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성 암컷 흑염소 방목 야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Feed Value, Forage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at Native Pasture Grazed by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Capra hircus coreanae)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8 no.2, 2018년, pp.120 - 125  

윤영식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성혜진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장치만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정상욱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이가을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박재현 (축산환경관리원) ,  장세영 (축산환경관리원) ,  이진욱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김관우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문상호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시하였다. 방목 시 보충사료는 체중의 1.5%로 추가 급여 하였으며, 물은 자유 급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초지의 건물함량은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보고와 비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pm}0.56%$, $24.4{\pm}0.8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함량 11%~12%를 유지하여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야초지의 사료가치는 일정수준으로 영양소 함량이 유지되었으나 계절별로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방목 시 사초생산성은 야초의 경우 대부분 C-4형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의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8월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8월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급격하게 생산성이 저하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증체량이 80.2 g/d 이었다. 방목구에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후 추가로 농후사료를 보충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켰기 때문이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를 급여 한다면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야초지의 효율적인 활용기술 및 흑염소 방목기술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n forage productivity, feed value, grazing intensity and livestock productivity in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 grazing in native pasture. It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14.10{\pm}3.6kg$ and an average age of 4 months were u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산지초지 및 야초지의 이용률 제고와 가축의 동물복지 실현 및 산지생태축산을 활성화하고 흑염소 산업의 발전에 따른 적절한 방목 사양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암컷 육성기 흑염소의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방목지로서의 야초지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염소가 부존사료자원 활용성이 높은 이유는? , 2008). 한편 흑염소는 대형 초식 가축보다 수엽류를 선호하는 습성이 강하고 수엽류와 저급사료 등을 이용하는데 유리한 소화기 구조를 가지고 있어(Kingbury,1964) 부존사료자원 활용성이 높다. 또한 경사가 높은 지역을 좋아하며 한 지역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여러 곳을 포괄적으로 채식하는 습성(Gihad, 1980)이 있어 토지이용성이 높기 때문에 한국의 산지초지 및 야초지에서 방목에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한 월별 방목 강도는?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가 산지초지 및 야초지에서 방목에 적합한 이유는? 한편 흑염소는 대형 초식 가축보다 수엽류를 선호하는 습성이 강하고 수엽류와 저급사료 등을 이용하는데 유리한 소화기 구조를 가지고 있어(Kingbury,1964) 부존사료자원 활용성이 높다. 또한 경사가 높은 지역을 좋아하며 한 지역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여러 곳을 포괄적으로 채식하는 습성(Gihad, 1980)이 있어 토지이용성이 높기 때문에 한국의 산지초지 및 야초지에서 방목에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산지초지를 활용한 방목 시스템으로 흑염소를 사육 시 일반 관행사육에 비해 300두 사육규모 기준 약 50%의 사육비를 절감하는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전업화와 사육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국내 흑염소 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Chang, H.G., Kyung, K.H. and Kim, S.K. 1987. Changes in carbohydrate components of hard and soft wheat during kernel maturati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69-74. 

  3. Cho, S.B., Kim, C.H., Hwang, O.H., Park, J.C., Kim, D.W., Sung, H.G., Yang, S.H., Park, K.H., Choi, D.Y. and Yoo, Y.H. 2011. The Effect of Fermented Diet with Whole Crop Barley Silage on Fecal Shape and Odorous Compound Concentration from Feces in Pregnant Sows.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17:145-154. 

  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4.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protein sources for the animal feed industry. pp. 167-184.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 World food situation: FAO cereal supply and demand brief. p.1. 

  6. Gill, D.R., Oldfield, J.E. and England, D.C. 1966. Comparative values of hulless barley, regular barley, corn and wheat for growing pigs. Journal of Animal Science. 25:34-36. 

  7. Kim, K.H., Seo, J.H., Park, T.I., Han, O.K., Park, K.H., Song, T.H., Park, J.C., Park, C.S., Kang, C.S., Park, H.H., Park, N.G., Jeung, J.H., Ju, J.I., Kang, S.J., Hyun, J.N., and Kim, K.J. 2015. A high-yield wheat cultivar 'Cheongwoo' for whole crop forage. The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47:339-344. 

  8. Kim, K.J. and Chang, H.G. 1985. Changes in milling properties during maturation of wheat kern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30(4):381-387. 

  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1. Feed process guide book. p.28.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 Statistical Year Book of Agriculture and Food. p.287. 

  11. Lee, H.W., Kim, Y.Y., and Chang, J.S., 2015. Feed science. KNOU press. Seoul. p.7. 

  12. Owens, F.N., Secrist, D.S., Hill, W.J. and Gill, D.R. 1997. The effect of grain source and grain processing on performance of feedlot cattle: a review. Journal of Animal Science. 75:868-879. 

  13. R Ver 3.2.3. 2015. The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platform. 

  14. Park, J.H., Oh, Y.J., Cheong, Y.K., Song, T.H., Park, T.I., Lee, K.W., Kim, K.H. Kim, Y.K., Park, J.C. and Kim, B.K. 2017.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covered barley grain silage with respect to days after heading in Honam region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62:16-23.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f analysis based on research. pp. 315-374. 

  16. Seo Kim, Lee, W.H., Lee, J.H., Park, T.I., and Choi, G.J. 2004. Honam.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4:217-224. 

  17. Song, T.H., Oh, Y.J., Kang, H.J. Park, T.I., Chenong, Y.K., Kim, Y.K. and Kim, B.K., 2015. Effect of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of Barley and Wheat Grain Silage.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60:174-179. 

  18. Woodman, H.E., and Engledow, F.L. 1924. A chemic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wheat grain. The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14:563-5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