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섯 번의 수감 생활을 한 여성 노인의 생애사 재구성
Study of Life History of Elderly Women who had Six Times of Imprison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8, 2018년, pp.210 - 226  

양은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애 통상 여섯 번의 수감 생활과 삼청 교육대 입소 경험이 있는 한 여성 노인의 삶을 생애사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생애사 텍스트는 만델바움(Mandelbaum, 1973)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의 순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삶의 영역은 보조 공원시절의 노동 착취, 미군 전용 클럽에서의 호스티스 생활, 교도소 수감생활, 삼청 교육대 경험, 장애인 남성과의 결혼 생활, 농업 노동자의 생활로 나타났다. 삶의 전환점은 보조 공원 겸 가사 도우미 취업, 교도소 입소, 생계를 위한 호스티스의 삶, 국가 폭력에 의한 삼청 교육대 입소, 장애인 남성과의 결혼과 이혼, 농업 노동자로서의 사회복지 서비스 거부로 나타났다. 적응 전략은 보조 공원 시절의 철저한 순응, 소년 교도소 시절의 과장된 위약적 행동, 호스티스 집창촌 성매매 여성으로서의 돈 버는 기계, 장애인 남성과의 결혼 후 현모양처로서의 적응, 자영업자와 농업 노동자의 저항적 적응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에 의해 사회적 낙인과 함께 여성 수용 경험자들의 트라우마에 대해 논의를 하였고 여성 출소자의 사회 재적응을 도울 수 있는 상담심리차원의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fe history of an elderly woman who had six times of imprisonment and entered a Samchung re-education camp. This study of life history followed the analysis of Mandelbaum(1973) pointing three perspectives of life: dimensions, turnings, and adaptations. Participant's 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델바움이 제시한 생애사 연구는 어떤 것에 집중하여 발전한 학문인가? 본 연구는 만델바움(Mandelbaum)이 제시한 생애사 연구 방법에 근거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생애사 연구는 사회적인 약자들의 삶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발전된 학문이다. 개인적 삶의 기록을 넘어 사회, 환경에 끊임없이 반응하여 도출된 결과인 개개인의 삶을 통하여 특정 사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진단하며 소수자들을 위한 정책과 실천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다.
Mandelbaum은 어떤 비평을 통해서 새로운 생애사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는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인 여성 출소자 또한 사회구조적 약자로서 생애사 연구를 통하여 그녀의 삶을 통찰하며 출소자들의 사회 부적응 문제, 재범 등 이를 예방을 위한 사회적 정책 지원을 재고(再考)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andelbaum은 기존의 생애사 연구들이 한 개인의 서사에 머물렀다는 비평을 통해 그 구조와 사회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더욱 체계적인 분석들을 제시하였다. 한 개인의 생을 삶의 영역, 전환점, 그리고 적응 순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은 상호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연계된 구조를 지니고 있어 개인의 생활을 유기적이면서도 총제적인 관점에서 드러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14].
여성들의 범죄는 어떤 특징을 가지며, 이는 남성들의 경우와 비교해서 어떤 차이를 가지는가? 선행연구에 의하면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사회적 자원과 권력이 부족하여 쉽게 교도소에 수감되고 또한 출소 후에도 직업, 사회적 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2-5]. 또한 사회적응에 있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낙인과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 평가이다. 남성들의 경우 성폭행과 같은 파렴치한 범죄를 제외하고 폭력이나 여타 범죄들은 남성다움의 상징으로 미화되기도 하고 또한 구조적 모순에 대한 저항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여성들에 대한 범죄만큼은 매우 냉혹하다[6-8]. 따라서 여성들의 경우 교도소에서 출소한 후에도 자신이 저지른 범죄에 대한 과도한 죄의식과 속죄 압박 등으로 인해 자살을 하는 경우도 많고 사회적 낙인을 견디지 못해 또 다른 일탈의 길로 들어서는 경우도 많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박영숙, "여성 수형자의 자녀와의 관계강화를 위한 교정복지의 방향," 교정복지연구, 제10권, pp.39-63, 2007. 

  2. H. Foster, "The strains of maternal imprisonment: Importation and deprication stressors for women and childre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40, No.3, pp.221-229, 2012. 

  3. T. Opsal, "It's Their World, so You've Just Got to Get Through. Women's experiences of parole governance," Feminist Criminology, Vol.10, No.2, pp.188-207, 2015. 

  4. 남상철, 신연희, "여성노인의 빈곤과 범죄문제에 관한 연구 - 법태도를 중심으로 -," 한국교정학회, Vol.24, No.24, pp.7-38, 2004. 

  5. 남상철, 신연희, "노인수용자의 효율적 처우방안," 한국교정학회, Vol.19, No.19, pp.163-189, 2003. 

  6. J. Petersilia, When Prisoners come home: Parole and prisoner reent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7. 이아름, 김미현, 이동훈, "여성출소자의 사회재진입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pp.388-409, 2017. 

  8. 이동훈, 신지영, 조은정, 김진주,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삶과 가족관계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1, No.1, pp.81-108, 2016. 

  9. B. Bloom and S. Covington, Gender-specific programming for female offenders: What is it and why is it important, In 50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ety of Criminology, Washington, DC, 1998. 

  10. 이동훈, 강수운, 지승희,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 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4, pp.595-622, 2016. 

  11. M. Chesney-Lind and B. Bloom, "Feminist criminology: Thinking about women and crime," in B. MacLean and D. Milovanovic (eds) Thinking critically about crime, Vancouver, Canada: Collective Press, pp.54-65, 1997. 

  12. L. S. Urban and B. Burton, "Evaluation the Turning Points Curriculum: A Three-Year study to Assess Parenting Knowledge in a Sample of Incarcerated Woman," Journal of Correctional Education, Vol.66, No.1, p.58, 2015. 

  13. G. Rosenthal, Interpretative Sozialforschung, Eine Einfuhrung, Juventa: Weinheim, Munchen, 2005. 

  14. D. G. Mandelbaum, "The stury of life history: Gandhi," Current Anthropology, pp.177-206, 1973. 

  15.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 제39권, 제3호, pp.288-297, 2005. 

  16. 양민숙, 이동훈,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pp.120-139, 2017. 

  1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7387&cid42094&categoryId42094 

  18. 로절린드 C. 모리스,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파르타 차테르지, 리투 비를라, 드루실라 코넬, 라제스와리 순데르 라잔, 압둘 R. 잔모하메드, 미셸 바렛, 펭 치아, 진 프랑코 지음, 태혜숙 옮김,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서발턴 개념의 역사에 관한 성찰들, 그린비, 2013. 

  19. 이동훈, 신지영, 오혜영, 박성현,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한국가족복지학회, Vol.20, No.5, pp.499-530, 2015. 

  20. 류석진, 노지애, 이동훈, 박성현, 오세준, 조현주,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재활심리연구, Vol.23, No.2, pp.469-490, 2016. 

  21. 이동훈, "출소자의 가족복원,"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6, No.8, p.114, 2016. 

  22. 최영신, 황정임, "여성 출소자의 사회적응 지원방안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06, No.1, pp.15-214, 2006. 

  23. 이동훈, 전지열, 신지영,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1, No.3, pp.327-364, 2016. 

  24. 윤지영, "젠더의 관점에서 본 여성수형자 처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화젠더법학, Vol.4, No.1, pp.97-12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