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일개 2차 병원의 암환자 치료 실태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ncer in a Secondary Hospital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1 no.3, 2018년, pp.84 - 91  

손명균 (강남병원 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국내 2차 병원의 암환자 치료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한 2차종합병원에서 2009년 1월 1일부터 2017년 9월 31일까지 입원치료 받은 암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는 총 223명이었다. 2차 병원 입원 이유로는 3차 병원에서의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후의 지지요법 위한 경우가 69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타 지지치료 위한 입원(58명), 증상 조절 위한 입원(53명), 2차 병원 입원 중 암이 진단된 경우(27명), 적극적 항암치료를 하지 않기로 한 후 전원 된 경우(16명) 순이었다. 퇴원 시 타 기관으로 전원 된 환자 75명 중 3차 병원으로 전원 된 환자들이 5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요양병원(10명), 호스피스병원(8명), 요양원(4명), 2차 병원(2명) 순이었다. 암 외 동반질환을 가진 환자가 120명(53.8%)이었다. 타 진료과로 협의진료 의뢰된 경우 암 관련 의뢰보다 암 외 다른 질환으로 의뢰된 경우가 더 많았다. 심폐소생술금지에 동의한 경우는 73명이었다. 결론: 암환자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 확립이 필요하며, 암 외 동반질환 치료 등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at a secondary hospital.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cancer patients admitted to a secondary hospital from January 1, 2009 through September 31, 2017. Results: A total of 223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차 종합병원의 암환자 치료 실태와 타 의료기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현재 3차 병원에서 적극적인 항암치료를 받고 있거나 주 치료병원이 3차 병원임에도 2차 병원에 입원하게 된 경우가 다수 있어, 이전 연구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2,4) 암환자들이 3차 병원으로 입원하기가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하겠다.
  • 본 연구는 국내 2차 종합병원에서의 암환자 치료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가 국내 암환자 치료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이에 본 연구는 2차 병원에 입원한 암환자의 입퇴원 및 치료 과정을 분석하여 국내 2차 병원에서의 암환자 치료 실태와 타 의료 기관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환자들이타 기관으로 연계되는 현황의 실태는 어떠한가? 국내 한 대학병원에서 타 기관으로 연계된 암환자들을 대상 으로 한 연구에서도 3차 병원과 타 의료기관 간의 연계 시스템의 미약함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확인한 바 있으나(3) 3차 병원 외 타 의료기관의 관점에서 암환자들의 입원 및 전원 과정을 분석하여 의료기관들간의 관계와 협력체계에 대해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리라 본다. 한 대학병원에서 암환자들이타 기관으로 연계되는 현황을 분석했을 때 2차 의료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이 39.6%로 가장 크다고 하였고 타 의료기관으로 연계 이후의 환자 상황에 대한 파악이 중요함도 보고한 바 있어(3) 2차 병원에서의 암환자 치료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나 국내 2차 병원에서의 암환자 치료 현황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암 발생자수는 어떠한가? 암은 대한민국에서 사망률 1위인 질환으로 4명 중 1명 꼴로 암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암환자 수 또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대한민국 암 발생자수는 최근 2015년 통계 기준으로 214,701명으로 2010년 이후로 연간 20만명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암 생존율은 계속 증가하여 2011년에서 2015년 사이 암 발생자의 5년 생존율은 70.7%로, 3명 중 2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암환자 치료 실태를 보완하기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심폐소생술금지에 동의한 경우는 73명이었다. 결론: 암환자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 확립이 필요하며, 암 외 동반질환 치료 등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ung KW, Won YJ, Kong HJ, Lee ES; Community of Population-Based Regional Cancer Registries.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5. Cancer Res Treat 2018;50:303-16. 

  2. Kim KS. Polarization of cancer patient management. J Korean Med Assoc 2017;60:223-7. 

  3. Yun CH, Lee JY, Kim MR, Heo DS. Problems of the current referral system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2;5:94-100. 

  4. Kim WJ, Kim MY, Chang WY, Choi JH. Needs and satisfaction of cancer patients on the medical servic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153-60. 

  5. Lee JR, Lee JK, Hwang SJ, Kim JE, Chung JI, Kim SY. Doctor's perception and referral barriers toward palliative care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10-7. 

  6. Park CH, Kim Y, Mo HN, Kong KA, Choi JY, Jho HJ, et al. Oncologist's expectations on primary physician for sharing care of cancer survivor in Korea. Korean J Fam Pract 2013;3:168-76. 

  7. Kang NY, Park J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ncologic patients with DNR decision at a tertiary hospital.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6;19:26-33. 

  8. Lee SR, Shin D, Choi Y. Perceptions of caregivers and medical staff toward DNR and AD.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66-74. 

  9. Yun YH, Lee CG, Kim SY, Lee SW, Heo DS, Kim JS, et al. The attitude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oward the disclosure of terminal illness. J Clin Oncol 2004;22:307-14. 

  10. Kim CG. Breaking bad news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209-15. 

  11. Kwon JH. Do-not-resuscita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5;18:179-87. 

  12. Kim HA, Park JY. Changes i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fter signing a Do-not-resuscitate order.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7;20:93-9. 

  13. Juthani-Mehta M, Malani PN, Mitchell SL. Antimicrobials at the end of life: an opportunity to improve palliative care and infection management. JAMA 2015;314:201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