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이오스민(diosmin)에 의한 병원성 대장균 세포부착 및 생물막 형성 억제
Inhibition of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in Escherichia coli O157:H7 by diosmi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4, 2018년, pp.414 - 419  

김현정 (한국식품연구원 소비안전연구단) ,  김승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원성 대장균 O157:H7은 식중독 사고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균으로서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화학물질을 스크리닝하여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부착에 주된 역할을 하는 LEE 오페론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스크리닝을 통해 선발된 식물화학물질 중 다이오스민은 사람 결장 상피세포 부착능을 3.62배 감소시킴으로써(p<0.01)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리세틴과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냈다. 생물막 형성에 있어서는 다이오스민 처리 시 표현형이 25.6% 감소하여 유의적 차이가 확인되었고(p<0.05), curli 유전자의 발현 역시 미리세틴 처리 때보다 1.57-2.60배 더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성대조군보다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한편 다이오스민은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생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내성 발생률이 저감화된 새로운 항미생물제재로서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cherichia coli O157:H7 is one of the most common foodborne pathogens responsible for outbreaks of hemorrhagic colitis, which can lead to the life-threatening hemolytic-uremic syndrom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hytochemicals that specifically inhibit the expression of LEE operon in E. coli O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S02를 이용한 high-throughput screen을 통해 선정된 식물화학물질들이 실제 병원성 대장균 O157:H7에서도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해 보고자 사람 결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 억제 활성을 평가했다. Caco-2 세포에 DMSO, 미리세틴, 아카세틴, 다이오스민, 아이소람네틴, 노밀린을 각각 처리한 병원성 대장균 O157:H7을 MOI 10으로 감염시켜 2시간 후 Caco-2 세포에 부착된 박테리아수를 세어 비교하였다.
  • 병원성 대장균 O157:H7은 식중독 사고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 균으로서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화학물질을 스크리닝하여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부착에 주된 역할을 하는 LEE 오페론의 발현을 감소 시키는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스크리닝을 통해 선발된 식물화학 물질 중 다이오스민은 사람 결장 상피세포 부착능을 3.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r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는 LEE 오페론을 타깃으로 삼아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생장은 억제하지 않으면서 LEE 오페론 발현을 감소시키는 식물화학물질을 스크리닝하여 장 상피세포 부착과 생물막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을 탐색함으로써 새로운 병원성 대장균 O157:H7 제어제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 사람 결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 억제능을 보였던 식물화학물질들이 생물막 형성 억제능 역시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미리세틴, 아카세틴, 다이오스민, 아이소람네틴 처리 시,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생물막 형성 정도가 DMSO 처리 때에 비하여 각각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spA란?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LEE 오페론에 암호화되어 있는 EspA는 장 상피세포 부착을 도와 생물막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Moreira 등, 2006; Sharma 등, 2016). 병원성 대장균은 장 상피세포 뿐만 아니라 식물체, 유리, 스테인리스강 등 다양한 표면에 생물막을 형성한다(Patel 등, 2011; Ryu와 Beuchat, 2005).
새로운 항미생물제재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의료계뿐만 아니라 식품 산업계에서도 항생제 내성 문제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새로운 항미생물제재를 시급히 개발해야 하는 시점에 놓여 있다(Clatworthy 등, 2007).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균주들의 출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미생물 세포벽 생합성, 단백질 합성, DNA 복제와 복구 등의 억제를 통해 생장을 억제시키는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타깃이 지속적으로 발굴되어야 한다.
생물막 제거를 위해 화학적 방법을 사용할 경우 문제점은? 일반적으로는 경제적인 측면과 사용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식품첨가물, 살균제와 살균소독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Kim 등, 2009). 하지만 화학적 제어 방법은 미생물의 저항성과 돌연변이 혹은 유전자 전이에 의한 내성화 등의 문제점을 가져올 수 있고 소비자에 있어서는 장기 손상, 면역 과민 반응 등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식물화학물질과 같은 자연 항균물질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Srey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len KJ, Lepp D, McKellar RC, Griffiths MW. Examination of stress and virulence gene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O157:H7 using targeted microarray analysis. Foodborne Pathog. Dis. 5: 437-447 (2008) 

  2. Arita-Morioka KI, Yamanaka K, Mizunoe Y, Tanaka Y, Ogura T, Sugimoto S. Inhibitory effects of Myricetin derivatives on curlidependent biofilm formation in Escherichia coli. Sci. Rep. 8: 8452 (2018) 

  3. Bhattacharya D, Ghosh D, Bhattacharya S, Sarkar S, Karmakar P, Koley H, Gachhui R. Antibacterial activity of polyphenolic fraction of Kombucha against Vibrio cholerae: targeting cell membrane. Lett. Appl. Microbiol. 66: 145-152 (2018) 

  4. Brackman G, Coenye T. Quorum sensing inhibitors as anti-biofilm agents. Curr. Pharm. Des. 21: 5-11 (2015) 

  5. Clatworthy AE, Pierson E, Hung DT. Targeting virulence: a new paradigm for antimicrobial therapy. Nat. Chem. Biol. 3: 541-548 (2007) 

  6. Cowan MM. Plant products as antimicrobial agents. Clin. Microbiol. Rev. 12: 564-582 (1999) 

  7. Eichinger L. Model organisms to study host-pathogen interaction: prerequisites for the identification of novel drug targets. Curr. Drug Targets. 12: 934-5 (2011) 

  8. Jantet G.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Worldwide results of the RELIEF study. Reflux assessment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with micronized flavonoids. Angiology. 53: 245-56 (2002) 

  9. Jeong HS, Kim SM, Lim MS, Kim KS, Choi SH. Direct interaction between quorum-sensing regulator SmcR and RNA polymerase is mediated by integration host factor to activate vvpE encoding elastase in Vibrio vulnificus. J. Biol. Chem. 285: e9357-e9366 (2010) 

  10. Jeong HG, Oh MH, Kim BS, Lee MY, Han HJ, Choi SH. The capability of catabolic utilization of N-acetylneuraminic acid, a sialic acid, is essential for Vibrio vulnificus pathogenesis. Infect. Immun. 77: e3209-e3217 (2009) 

  11. Kim SM. Characterization and regul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fe Food. 9: 35-40 (2014) 

  12. Kim IJ, Ha JH, Kim YS, Kim HI, Choi HC, Jeon DH, Lee YJ, Kim AJ, Bae DH, Kim KS, Lee C, Ha SD. Evaluation for efficacies of commercial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against Bacillus cereus strains. Food Sci. Biotechnol. 18: 537-540 (2009) 

  13. Kim SM, Kim HJ. Development of an HTS system to identify natural chemicals that specifically inhibit Escherichia coli O157:H7 adhesion to host cells. Food Control. 73: 185-192 (2017) 

  14. Kim YG, Lee JH, Kim SI, Baek KH, Lee J. Cinnamon bark oil and its components inhibit biofilm formation and toxin production. Int. J. Food Microbiol. 195: 30-39 (2015) 

  15. Kim SM, Park JH, Lee HS, Kim WB, Ryu JM, Han HJ, Choi SH. LuxR homologue SmcR is essential for Vibrio vulnificus pathogenesis and biofilm detachment, and its expression is induced by host cells. Infect. Immun. 81: 3721-3730 (2013) 

  16. Kline T, Felise HB, Sanowar S, Miller SI. The type III secretion system as a source of novel antibacterial drug targets. Curr. Drug Targets. 13: 338-351 (2012) 

  17. Komape NP, Aderogba M, Bagla VP, Masoko P, Eloff JN.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extracts of Combretum vendae (Combretecacea) and the isolation of an anti-bacterial compound. A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11: 73-77 (2014) 

  18. Lee KM, Lim J, Nam S, Yoon MY, Kwon YK, Jung BY, Park Y, Park S, Yoon SS. Inhibitory effects of broccoli extract on Escherichia coli O157:H7 quorum sensing and in vivo virulence. FEMS Microbiol. Lett. 321: 67-74 (2011) 

  19. Livak KJ, Schmittgen TD.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 Delta C(T)) method. Methods. 25: e402-e408 (2001)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Food Poisoning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 Accessed July 6, 2018. 

  21. Moreira CG, Palmer K, Whiteley M, Sircili MP, Trabulsi LR, Castro AF, Sperandio V. Bundle-forming pili and EspA are involved in biofilm formation by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J. Bacteriol. 188: 3952-3961 (2006) 

  22. Patel J, Sharma M, Ravishakar S. Effect of curli expression and hydrophobicity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attachment to fresh produce surfaces. J. Appl. Microbiol. 110: 737-745 (2011) 

  23. Riley LW, Remis RS, Helgerson SD, McGee HB, Wells JG, Davis BR., Hebert RJ, Olcott ES, Johnson LM, Hargrett NT, Blake PA, Cohen ML. Hemorrhagic colitis associated with a rare Escherichia coli serotype. N. Engl. J. Med. 308: 681-685 (1983) 

  24. Ryu JH, Beuchat LR. Biofilm formation by Escherichia coli O157:H7 on stainless steel: effect of exopolysaccharide and curli production on its resistance to chlorine. Appl. Environ. Microbiol. 71: 247-254 (2005) 

  25. Sharma VK, Kudva IT, Bearson BL, Stasko JA. Contributions of EspA filaments and curli fimbriae in cellular adherence and biofilm formation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PLoS One. 11: e0149745 (2016) 

  26. Srey S, Jahid IK, Ha SD. Biofilm formation in food industries: A food safety concern. Food Control. 31: 572-585 (2013) 

  27. Tarr PI, Gordon CA, Chandler WL. Shiga-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and haemolytic uraemic syndrome. Lancet. 365: 1073-1086 (2005) 

  28. Vikram A, Jayaprakasha GK, Uckoo RM, Patil BS.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motility and biofilm by ${\beta}$ -sitosterol glucoside. BBA-Gen Subjects. 1830: 5219-5228 (2013) 

  29. Vikram A, Jesudhasan PR, Jayaprakasha GK, Pillai BS, Patil BS. Grapefruit bioactive limonoids modulate E. coli O157:H7 TTSS and biofilm. Int. J. Food Microbiol. 140: 109-116 (2010) 

  30. Vinayagam R, Xu B. Antidiabetic properties of dietary flavonoids: a cellular mechanism review. Nutr. Metab (Lond). 12: 60 (2015) 

  31. Watnick P, Kolter R. Biofilm, city of microbes. J. Bacteriol. 182: 2675-2679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