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근력강화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능력과 대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Effects of Strengthening Exercise on Gait Ability and GMFM in Cerebral Palsy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3, 2018년, pp.39 - 47  

허성경 (성남시장애인종합복지관) ,  이한숙 (을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선욱 (삼성서울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conduct a systemic review of studies that examine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exercise on gait ability and GMF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propose a standard for cerebral palsy therapy based on a meta-analysis of the studies. METHODS: An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체간과 하지의 근력강화 운동이 보행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손쉽게 적용 가능한 운동치료 중재법을 개발하고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관련 연구들을 수집 후 체계적 고찰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체간 운동 또는 하지 운동 모두 운동의 효과 측면에서는 대동작기능 중 기기와 앉기에서 좋은 결과를 확인하였고, 체간근력강화 훈련이 하지 근력강화 훈련보다 효과가 좋았다.
  • 뇌성마비 아동에게 어떤 운동중재를 어떻게 얼마나 적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이들에게 매우 가치 있고 반드시 필요한 연구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실험논문의 결과를 중심으로 체간과 하지의 근력강화 운동이 보행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실 및 가정에서도 손쉽게 적용이 가능한 근력강화 프로그램의 종류 및 효과적인 적용 방법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공간적 변수 중 속도, 분속수,보폭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에 근력 강화를 통해 기대할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또한 대동작기능과 보행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Eek 등, 2011),대동작기능과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 중 속도, 분속수,보폭은 서로 연관성을 가진다(Park 등, 2004). 이러한 변수들은 근력 강화를 통해 대동작기능과 보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Damiano과 Abel, 1998).
뇌성마비란? 뇌성마비는 뇌에 발생하는 비진행적 손상으로 운동능력 및 자세조절 능력에 영구적인 장애를 유발하고(Rosenbaum 등, 2007),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와 자세조절 장애, 감각입력에 대한 통합의 오류로 비대칭적 신체정렬 및 흔들리는 자세 등 신체적 문제를야기한다(Krigger, 2006). 뇌성마비 아동은 발달이 왕성하게 이루어져야 할 시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 신체발육이 지연되고 원시반사가 사라지지 않으며 정상 발달을 경험하지 못하게 된다(Jahnsen 등, 2004).
뇌성마비 아동들이 체간의 안정성 및 운동기능이 떨어지게 되는 이유는? 뇌성마비 아동들은 척추측만증과 같은 신체정렬의 장애, 연하곤란, 인지, 언어장애 등 많은 질환을 가지고 평생을 살아가게 되며(Rosenbaum 등, 2007), 지체된 운동발달로 인해 항중력자세(antigravity posture)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이로 인해 체간의 안정성 및 운동기능이 떨어지게 된다(Gudjonsdottir과 Mercer,1997). 특히 운동기능 손상의 결과로 균형능력, 운동조절능력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근육약화로 생체역학적 문제를 야기한다(Eek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ine S, Jane M, Louise A, et al. Muscle strengthening is not effectiv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2009;55(2):81-7. 

  2. Andersson, Grooten W, Hellsten M, et al. Adults with cerebral palsy: walking ability after progressive strength training.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003;45(4):220-8. 

  3.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et al.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ltd. 2009. 

  4. Byeon JH. Effects of 8-week thera-band training on the isokinetic strength and the gait patterns of the cerebral palsy children. Doctor's Degree. Kyung Hee University. 2006. 

  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1977. 

  6. Damiano DL, Abel MF. Functional outcomes of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cerebral pals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8;79(2):119-25. 

  7. Eek MN, Tranberg R, Beckung E. Muscle strength and kinetic gait pattern in children with bilateral spastic CP. Gait & Posture. 2011;33(3):333-7. 

  8. Eek MN, Tranberg R, Zugner R, et al. Muscle strength training to improve gait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2008;50:759-64. 

  9. Engsberg J, Ross SA, Collins R. Increasing ankle strength to improve gait 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Pediatric Physical Therapy. 2006;18(4):266-75. 

  10. Gudjonsdottir B, Mercer VS. Hip and spin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usculoskeletal development and clinical implications. Pediatric Physical Therapy. 1997;9(4):179-85. 

  11. Hong MH. The effects of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training on the spatiotemporal variables of gross motor functions and gaits for the children with motor impairment. Master's Degree. Hallym University. 2012. 

  12. Jack R, Sandy A, David R. Increasing ankle strength to improve gait 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Pediatric Physical Therapy. 2006; 18(4):266-75 

  13. Jahnsen R, Villien L, Aamodt G, et al. Musculoskeletal pain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J Rehabil Med. 2004; 36(2):78-84. 

  14. Jin HM, Jeon IG. The change of sport gait and lower limb function with the aquatic lower limb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in hemiplegia stroke patients. Korea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for Girls and Women. 2012;26(4):85-96. 

  15. Karen J, Nicholas FT, Kerr G.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strength training in young people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003;45(10):652-7. 

  16. Kim JH, Yoon SM. Evidence based aquatic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ystemic literature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6;55(2): 689-700. 

  17. Kim JH. Effects of functional trunk strengthe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aster's Degree. Daegu University. 2012. 

  18. Kim CJ. Comparison of the impact of balance training, trunk stability exercise, and horse-riding stimulator exercise on the sitting position balance, posture control, and upper limb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Doctor's Degree., Daegu University. 2015. 

  19. Krigger KW. Cerebral palsy: an overview.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6;73(1):91-100. 

  20. Kwon JH, Song SH, Lee SH. Effects of muscle power exercise on gait, balance and muscle activity in stroke patients. DanKuk Univ. 2014;53(1):373-84. 

  21. Lee MH. The effects of progressive functional training on lower limb muscle architecture and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aster's Degree. Sahmyook University. 2013. 

  22. Liao HF, Liu VC, Lin YT. Effectiveness of loaded sit-to-stand resistance exercise for children with mild spastic diplegi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7;88(1):25-31. 

  23. Nicholas FT, Karen JD, Richard JB, et al.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and mobility-related function in young people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2013; 55(9):806-12. 

  24. Oh SS.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unKuk Univ. 2009. 

  25. Oh YJ, Jo BH, Lee JS.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hand functions of children with hemiplegia cerebral palsy: meta-analysis. J Korean Soc Occupational Med. 2014:22(3):69-83. 

  26. Park SY, Ko MS, Yi CH. Correlations among GMFM, GMPM, and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J Korean Soc Phys Med. 2004;11(2):63-70. 

  27. Rosenbaum P, Paneth N, Leviton A, et al.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6. Dev Med Child Neurol Suppl. 2007;109(suppl 109):8-14. 

  28. Ryu IJ, Son kh. The effects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walking and balan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2011;18(2):17-28. 

  29. Sin HJ. The present meta-analysis systematically reviewed empirical studies on effect of therapeutic horseback rid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r intellectual disability. Vocational Rehabilitation. 2015;19(3): 31-49. 

  30. Vanessa AS, Jules GB, Yvonne JJ, et al. Effectiveness of functional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walking on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2;33(1):181-8. 

  31. Verschuren O, Ada L, Maltais DB, et al. Muscle strengthen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pastic cerebral palsy: consideration for future resistance training protocols. Physical Therapy. 2011;91(7):1130-9. 

  32. Yasser S, Godwin EM. Effects of task-orientated training on mobil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itation. 2009;24(4):307-13. 

  33. Yoon JY.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c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Master's Degree. Dankuk Univ.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