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체전단응력에 의하여 3T3-L1 지방세포가 받는 영향
Effects of Fluid Shear Stress on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9 no.4, 2018년, pp.168 - 174  

이정근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공학부) ,  이영훈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공학부) ,  진희원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공학부) ,  이서현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공학부) ,  김지현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ipocytes affect obesity through the regulation of lipid metabolism. Physical loading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fat tissue. There are ongoing in vitro studies inducing mechanotransduction on 3T3-L1 preadipocytes with mechanical stimulus in order to treat obesity by inhibiting adipogenesis and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는 효과적인 비만 치료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체전단응력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직접가해주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측정하였다.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을 이용하여 stress fiber의 발달을 관찰하였으며 웨스턴 블롯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지방생성과 apoptosis 관련 인자 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지방세포의 mechanotransduction은 물리적 자극의 형태와 성질에 따라 경유하는 signaling pathway가 다르다[11]. 따라서 더 다양한 자극에 대한 지방세포의 mechanotransduction을 연구하기 위해 유체전단응력에 의해 활성화 되는 지방세포 의 signaling pathway를 다른 자극들과 비교해보았다. Western blot의 결과를 분석했을 때, 유체전단응력에 의한 물리적 자극은 ERK pathway를 통해 화학적 신호로 변환 되어 세포의 전사 활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그림 2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생성은 무엇인가? 비만을 직접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지방세포에 다양한 자극을 가하여 지방생성(adipogenesis)을 억제하려는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다[4-6]. 지방생성은 지방전구세포가 분화하면서 지방조직이 발달하는 현상을 말하며, 세포 내 전사 인자인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C/EBPs)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γ)가 이를 촉진한다[7, 8]. 또한 apoptosis는 세포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라는 방법으로, 원하지 않는 조직을 흔적 없이 제거하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9].
Apoptosis를 유발하는 경로에는 어떤 두 가지가 존재하는가? 또한 apoptosis는 세포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라는 방법으로, 원하지 않는 조직을 흔적 없이 제거하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9]. Apoptosis를 유발하는 경로로는 세포막의 수용체를 경유하는 것과 미토콘드리 아에 의해 유도되는 것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미토콘드리아 경로는 B-cell lymphoma 2(Bcl-2)와 Bcl-2-associated X protein(Bax)에 의해 조절된다[10].
유체전단응력에 의한 세포 활성의 변화를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어떠했는가? 또한 western blot analysis를 이용하여 유체전단응력에 의한 세포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포 내 신호전달경로 중 하나인 ERK pathway가 시간에 따라 활성 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림 2a). 특히 유체전단응력을 2시간 가해주었을 때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그림 2b). 지방생성 인자의 경우, 대체로 자극에 의하여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3a). 지방생성의 주요 인자인 C/EBPα와 C/EBPβ 모두 유체전단응력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그림 3b, 3c), 특히 C/EBPβ는 1시간과 2시간 실험군 사이에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그림 3c). 지방생성의 최종 인자인 PPARγ는 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1시간과 2시간 사이에는 변화가 발견되었다(그림 3d). 비만환자의 지방조직에서 cleaved되어 염증을 유발하는 osteopontin(OPN)의 경우 역시 2시간 실험군에서 활성이 크게 감소하였다(그림 3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M. Spiegelman and J.S. Flier,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vol. 104, no. 4, pp. 531-543, 2001. 

  2. X. Formiguera and A. Canton, "Obesity: epidemiology and clinical aspect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vol. 18, no. 6, pp. 1125-1146, 2004. 

  3. C. Weyer, J.E. Foley, C. Bogardus, P.A. Tataranni, and R.E. Pratley, "Enlarged subcutaneous abdominal adipocyte size, but not obesity itself, predicts type II diabetes independent of insulin resistance," Diabetologia, vol. 43, no. 12, pp. 1498-1506, 2000. 

  4. Y.W. Wang and P.J.H. Jones,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obesity control: efficacy and mechanisms," Int. J. Obes., vol. 28, no. 8, pp. 941-955, 2004. 

  5. C.L. Hsu and G.C. Yen, "Effects of capsaicin on induction of apoptosis and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Agric. Food Chem., vol. 55, no. 5, pp. 1730-1736, 2007. 

  6. D. Hwang, S. Kim, H. Lee, S. Lee, D. Seo, S. Cho, S. Chen, T. Han, and H.S. Kim,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in the Aspect of Reducing Abdominal Adipose Tissue in High-Fat Diet Mice Model," J. Biomed. Eng. Res., vol. 38, no. 1, pp. 49-55, 2017. 

  7. M.I. Lefterova, and M.A. Lazar, "New developments in adipogenesis," Trends Endocrinol. Metab., vol. 20, no. 3, pp. 107-114, 2009. 

  8. U.A. White, and J.M. Stephens, "Transcriptional factors that promote formation of white adipose tissue," Mol. Cell. Endocrinol., vol. 318, no. 1-2, pp. 10-14, 2010. 

  9. K. Vermeulen, D.R.V Bockstaele, and Z.N. Berneman, "Apoptosis: mechanisms and relevance in cancer," Ann. Hematol., vol. 84, no.10, pp. 627-639, 2005. 

  10. M.O. Hengartner,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vol. 407, pp. 770-776, 2000. 

  11. N. Shoham, and A. Gefen, "Mechanotransduction in adipo-cytes," J. Biomech., vol. 45, no. 1, pp. 1-8, 2012. 

  12. R. McBeath, D.M. Pirone, C.M. Nelson, K. Bhadriraju, and C.S. Chen, "Cell shape, cytoskeletal tension, and RhoA regulate stem cell lineage commitment," Dev. Cell, vol. 6, no. 4, pp. 483-495, 2004. 

  13. S. Tojkander, G. Gateva, and P. Lappalainen, "Actin stress fibers-assembly, dynamics and biological roles," J. Cell Sci., vol. 125, no. 8, pp. 1855-1864, 2012. 

  14. Y. Hara, S. Wakino, Y. Tanabe, M. Saito, H. Tokuyama, N. Washida, S. Tatematsu, K. Yoshioka, K. Homma, K. Hasegawa, H. Minakuchi, K. Fujimura, K. Hosoya, K. Hayashi, K. Nakayama, and H. Itoh, "Rho and Rho-kinase activity in adipocytes contributes to a vicious cycle in obesity that may involve mechanical stretch," Sci. Signal., vol. 4, no. 157, pp. ra3, 2011. 

  15. Y. Tanabe, M. Koga, M. Saito, Y. Matsunaga, and K. Nakayama,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mechanical stretching through ERK-mediated downregulation of $PPAR{\gamma}2$ ," J. Cell. Sci., vol. 117, no. 16, pp. 3605-3614, 2004. 

  16. Y. Tanabe, Y. Matsunaga, M. Saito, and K. Nakayama, "Involvement of cyclooxygenase-2 in synergistic effect of cyclic stretching and eicosapentaenoic acid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Pharmacol. Sci., vol. 106, no. 3, pp. 478-484, 2008. 

  17. M.H. Kroll, J.D. Hellums, L.y V. Mclntire, A.I. Schafer, and J.L. Moake, "Platelets and shear stress," Blood, vol. 88, no .5, pp. 1525-1541, 1996. 

  18. Y. Li, J. Yuan, Q. Wang, L. Sun, Y. Sha, Y. Li, L. Wang, and Z. Wang, "The collective influence of 1, 25-dihydroxyvitamin D3 with physiological fluid shear stress on osteoblasts," Steroids, vol. 129, pp. 9-16, 2016. 

  19. P. Wang, P.P. Guan, C. Guo, F. Zhu, K. Konstantopoulos, and Z.Y. Wang, "Fluid shear stress-induced osteoarthritis: roles of cyclooxygenase-2 and its metabolic products in inducing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FASEB J., vol. 27, no. 12, pp. 4664-4677, 2013. 

  20. T.M. Maul, D.W. Chew, A. Nieponice, and D.A. Vorp, "Mechanical stimuli differentially control stem cell behavior: morphology,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Biomech. Model. Mechanobiol., vol. 10, no. 6, pp. 939-953, 2011. 

  21. H. Huang, R.D. Kamm, and R.T. Lee, "Cell mechanics and mechanotransduction:pathways, probes, and physiology," Am. J. Physiol. Cell. Physiol., vol. 287, no. 1, pp. C1-C11, 2004. 

  22. C.H. Kim, L. You, C.E. Yellowley, and C.R. Jacobs, "Oscillatory fluid flow-induced shear stress decreases osteoclastogenesis through RANKL and OPG signaling," Bone, vol. 39, no. 5, pp. 1043-1047, 2006. 

  23. C.H. Kim, and Y.M. Yoo, "Fluid shear stress and melatonin in combination activate anabolic proteins in MC3T3-E1 osteoblast cells," J. Pineal Res., vol. 54, no. 4, pp. 453-461, 2013. 

  24. K. Kumawat, T. Koopmans, M.H. Menzen, A. Prins, M. Smit, A.J. Halayko, and R. Gosens, "Cooperative signaling by TGF-T ${\beta}1$ and WNT-11 drives sm- ${\alpha}$ -actin expression in smooth muscle via Rho kinase-actin-MRTF-A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vol. 311, no. 3, pp. L529-L537, 2016. 

  25. Y. Bannai, L.R. Aminova, M.J. Faulkner, M. Ho, and B.A. Wilson, "Rho/ROCK-dependent inhibition of 3T3-L1 adipogenesis by G-protein-deamidating dermonecrotic toxins: differential regulation of Notch1, Pref1/Dlk1, and ${\beta}$ -catenin signaling," Front. Cell. Infect. Microbiol., vol. 2, pp. 80, 2012. 

  26. D.T.V. Diep, K. Hong, T. Khun, M. Zheng, A. Ul-Haq, H.S. Jun, Y.B. Kim, and K.H. Chun, "Anti-adipogenic effects of KD025 (SLx-2119), a ROCK2-specific inhibitor, in 3T3-L1 cells," Sci. Rep., vol. 8, no. 1, pp. 2477, 2018. 

  27. T. Horii, S. Morita, M. Kimura, and I. Hatada, "Epigenetic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 Rho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 WGEF," PLoS One., vol. 4, no. 6, pp. e5809, 2009. 

  28. N.J. Turner, H.S. Jones, J.E. Davies, and A.E. Canfield, "Cyclic stretch-induced $TGF{\beta}1$ /Smad signaling inhibits adipogenesis in umbilical cord progenitor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vol. 377, no. 4, pp. 1147-1151, 2008. 

  29. M.G. Hossain, T. Iwata, N. Mizusawa, S.W. Shima, T. Okutsu, K. Ishimoto, and K. Yoshimoto, "Compressive force inhibits adipogenesis hrough COX-2-mediated down-regulation of PPARgamma2 and C/EBPalpha," J. Biosci. Bioeng., vol. 109, no. 3, pp. 297-303, 2010. 

  30. Y.H. Lee, A.P. Petkova, and J.G. Granneman, "Identification of an adipogenic niche for adipose tissue remodeling and restoration," Cell metab., vol. 18, no. 3, pp. 355-367, 2013. 

  31. M. Zeyda, K. Gollinger, J. Todoric, F.W. Kiefer, M. Keck, O. Aszmann, G. Prager, G.J. Zlabinger, P. Petzelbauer, and T.M. stulnig, "Osteopontin is an activator of human adipose tissue macrophages and directly affects adipocyte function," Endocrinology, vol. 152, no. 6, pp. 2219-222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