, 사이토키닌, 지베렐린 등과 같이 식물성장호르몬을 생성하거나, 난용성 인산 가용화 능력, 대기 중 존재하는 질소를 고정, 철의 흡수를 도와주는 siderophore를 생산하는 등의 여러 방면에서 역할을 한다[3]. 옥신의 한 종류인 IAA (indole-3-acetic acid)는 최초에 발견된 식물 호르몬으로, 줄기와 뿌리 끝에서 합성되며 식물의 축을 따라 운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alker TS, Bais HP, Greotewold E, Vivanco, JM. 2003. Root exudation and rhizosphere biology. Plant Physiol. 132: 44-51. 

  2. Babalola OO. 2010. Beneficial bacteria of agricultural importance. Biotechnol. Lett. 32:1559-1570. 

  3. Hayal R, Ali S, Amara U. 2010. Soil beneficial bacteria and their role in plant growth promotion: A review. Ann. Microbiol. 60: 579-598. 

  4. Lebuhn M, Heulin T, Hartmann A. 1997. Production of auxin and other indolic and phenolic compounds by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s isolated from different proximity to plant roots. FEMS Microbiol. Ecol. 22: 325-334. 

  5. Karthikeyan AS, Raghothama KG. 2005. Phosphate acquisition. Plant Soil 274: 37-49. 

  6. Weinberg ED. 1978. Iron and infection. Microbiol. Rev. 42: 45-66. 

  7. Bienfait HF. 1989. Prevention of stress in iron metabolism of plant. Acta Bot. Neerl. 38: 105-129. 

  8. Loper JE, Buyer JS. 1991. Siderophore in microbial interactions on plant surfaces. MPMI 4: 5-13. 

  9. Beare PA, For RJ, Martin LW, Lamont IL. 2003. Siderophoremediated cell signaling in Pseudomonas aeruginosa: divergent pathways regulate virulence factor production and siderophore receptor synthesis. Mol. Microbiol. 47: 195-207. 

  10. Ross AF. 1961.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induced by localized virus infections in plants. Virology 14: 340-358. 

  11. Wei G, Kloepper JW, Tuzun S. 1991.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of cucumber to Colletotrichum orbiculare by select strains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hytopathology 81: 1508-1512. 

  12. Schneider M, Schweizer P, Meuwly P, Metraux JP. 1996.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in Plants. Int. Rev. Cytol. 168: 303-340. 

  13. Phi QT, Park YM, Seul KJ, Ryu CM, Park SH, Kim JG, et al. 2010. Assessment of root-associated Paenibacillus polymyxa groups on growth promotion and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pepper. J. Microbiol. Biotechnol. 20: 1605-1613. 

  14. Bakker PAHM, Ran LX, Pieterse CMJ, Van LC. 2003. Understanding the involvement of rhizobacteria-mediated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in biocontrol of plant disease. Can. J. Plant Pathol. 25: 5-9. 

  15. Bargabus RL, Zidack NK, Sherwood JW, Jacobsen BJ. 2002. Characterization of systemic resistance in sugar beet elicited by a non-pathogenic, phyllosphere-colonizing Bacillus mycoides, biological control agent. Physiol. Mol. Plant Pathol. 61: 289-298. 

  16. Murphy JF, Zehnder GW, Schuster DJ, Sikora EJ, Polston JE, Kloepper JW. 2000.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l mediated protection in tomato against tomato mottle virus. Plant Dis. 84: 779-784. 

  17. Zehnder GW, Murphy JF, Sikora EJ, Kloepper JW. 2001. Application of rhizobacteria for induced resistance. Eur. J. Plant Pathol. 107: 39-50. 

  18. Donk PJ. 1920. A highly resistant thermophilic organism. Bacteriol. 5: 373-374. 

  19. Wayne LN, Nobuo M, Gerda H, HenryJM, Peter S. 2000. Resistance of Bacillus endospores to extreme terrestrial and extraterrestrial environments. Microbiol. Mol. Biol. Rev. 64: 548-572. 

  20. Bae SG, Choo CO. 2016. Geological heritage of the Ulleungdo. Dokdo National Geopark and its management system. J. Geol. Soc. Korea 52: 739-761. 

  21. Hwang SI, Park KG. 2008. In: Research Institute for Ulleungdo & Dokdo Islands. pp. 54-111.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ditors. Nature of Dokdo. Daegu: Kyungpook University Press. 

  22. Lee W, Yoon JS, Park JH. 2017. Story of Enviroment at Dokdo Island, plant. pp. 6-5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ditors. Nature of Dokdo. Daegu: Kyungpook University Press. 

  23. Glickmann E, Dessaux Y. 1995.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Salkowski reagent for indolic compounds produced by phytopathogenic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61: 793-796. 

  24. Schwyn B, Neilands JB. 1987. University chemical assay for the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siderophores. Anal. Biochem. 160: 46-52. 

  25. Nautiyal CS. 1999. An efficient microbiological growth medium for screening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FEMS Microbiol. Lett. 170: 265-2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