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에서 서술형 평가의 실태 분석: 문항유형, 단원, 평가목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Descriptive Evaluation's Status in Middle School Science: Focused on the Item's Type, Subject Unit, and Evaluation Object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2, 2018년, pp.198 - 213  

노은실 (경상대학교) ,  김용진 (경상대학교)

초록

최근 들어 학생 평가 방법에서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왔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출제해 온 서술형 평가문항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중학교 7개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정기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문항 300개를 수집하여 문항 유형과 단원별 문항 분포를 분석하고, 문항에 관련된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된 단원에서 서술형 문항을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원 및 성취기준별로 출제 빈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문항 유형으로는 서술형이 65%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단답형이나 완성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취기준에서의 교육목표와 문항에서의 평가목표 사이에 일치하는 비율이 40.3%에 불과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출제교사 27명을 면담한 결과, 서술형 문항의 개발 능력 부족과 채점에서의 어려움이 올바른 서술형 평가의 주요 장애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에 대한 체계적 연수를 통해 서술형 평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descriptive evaluation has been gaining importance 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scriptive evaluation items which have been made by school teachers. 300 items for regular examinations are collected from 7 middle schools (grades 1 through 3) in Gyeongnam Prov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현장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MEST, 2009)에 따라 그동안 실제 시행된 과학교과의 서술형 평가 문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서술형 평가 문항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서술형 평가의 시행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과학교사들의 학생평가 역량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술형 평가 문항의 성취기준별 출제 빈도, 문항 유형별 출제 빈도,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비교한 평가목표의 적합성 등을 분석하고 출제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분석 결과에 대한 원인을 조사하였다.
  •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서술형 평가의 문항 출제에서부터 채점까지 일련의 과정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K도의 7개 중학교에서 시행한 서술형 평가 문항 300개를 표집하여, 학교 현장에서 출제하고 있는 과학교과의 서술형 문항들에 대해 문항 유형 분류, 단원별 출제 분포, 성취기준 상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 사이의 일치도 등을 분석하고 출제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그 원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출제자 D : 사실 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다 보면 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아 항상 시간에 쫒기면서 출제하게 되죠. 또한 서술형 평가 문항은 채점도 어렵고, 출제하는 전문성이 부족하다 보니 지식이나 인지과정 수준까지 생각하면서 문항을 만들지는 못하고 있어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평가는 무엇인가? 평가 영역에서도 학생의 지적 수준이나 학습 능력에 대한 결과 중심 평가에서 학생의 다양한 학습 과정에서 일어난 경험과 체험활동을 통한 지식이나 정보를 재구성하는 등의 성장 중심 평가로 변화시키려는 정책적 의도들도 지속적으로 제시되었다(KICE, 2016; Sin, An & Kim, 2017). 학생평가는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이룬 성과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교과별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면서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교사의 피드백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Kim, 2015; Paik & Ryu, 2014). 기존의 평가제도는 학생들에게 서열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경쟁심을 조장하여 협동학습을 통한 나눔과 배려의 학습경험을 공유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적성과 소질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을 선택하고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최근 학교의 수업활동의 평가영역은 어떤 변화가 제시되고 있는가? 최근 학교의 수업활동은 글로벌 지식 기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고, 지식 전달 중심에서 지식 창조의 방향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평가 영역에서도 학생의 지적 수준이나 학습 능력에 대한 결과 중심 평가에서 학생의 다양한 학습 과정에서 일어난 경험과 체험활동을 통한 지식이나 정보를 재구성하는 등의 성장 중심 평가로 변화시키려는 정책적 의도들도 지속적으로 제시되었다(KICE, 2016; Sin, An & Kim, 2017). 학생평가는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이룬 성과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교과별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면서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교사의 피드백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Kim, 2015; Paik & Ryu, 2014).
기존의 평가제도는 어떤 어려움이 많았나? 학생평가는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이룬 성과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교과별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면서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교사의 피드백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Kim, 2015; Paik & Ryu, 2014). 기존의 평가제도는 학생들에게 서열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경쟁심을 조장하여 협동학습을 통한 나눔과 배려의 학습경험을 공유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적성과 소질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을 선택하고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교사는 학생이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판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학생평가가 교과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 즉 준거참조평가(절대평가)에 근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Kang,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derson, L. W., Krathwohl, D. R., & Bloom, B. 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2. Bloom, B. S. (Ed.),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3.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BMCOE]. (2010). Tutorial for A descriptive evalu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usan Education, 2010-122). Busan: Author. 

  4. Choi, J.-I., & Paik, S.-H. (2016). 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domain of descriptive tests and factors that affect content validity : Focus on the fifth and sixth grade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87-101. 

  5. Dong, H. K., Kim, K. J., Kang, M., Jang, E.-S., Sung, K. H., Rim, H., Kim, S.-K., Lee, J., Pae, J.-K., Kim, S., Choi, B. T., Choi, W., Kim, Y.-J., & Lee, K.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2017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RRE 2017-2).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6. Dong, H.-K., Ha, S.-H., & Kim, Y.-J.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and performance expectation of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in the United States: Content elements and objectives for middle school life science. Educational Research, 64, 95-125. 

  7. Hwang, K.-H., Kim, K.-J., So, K.-H., Hong, J.-P., & On, J. (2013). A study about operating model for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Seoul: Ministry of Education. 

  8. Ji, E. L. (2011). Directions and tasks about introduction of absolute evalu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9. Kang, S. C.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building the taxonomy table of two dimensional objectives based on it's actual condition survey in the standards based assessment of achievement.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7(2), 21-48. 

  1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2016). An interactive guide to understand the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middle school (PIM 2013-12). Seoul: Author. 

  11. Kim, M. K., Cho, M. K., & Joo, Y. R. (2012). A survey of perception and status about descriptive assessment: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rea.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uion in Korea, 16(1), 63-95. 

  12. Kim, S. (2013).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descriptive test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On the base of descriptive items in academic high shools. Korean Language Education, 140, 479-508. 

  13. Kim, S. K., Choi, E.-J., & Paek, S.-H. (2015).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 and factor about middle school science descriptive assessment items.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9(5), 445-453. 

  14. Kim, S. (2015). A study 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classroom assessment.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8(3), 257-282. 

  15. Lee, K., Dong, H., Choi, W., Kwon, G., Lee, I., & Kim, Y.-J. (2017).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3), 382-401. 

  16. Lee, I., Dong, H. K., Kwon, K. P., Choi, W., Lee, K., & Park, H. (2016). Analysis on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201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science (RRE 2016-9-4).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7. Lee, Y.-J.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tools and scir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ssay tes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5, 413-449. 

  18. Lee, D., & Jeong, E. (2014). An analysis of paper and pencil test items of life science I in high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3), 670-690. 

  19. Lee, S., Kim, G., Noh, S., Kim, M. K., & Kim, R. Y. (2014).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bout and implementation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2), 275-290. 

  2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09).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ummary (Notice 2009-41, 2009. 12. 23). Seoul: Author. 

  21. Noh, E. S., Mun, K. C., Choi, J. A., Park, S. H., Min, S. U., Go, J. Y., Sim, W. H., Lee, J. H., Park, M. K., Park, T. J., Hong, S. J. Jeong, S. G. Park, J. M., Jeong, J. A., Yun, J. P., Lee, S. J., Song, Y. M., Kim, K. H., & Yun, H. D. (2010). Theory and practice in questioning for assessing academic achievement (Kyungnam Education 2010-056). Changwon: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22.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Paik, S. H., & Ryu, H. J. (2014).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descriptive assessment activity experiences by teacher or by pe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93-599. 

  23. Shin, J-G., & Cho, C-K. (2008). The statement of geography instruction objectives and the creation of evaluation questions based on revision of Bloom's Taxnomy of educational objectiv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6(2), 129-144. 

  24. Sin, H. J., An, S. Y., & Kim, Y. W.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focus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