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이상 변동에 나타난 2016 ML5.8 경주 지진의 전조 가능성
The Abnormal Groundwater Changes as Potential Precursors of 2016 ML5.8 Gyeongju Earthquake i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o.4, 2018년, pp.393 - 400  

이현아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연구소)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우남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연구소,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M_L5.8$ 경주 지진과 2017년 11월 15일 $M_L5.4$ 포항 지진은 국내에 지진 예측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지진 예측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는 지진 발생 전 이상 변동을 보이는 인자들의 관측과 평가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의 지하수위 정밀 관측을 위해 시범 운용 중인 양산 지하수 정밀관측공에서 2015년부터 관측된 지하수의 비정상적인 상승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 이상 변동은 다양한 수리지질학적 인자들을 고려하였을 때 지진 전조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 관정의 단일 요소에서 나타난 자료만으로 지진 전조를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장기적으로는 전조 현상 연구와 평가를 위한 전문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some skeptical views on the possibility of earthquake predic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recursory changes have been continued throughout the world. In Korea, the public concern on the earthquake prediction has been increased after 2016 $M_L5.8$ and 2017 $M_L5.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지하수 관측을 활용한 지진 예측 및 감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시범적인 정밀관측시스템이 양산단층대에 인접한 부산대 양산캠퍼스에 설치되어 운용 중에 있다. 본 논문은 경주 지진 전 해당 관측공에서 보인 장기적인 이상을 보고하고, 지진 전조 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ig. 1의 위성 사진과 같이 관측정 주변은 도로와 주택지 외에는 대부분 나지로 피복되어 있으나 YS-MW가 관측하는 대수층은 43.8 ~ 300 m 구간의 암반 대수층으로 지하수의 함양 과정을 고려할 때 함양의 효과는 미미할 것이다. 다만, 관측정이 소재한 물금읍의 연간 지하수사용량은 2011년 이후로는 해가 지날수록 감소하여 지하수 상승이 시작된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전년도 대비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78년 계기 관측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자연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무엇인가? 지난 2016년 9월 12일 20시 32분 54초 경주에서 발생한 ML5.8 지진은 1978년 계기 관측이 시작된 이래 한반도에서 발생한 자연 지진 중 가장 큰 규모로 160개 지진관측소에서 감지되었다(Hong et al., 2017).
지진 예측 연구는 어떤 분야인가? 지진 예측 연구는 지진이 발생할 시기 및 위치와 그 규모를 예측하고 평가하는 분야로(Che, 2007; Lee et al., 2017), 주로 지진 발생 전 변화가 나타난다고 알려진 인자들의 계속적인 관측을 통해 지진 전조 (precursor)를 찾아 판단한다.
지진 전조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 2017), 주로 지진 발생 전 변화가 나타난다고 알려진 인자들의 계속적인 관측을 통해 지진 전조 (precursor)를 찾아 판단한다. 지진 예측에 사용되는 관측 인자는 미소 지진 외에도 토양 가스(주로 라돈), 응력 변화, 지표 변이, 전자기장의 변화, 중력, 지하수위, 지하수 온도, 화학적 조성(라돈 등 가스, 용존 물질의 농도)의 변화 등이 있다(Rikitake, 1979; Cicerone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rsukov, V.L., Varshal, G.M. and Zamokina N.S. (1985) Recent results of hydrogeochemical studies for earthquake prediction in the USSR. Pure Appl. Geophys., v.122, p.143-156. 

  2. Chang, C. and Jo, Y. (2015) Heterogeneous in situ stress magnitudes due to the presence of weak natural discontinuities in granitic rocks. Tectonophysics, v.664, p.83-97. 

  3. Che, Y. and Yu, J. (1992)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anomaly before some moderatestrong earthquakes in the Eastern China continent. Seismol. Geol., v.14(1), p.23-29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4. Che, Y. (2007) Earthquake/underground-water theory and monitoring technology (地震地下流?理?基礎基????技?). Institute of Earthquake Forecasting, China Earthquake Administration, 261p. (in Chinese). 

  5. Cicerone, R., Ebel, J.E. and Britton, J. (2009) A systematic compilation of earthquake Precursors. Tectonophysics, v.476, p.371-396. 

  6. Dobrovolsky, I.P., Zubkov, S.I. and Miachkin, V.I. (1979) Estimation of the size of earthquake preparation zones. Pure Appl. Geophys., v.117, p.1025-1044. 

  7. Freeze, R.A. and Cherry, J.A. (1979) Groundwater. Prentice Hall, 604p. 

  8. Hong, T.-K., Lee, J., Kim, W., Hahm, I.-K., Woo, N.C. and Park, S. (2017). The 12 September 2016 ML5.8 midcrustal earthquak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eismic implica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44, p.3131-3138, doi:10.1002/2017GL072899. 

  9. Huang, F., Li, M., Ma, Y., Han, Y., Tian, L., Yan, W. and Li, X. (2017) Studies on earthquake precursors in China: A review for recent 50 years. Geodesy Geodyn., v.8, p.1-12. 

  10. Kim, J., Kim, M., Kim, S. and Lee, H. (2018) An analysis of anomalous radon variation caused by M5.8 Gyeongju earthquake. Econ. Environ. Geol., v.51(1), p.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tagawa, Y., Koizumi, N., Takahashi, M., Matsumoto, N. and Sato, T. (2006) Changes in groundwater levels or pressures associated with the 2004 earthquake off the west coast of northern Sumatra (M9.0). Earth Planets Space, v.58(2), p.173-179. 

  12. Koizumi, N. (2013) Earthquake prediction research based on observation of groundwater. Synthesiology English ed., v.6(1), p.26-37.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http://www.kma.go.kr/, last access: 2018.06.17. 

  14. Kuo, T.-K., Chin, P.-Y. and Feng H.-T. (1974) Discussion on the change of ground-water level preceding a large earthquake from an earthquake source model. Acta Geophys. Sin., v.17(2), p.99-105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H.A. and Woo, N.C. (2012) Influence of the M9.0 Tohoku Earthquake on groundwater in Korea. Geosci. J., v.16(1), p.1-6. 

  16. Lee, H.A, Hamm, S.-Y. and Woo, N.C. (2017)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earthquake surveillance and prediction. Econ. Environ. Geol., v.50(5), p.401-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H.A, Kim, M., Hong, T.-K. and Woo, N.C. (2011) Earthquake observation through groundwater monitoring: A case of M4.9 Odaesan earthquake. J. Soil Groundw. Environ., v.16(3), p.38-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Y. (2016) Gyeongju earthquake recorded in daily groundwater data at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in Gyeongju. J. Soil Groundw. Environ., v.21(6), p.80-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H., Ha, K., Hamm, S.-Y. and Ko, K.-S. (2013) Groundwater responses to the 2011 Tohoku Earthquake on Jeju Island, Korea. Hydrol. Process., v.27, p.1147-1157. 

  20. Liu, Y. and Shi, J. (2000) Precautionary information of groundwater precursors in strong earthquakes (强震地下流?前兆信息特征). Earthquake, v.22(1), p.102-107 (in Chinese). 

  21. Liu, Y., Lu, M.Y., Fu, H., Huang, F.Q. and Li, S.L. (2010) The researches on extraction of information in the groundwater and prediction of the strong earthquakes (地下流???信息提取?强震??技?硏究). Dizhen Publishing House, Beijing, 317p. (in Chinese). 

  22. Mjachkin, V.I., Brace, W.F., Sobolev, G.A. and Dieterich, J.H. (1975) Two Models for Earthquake Forerunners. In M. Wyss (Ed.), Earthquake Prediction and Rock Mechanics, Basel: Birkhauser Basel, p.169-181. 

  23. Merifield, P.M. and Lamar, D.L. (1984) Possible Strain Events Reflected in Water Levels in Wells along San Jacinto Fault Zone, Southern California. Pure Appl. Geophys., v.122(2-4), p.234-254. 

  24.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of Korea (MPSS) (2017) A white paper for 9.12 Earthquake in 2016. 405p. (in Korean). 

  25. Rahi, K.A. and Halihan, T. (2013) Identifying Aquifer Type in Fractured Rock Aquifers using Harmonic Analysis. Ground Water, v.51(1), p.76-82. 

  26. Riggio, A. and Santulin, M. (2015) Earthquake forecasting: a review of radon as seismic precursor. B. Geofis. Teor. Appl., v.56(2), p.95-114. 

  27. Rikitake, T. (1979)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precursors. Tectonophysics, v.54(3-4), p.293-309. 

  28. Rikitake, T. (1987) Earthquake precursors in Japan: precursor time and detectability. Tectonophysics, v.136, p.265-282. 

  29. Rikitake, T. (1988) Earthquake prediction: an empirical approach. Tectonophysics, v.148(3-4), p.195-210. 

  30. Roeloffs, E. and Quilty, E. (1997) Water Level and Strain Change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August 4, 1985 Kettleman Hills, California, Earthquake. Pure Appl. Geophys., v.149(1), p.21-60. 

  31. Roeloffs, E. (1988) Hydrologic precursors to earthquakes: A review. Pure Appl. Geophys., v.126(2-4), p.177-209. 

  32. Rojstaczer, S. and Agnew, D.C. (1989) The influence of formation material properties on the response of water levels in wells to earth tides and atmospheric loading. J. Geophys. Res. Solid Earth, v.94, p.12403-12411. 

  33. Ruegg, J.C., Rudloff, A., Vigny, C., Madariaga, R., de Chabalier, J.B., Campos, J., Kausel, E., Barrientos, S. and Dimitrov, D. (2009) Interseismic strain accumulation measured by GPS in the seismic gap between Constitucion and Concepcion in Chile. Phys. Earth Planet. Inter., v.175(1-2), p.78-85. 

  34. Shi, Z., Wang, G. and Liu, C. (2014) Advances in research on earthquake fluids hydrogeology in China: a review. Earthq. Sci., v.26(6), p.415-425. 

  35. Sultankhodzhayev, A.N., Latipov, S.U., Zakrov, T.Z., Zigan, F.G., et al. (1980) Dependence of hydrogeoseismological anomalies on the energy and epicentral distance of earthquakes. Dokl. Akad. Nauk. UzSSR, v.5, p.57-59. 

  36. Wang, C.-Y. and Manga, M. (2010a) Earthquakes and Water.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25p. 

  37. Wang, C.-Y. and Manga, M. (2010b) Hydrologic responses to earthquakes and a general metric. Geofluids, v.10, p.206-216. 

  38. Wang, J., Chen, Q.-F., Sun, S. and Wang, A. (2006) Predicting the 1975 Haicheng earthquake. Bull. Seismol. Soc. Am., v.96(3), p.757-7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