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의와 그룹문제풀이가 균형을 이루는 플립러닝 기반 일반물리학 강좌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the Flipped-learning-based Introductory Physics Course in which Class Hour are Divided into Lectures and Group Problem Solving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2, 2018년, pp.242 - 255  

이해웅 (유니스트) ,  이상용 (유니스트) ,  정용욱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대학 수준의 교수학습 강의 개선의 한 방안으로 플립러닝이 주목받고 있다. 또 일반물리학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도 발표되고 있다. 그런데 플립러닝과 같은 새로운 시도들이 성공적으로 안착, 확산되기 위해서는, 배경과 특징에 따라 학생들에게 플립러닝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어떤 효과를 낳는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와 그룹문제풀이가 균형을 이루는 플립러닝에 기반한 일반물리학 강좌에서 학생들의 배경과 특징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과 성취도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성취도는 강좌 수강 중 학습시간보다는 학기 시작 전 준비도에 더 영향을 받았다. 또 학생들은 대체로 플립러닝 기반 일반물리학 교수학습이라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선행학습이 부족하거나, 학습량이 적은 학생들은 플립러닝의 전반적인 확대시행보다 주의 깊은 과목선정을 통한 선별적 시행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lipped learning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as one of th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university level. Few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general physics classes. However, in order to be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spread new attempts suc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의와 그룹문제풀이가 균형을 이룬 플립러닝 기반 일반물리학 강좌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강좌와 비교할 때 본 연구와 같은 세팅의 플립러닝 기반 일반물리학 강좌가 갖는 성취도 향상은 본 연구자들이 참여한 미발표 연구에서 확인한 바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플립러닝의 효과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별도로 실험군(플립러닝)과 대조군(전통적인 강좌)을 설정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지는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취도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간, 기말 시험이외에도 학기 초와 학기 말에 Force Concept Inventory(Hestenes, Wells &Swackhamer, 1992) 평가를 실시하였다.
  • 학생의 참여보다는 잘 다듬어진 내용지식 전달에 초점을 맞추는 강의기반 강좌에 익숙한 우리나라의 학생들에게 플립러닝처럼 적극적 참여를 강조하는 수업방식은 준비된 학생들에게만 유리한 불공평한 수업방식으로 비춰지기도한다. 수업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이러한 반응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학습 정도 등 학생들의 배경에 따라 플립러닝 기반 일반물리학 강좌,플립러닝이라는 새로운 수업방식, 플립러닝의 대학 전반으로의 확대에 대한 학생의 인식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도 조사하였다.
  • 한편 일반물리에서 플립러닝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보고들은 주로 플립러닝 기반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집단 전체에 대한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고, 수업참여 학생들의 특징에 따른 플립러닝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는 드문 편이다. 여기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수업참여 학생들을 규정하는 여러 배경요인에 따라 플립러닝 기반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성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고교시절 선행학습 정도, 학습량 등에 따라 성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조사하였다.
  • 강좌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지는 2012년에 초안을 개발하여 매 학기말에 수강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이러한 사전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최종 설문지를 개발하여 학기말에 수강생들에게 투입하였다.
  • 여기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수업참여 학생들을 규정하는 여러 배경요인에 따라 플립러닝 기반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성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고교시절 선행학습 정도, 학습량 등에 따라 성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SLE은 무엇인가? 튜토리얼은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한 실증적 조사에 기반하여 개념의 형성과 정성적 추론을 강조한 교수자료, 혹은 교수법이다(Shaffer & McDermott,1992; McDermott, Shaffer & Somers, 1994;McDermott & Shaffer, 2002). ISLE은 과학의 탐구방법에 대한 이해와 개념지식에 대한 이해를 융합한 교수학습 방안이다(Etkina & Van Heuvelen,2001; Etkina et al., 2010; Karelina & Etkina,2007).
플립러닝의 효과는 무엇인가? 최근에 대학교육에서도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 중 하나로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플립러닝의 효과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른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플립러닝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 협동역량의 향상을 이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Chun & Choi,2014; Kim & Lee, 2015; Van Vliet, Winnips &Brouwer, 2015). 플립러닝에서 교수자는 수업의 전 과정을 조정하고 학생의 학습을 안내, 촉진하는 역할을 갖게 된다
선수학습이 부족하거나, 학습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학생들이 플립러닝에서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는지 속단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선수학습이 부족하거나, 학습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학생들이 실제로 플립러닝에서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는지는 속단할 수 없다. 이것은 전통적인 강의식 학습과의 비교를 포함한 복잡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과목에서 플립러닝을 접한 해당 학생들의 강의 대비 플립러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이후에 이들이 접할 플립러닝 기반 강좌에서 해당 학생들의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ker, J. W. (2000). The "Classroom Flip": Using web course management tools to become the guide by the side (pp. 9-17). Jacksonville, FL: Florida Community College 

  2. Bates, S., & Galloway, R. (2012, April). The inverted classroom in a large enrolment introductory physics course: a case study. Proceedings of the HEA STEM learning and teaching conference, London. 

  3.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4. Bergmann, J., & Sams, A. (2014). Flipped learning: Gateway to student engagement.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5. Choi, J., Na, J., & Song, J (2015).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Analysing Students' Behavioral Engagement in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247-258. 

  6. Choi, M-J., & Jeong, J. (2015). The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lesson preparation, and behavior related to the class caused by flipped learning lectures in physics. New Physics: Sae Mulli, 65(11), 1110-1115. 

  7. Crouch, C. H., Fagen, A. P., Callan, J. P., & Mazur, E. (2004). Classroom demonstrations: Learning tools or entertainment?. Am. J. Phys. 72(6), 835-838. 

  8. Etkina, E., & Van Heuvelen, A. (2004). Investigativ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p. 12-14). Forum on Education of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2004, Spring issu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Miami, FL. 

  9. Etkina, E., Karelina, A., Ruibal-Villasenor, M., Rosengrant, D., Jordan, R., & Hmelo-Silver, C. E. (2010). Design and reflection help students develop scientific abilities: Learning in introductory physics laboratorie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9(1), 54-98. 

  10. Fagen, A. P., Crouch, C. H., & Mazur, E. (2002). Peer instruction: Results from a range of classrooms. The physics teacher, 40(4), 206-209. 

  11. Hestenes, D., Wells, M., & Swackhamer, G. (1992). Force concept inventory. The Physics Teacher 30, 141-158. 

  12. Karelina, A., & Etkina, E. (2007). Acting like a physicist: Student approach study to experimental design.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 3(2), 020106. 

  13. Kim, E., & Lee, Y. (2015). A Study on international cases for application of flipped classroom in university. Lifelong Learning Society, 11, 115-137. 

  14. Kim, N., Chun, B., & Choi, J. (2014).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dge level: Focused 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 467-492. 

  15. Lasry, N., Mazur, E., & Watkins, J. (2008). Peer instruction: From Harvard to the two-year college. Am. J. Phys. 76(11), 1066-1069. 

  16. Lee, E., Kim, J. B., & Lee, J. S. (2013). Exploration of peer instruction based on a case study involving science teachers. New Physics: Sae Mulli, 63(1), 17-28. 

  17. Lorenzo, M., Crouch, C. H., & Mazur, E. (2006). Reducing the gender gap in the physics classroom. Am. J. Phys. 74(2), 118-122. 

  18. Mazur, E. (1997). Peer instruction: A user's manual (Series in Educational Innovatio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 McDermott, L. C., & Shaffer, P. S. (2002). Tutorials in introductory physics. Boston, MA: Addison-Wesley. 

  20. McDermott, L. C., Shaffer, P. S., & Somers, M. D. (1994). Research as a guide for teaching introductory mechanics: An illustration in the context of the Atwood's machine. Am. J. Phys. 62(1), 46-55. 

  21. Shaffer, P. S., & McDermott, L. C. (1992). Research as a guide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 example from introductory electricity (Part I): Investigation of student understanding. Am. J. Phys. 60, 994-1003. 

  22. Turpen, C., & Finkelstein, N. D. (2010). The construction of different classroom norms during Peer Instruction: Students perceive differences. Phy. Rev. ST Phys. Edu. Res. 6(2), 020123. 

  23. Van Vliet, E. A., Winnips, J. C., & Brouwer, N. (2015). Flipped-class pedagogy enhances students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but effect does not persist. Life Science Education, 14, 1-10. 

  24. You, H., Im, H., Go, J., Shin, H., & Park, S. (2011).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universities (Research report RR 2011-13).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