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물리학실험에 나타난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 분석
Analysis of Reflective Thinking Characteristic of College Students in General Physics Experiment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2, 2020년, pp.225 - 239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  최규리 (한국창의교육연구원) ,  오윤정 (성균관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일반물리학실험 수업 중 일어나는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32명의 대학생들로 10개의 일반 물리학 실험 보고서와 함께 반성적 사고와 관련된 검사 문항을 서술하여 제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실험에서 대체로 반성적으로 사고한다고 스스로를 평가하였으며. 그 수준은 실천적 반성, 기술적 반성, 비판적 반성 순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실험과 관련된 지식 등은 능동적으로 받아들이지만 당일 실험을 통해 얻은 새로운 지식 및 경험을 이전의 것과 연결하거나 새로운 질문을 형성하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둘째,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실험 목표의 이해와 선지식과 관련된 실험, 쉽게 수용할 수 있는 과정의 실험일수록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개방형 문항의 분석을 통하여 개인평가에서는 기술적 반성이, 모둠평가에서는 실천적 반성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개선점 제안에서는 실천적 반성, 기술적 반성, 비판적 반성의 순으로 동시에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기능적 측면이 주를 이루며 피상적이었던 반면, 실험을 통하여 학습 내용과 실험 과정을 검토하면서 개인과 모둠의 실천을 반성하여 학습의 의미를 재고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thoughts of students during experiments in general physics experiments. The participants were 32 college students, they submitted 10 experiment reports including answers to questions for reflective think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최근 교육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주요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은 단순한 창의적 사고를 넘어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가 동반될 때 가능하고 이를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최근 교육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주요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은 단순한 창의적 사고를 넘어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가 동반될 때 가능하고 이를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반성적 사고는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지식 및 지식 구조를 수정 또는 변형하여 새로운 지식을 형성 및 구조화하는 문제해결 과정이자 인지적 과정이다(Johnsson & Svensson, 2005; Kim, 2016; Roessger, 2014).
연구들의 공통점인 단순하고 낮은 반성적 사고에서 복잡하고 높은 반성적 사고로의 위계의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자에 따라 반성적 사고의 위계에 차이가 있지만 동시에 공통점도 발견할 수 있는데 바로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낮은 반성적 사고에서 복잡하고 높은 반성적 사고로의 위계이다. 이는 반성적 사고가 일련의 과정인 데서 기인하지만 반성적 사고가 저절로 발달되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즉 반성적 사고는 자연적으로 발달되지 않으므로 교수자는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가 발달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전략의 측면과 과정에서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2nd ed.). Boston, MA: D. C. Heath. 

  2. Garcia, M.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and level of teacher development as measured in teachers' stimulated recall interviews(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3. Johnsson, E., & Svensson, K. (2005). Theory in social work-some reflections on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interventions. European Journal of Social Work, 8(4), 419-433. 

  4. Kim, H.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transfer, participation motivation, social capital, and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teachers'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8(4), 81-117. 

  5. Lee, Y., & Choi, H. (2016). A study on application of reflective thinking-based laboratory report in general physics experi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3), 203-218. 

  6. Lee, Y., & Im, S. (2011).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scientific experiment in experimental journal writing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198-209. 

  7. Nam, J., Lee, D., & Park, S. (2013). The impact of reading framework on college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in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57(6), 813-820. 

  8. Park, M., Lee, J., Lee, G., & Song, J. (2007). Conceptual definition and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on science teaching: Focus 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1), 70-83. 

  9. Pultorak, E. G. (1996). Follow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flection in novice teachers: Three years of investig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4), 22-30. 

  10. Roessger, M. K. (2014). The effects of reflective activities on skill adaptation in a workrelated instrumental learning setting. Adult Education Quarterly, 64(4), 323-344. 

  11.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1st ed.). New York, NY: Basic Books. 

  12.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 205-208. 

  13. Zeichner, K. M., & Liston, D. P. (1985). Varieties of discourse in supervisory conferen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 155-1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