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pimedium koreanum Nakai has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to treat impotence, forgetfulness, cataract and exophthalmos.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ti-fibrogenic effects of E. koreanum water extract (EKE) in hepatic stellate cells (HSCs). Methods :...
Objectives :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pimedium koreanum Nakai has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to treat impotence, forgetfulness, cataract and exophthalmos.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ti-fibrogenic effects of E. koreanum water extract (EKE) in hepatic stellate cells (HSCs). Methods : To study anti-fibrogenic effects of EKE, LX-2 cells, a human immortalized HSCs, were pre-treated with $3-300{\mu}g/mL$ of EKE, and then subsequently exposed to 5 ng/mL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Expression level of ${\alpha}-smooth$ muscle actin was determined by immunoblot analysis. Phosphorylation of Smad, transactivation of Smad, and express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were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KE on $TGF-{\beta}1-mediated$ signaling pathway. Results : Up to $100{\mu}g/mL$, EKE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on LX-2 cells. Pre-treatment of EKE ($1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alpha}-smooth$ muscle actin expression induced by $TGF-{\beta}1$. In addition, EKE significantly decreased Smad2 and Smad3 phosphorylations, Smad binding element-driven luciferase activity and PAI-1 expression by $TGF-{\beta}1$. Of three flavonoid compounds found in EKE, only quercertin ($30{\mu}M$) attenuated $TGF-{\beta}1-mediated$ PAI-1 express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KE has an ability to suppress fibrogenic process in HSCs via inhibition of $TGF-{\beta}1/Smad$ signaling pathway.
Objectives :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pimedium koreanum Nakai has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to treat impotence, forgetfulness, cataract and exophthalmos.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ti-fibrogenic effects of E. koreanum water extract (EKE) in hepatic stellate cells (HSCs). Methods : To study anti-fibrogenic effects of EKE, LX-2 cells, a human immortalized HSCs, were pre-treated with $3-300{\mu}g/mL$ of EKE, and then subsequently exposed to 5 ng/mL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Expression level of ${\alpha}-smooth$ muscle actin was determined by immunoblot analysis. Phosphorylation of Smad, transactivation of Smad, and express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were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KE on $TGF-{\beta}1-mediated$ signaling pathway. Results : Up to $100{\mu}g/mL$, EKE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on LX-2 cells. Pre-treatment of EKE ($1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alpha}-smooth$ muscle actin expression induced by $TGF-{\beta}1$. In addition, EKE significantly decreased Smad2 and Smad3 phosphorylations, Smad binding element-driven luciferase activity and PAI-1 expression by $TGF-{\beta}1$. Of three flavonoid compounds found in EKE, only quercertin ($30{\mu}M$) attenuated $TGF-{\beta}1-mediated$ PAI-1 express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KE has an ability to suppress fibrogenic process in HSCs via inhibition of $TGF-{\beta}1/Smad$ signaling pathwa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실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淫羊藿 열수 추출물이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의 활성화를 통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간실질세포와 간 조직을 보호하고, nuclear factor-κB (NF-κB)의 억제를 통하여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11,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淫羊藿 열수 추출물이 간섬유화 과정에 관여하는 간성상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와 이와 관련된 약리기전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淫羊藿이 간성상세포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와 이와 관련된 약리기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연구가치가 높은 淫羊藿 열수추출물, EKE의 간성상세포 활성 제어와 관련된 효능과 약리기전을 규명하고자 우선 EKE가 인체 유래 간성상세포주인 LX-2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LX-2 세포에 3-300 μg/mL의 EKE를 24시간 동안 처치하고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EKE는 LX-2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GF-β1으로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에서 淫羊藿 열수 추출물의 효능 및 세포 내 신호 분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안 방법
t-HSC/Cl6 세포에 Fugene HD (promega)를 이용하여 pGL4.48[luc2p/SBE/Hygro]와 pGL4.15-phPAI1-798 플라스미드를 각각 형질도입한 후 50 μg/mL의 hygromycin (Life Technologies)을 처치하여 플라스미드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항생제 내성 colony를 선별하여 SBE 또는 human PAI-1 promoter로 조절되는 luciferase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재조합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pGL-B-phPAI1-798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human PAI-1 promoter의 –798 bp에서 +65 bp를 포함하는 유전자 단편을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증폭한 후13), pGL4.15 플라스미드의 KpnI/BglII 영역에 삽입하여 pGL4.15-phPAI1-798을 제작하였다.
각 단백질의 발현량은 ImageJ (http://imagej.nih.gov/ij)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β-actin 또는 smad2/3의 발현량으로 보정하여 상대 정량하였다.
Membrane을 1차 항체, 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 enhanced chemiluminescence detection reagents (GE Healthcare Life Sciences, Buckinghamshire, UK)와 순차적으로 반응시킨 후 Imager 600 (GE Healthcare Life Sciences)을 이용하여 발색하였다.
LX-2 세포를 24 well pate에 4×104 cells/well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3-300 μg/mL의 EKE 또는 30 μM의 icariin, icaritin 및 quercetin를 24 시간 동안 각각 처치하였다.
바닥면적의 80% 이상 성장한 각 세포는 FBS가 포함되지 않는 배지로 교환하여 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한 후, 5 ng/mL의 TGF-β1, 3-300 μg/mL의 EKE, 30 μM의 icariin, icaritin 또는 quercetin을 실험 목적에 따라 처치하였다.
처치가 완료된 세포로부터의 전세포 추출액 (whole cell lysates)의 제조와 immunoblot 분석은 본 연구실의 기 확립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11). 즉, 세포를 protease inhibitor와 phosphatase inhibitor들이포함된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로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전세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 즉, 세포를 protease inhibitor와 phosphatase inhibitor들이포함된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로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전세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로 정량한 동량의 전세포 추출액을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에서 분자량에 따라 분리한 후,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전이시켰다.
즉, 세포를 protease inhibitor와 phosphatase inhibitor들이포함된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로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전세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로 정량한 동량의 전세포 추출액을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에서 분자량에 따라 분리한 후,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전이시켰다. Membrane을 1차 항체, 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 enhanced chemiluminescence detection reagents (GE Healthcare Life Sciences, Buckinghamshire, UK)와 순차적으로 반응시킨 후 Imager 600 (GE Healthcare Life Sciences)을 이용하여 발색하였다.
LX-2 세포로부터 total RNA는 TRI-solution (Bioscience technology, Seoul, Korea)을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total RNA (0.5-1 μg), d(T)16, Accupower RT premix (Bioneer,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EKE가 α-SM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LX-2 세포에 30-100 μg/mL의 EKE를 1시간 동안 전처치한 후 5 ng/mL의 TGF-β1을 24시간 동안 처치하였다.
따라서 LX-2 세포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던 30 또는 100 μg/mL의 EKE를 이용하여 후속 연구를 수행하였다.
EKE가 간성상세포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연구하기 위하여, 인체 유래 간성상세포주인 LX-2 세포에 3-300 μg/mL의 EKE를 24시간 동안 처치한 후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Real-time PCR 분석을 위한 primer로 PAI-1 (sense, 5’-TCGTCCAGCGGGATCTGA-3’; anti-sense, 5’-CCTGGTCATGTTGCCTTTC-3’),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sense,5’-GAAGGTGAAGGTCGGAGTC-3’;anti-sense, 5’-GAAGATGGTGATGGGATTTC-3’)를 Bioneer에서 합성하였다.
12-well plate에 배양된 재조합 세포주에 30-100 μg/mL의 EKE를 1시간 전처치한후, 5 ng/mL의 TGF-β1을 24시간 동안 처치하였다. Luciferase 활성은 Passive lysis buffer (Promega)로 용해한 세포 용해액과 luciferin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 (Infinite M200 pro)로 측정하였다. 각 샘플별 luciferase 활성은 세포 용해액의 단백질 함량으로 보정하였다.
5-1 μg), d(T)16, Accupower RT premix (Bioneer,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Real-time PCR은 SYBR Ex Taq (TaKaRa, Shiga, Japan)과 CFX96 Thermal Cycler (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Real-time PCR 분석을 위한 primer로 PAI-1 (sense, 5’-TCGTCCAGCGGGATCTGA-3’; anti-sense, 5’-CCTGGTCATGTTGCCTTTC-3’),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sense,5’-GAAGGTGAAGGTCGGAGTC-3’;anti-sense, 5’-GAAGATGGTGATGGGATTTC-3’)를 Bioneer에서 합성하였다.
EKE가 TGF-β1에 의한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Smad2와 Smad3의 인산화를 immunoblot 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EKE가 TGF-β1에 의한 Smad 전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SBE에 의해 조절되는 luciferase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t-HSC/Cl6 세포에 30-100 μg/mL의 EKE를 1시간동안 전처치한 후, 5 ng/mL의 TGF-β1을 24시간 동안 처치하였다.
EKE가 TGF-β1 유도성 표적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PAI-1의 단백질, mRNA 및 전사활성화를 immunoblot, real-time PCR 및 리포터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EKE에 의한 PAI-1 발현 제어에 있어 3종의 flavonoid 화합물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30 μM의 flavonoid 화합물을 전처치한 LX-2세포에서의 PAI-1 발현을 immunoblot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LX-2 세포에 24시간 동안의 icariin, icaritin 또는 quercetin (각 30 μM) 처치에 의한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EKE가 TGF-β1에 의한 PAI-1 전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PAI-1 promoter를 포함하는 luciferase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재조합 t-HSC/Cl6 세포에 30-100 μg/mL의 EKE와 5 ng/mL의 TGF-β1을 처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X-2 세포의 생존율에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던 30-100 μg/mL의 EKE를 전처치한 후 TGF-β1에 의한 간성상세포의 활성화를 α-SMA 발현으로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세포 배양을 위한 fetal bovine serum (FBS),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Williams’ media E, L-glutamine, penicillin-streptomycin은 Life Technologies (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였다.
TGF-β1과 anti-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항체는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와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cruz, CA, USA)에서 각각 구입하였다.
淫羊藿은 대원약업사 (Daegu, Korea)에서 구입하여 선행 보고된 방법에 따라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11), 100 mg/mL의 농도로 물에 용해하여 0.22 μm syringe filter (Nalgene, New York, NY, USA)로여과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인체 유래 간 성상세포주인 LX-2 세포는 Dr. S.L. Friedman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NY, USA)으로부터, 랫트 유래 간 성상세포주인t-HSC/Cl6 세포는 원광대학교 손동환 교수로부터 제공받았다. LX-2 세포는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1% L-glutamine을 포함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고, t-HSC/Cl6 세포는 FBS와 항생제, L-glutamine이 포함된 Williams’ media E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SBE를 포함한 pGL4.48[luc2p/SBE/Hygro]와 pGL4.15플라스미드는 Promega (Madison, WI, USA)에서 구입하였다. pGL-B-phPAI1-798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human PAI-1 promoter의 –798 bp에서 +65 bp를 포함하는 유전자 단편을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증폭한 후13), pGL4.
모든 데이터는 3 회 반복 시행 후 mean ± SD로 표기하였으며, 각 그룹간 통계적 유의성은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분석을 수행한 후, 등분산 가정의 성립 여부에 따라 Tukey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 또는 Dunnett T3 test로 사후 검정 하였다.
이론/모형
Real-time PCR 분석을 위한 primer로 PAI-1 (sense, 5’-TCGTCCAGCGGGATCTGA-3’; anti-sense, 5’-CCTGGTCATGTTGCCTTTC-3’),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sense,5’-GAAGGTGAAGGTCGGAGTC-3’;anti-sense, 5’-GAAGATGGTGATGGGATTTC-3’)를 Bioneer에서 합성하였다. 각 샘플별 PAI-1 유전자의 발현량은 GAPDH 유전자의 발현량을 기준으로 2-DDCT법에 의해 상대 정량하였다14).
LX-2 cells were treated with 3-300 μg/mL of EKE for 24 h. Relative cell viabilities were determined by MTT assay. (B) α-SMA expression.
성능/효과
이상의 결과는 EKE가 TGF-β1에 의한 간성상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있음을 나타낸다.
30 μg/mL의 EKE 전처치는 TGF-β1에 의한 α-SMA 발현을 변화시키지 못하였으나, 100 μg/mL의 EKE 전처치는 α-SMA 발현을 0.21 ± 0.20배로 TGF-β1 단독 처치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Fig. 1B).
LX-2 세포에서 30분 동안의 5 ng/mL의 TGF-β1 자극은 Smad2와 Smad3의 인산화를 무 처치 대조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23.18 ± 2.70배와29.39 ± 0.84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AI-1 단백질, mRNA 결과와 유사하게 30-100 μg/mL의 EKE 전처치는 TGF-β1에 의한 증가한 luciferase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시켰다 (Fig. 3C).
LX-2 세포에서 TGF-β1 자극은 PAI-1 단백질 및 mRNA를 무처치 대조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6.20 ± 0.89배와 30.97 ± 2.41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3종의 flavonoid 화합물 중 quercetin 전처치만 이 TGF-β1에 의한 증가한 PAI-1 발현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Fig. 4B).
이상의 결과는 EKE 또는 EKE에 함유된 quercetin이 TGF-β1에 의하여 유도된 PAI-1 발현을 전사적 조절을 통하여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LX-2 세포에 3-300 μg/mL의 EKE를 24시간 동안 처치하고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EKE는 LX-2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EKE의 전처치는 TGF-β1에 의하여 증가한 PAI-1 mRNA, 단백질 및 전사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에서 30 ug/mL의 EKE 전처치는 TGF-β1에 의하여 활성화된 α-SMA 발현과 Smad2/3의 인산화는 변화되지 못하였으나, SBE 리포터 유전자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SBE에 의해 조절되는 reporter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t-HSC/Cl6 세포에서도 30-100 μg/mL의 EKE 전처치는 농도 의존적으로 TGF-β1에 의하여 증가한 리포터 유전자 활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TGF-β1 의존적 신호조절 과정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연구하기 위하여 LX-2 세포에 30-100 μg/mL의 EKE를 전처치한 결과, TGF-β1에 의하여 증가한 Smad2와 Smad3의 인산화가 100 μg/mL의 EKE 처치에 의하여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30 ug/mL의 EKE 전처치는 TGF-β1에 의하여 활성화된 α-SMA 발현과 Smad2/3의 인산화는 변화되지 못하였으나, SBE 리포터 유전자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연구방법 (예, 리포터 유전자 분석과 immunoblot분석)과 세포주 (예 LX-2와 t-HSC/Cl6 세포)의 민감도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30 ug/mL의 EKE가 항섬유화 효능을 나타내는 경계 농도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淫羊藿 열수 추출물이 TGF-β1/Smad 신호분자의 억제를 통하여 간성상세포의 활성화를 제어 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淫羊藿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淫羊藿을 급만성 간질환 치료 方劑의 신규 本草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KE (100 μg/mL)에 의한 PAI-1 감소 정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3종의 flavonoid 화합물 중 quercetin (30 μM)만이 TGFβ1에 의하여 증가한 PAI-1 단백질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후속연구
더불어 PAI-1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siRNA의 도입은 간성상세포의 α-SMA을 감소시키고 세포외 교원질 축적에 관여하는 TGF-β1,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ase, collagen 등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24). 따라서 Smad의 활성 제어뿐 아니라 PAI-1의 발현 감소도 EKE에 의한 간성상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icariin과 icaritin은 TGF-β1/Smad 비의존적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의 제어 또는 간성상세포 이외의 다른 세포들의 활성 제어를 통해 항섬유화 효능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성상세포 활성화의 최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던 100 μg/mL의 EKE에 함유된 3종의 flavonoid의 농도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30 μM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다. 따라서 EKE에 의한 항섬유화 효능은 3종의 flavonoid와 EKE 내 동정되지 않는 다른 화합물의 복합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淫羊藿 열수 추출물이 TGF-β1/Smad 신호분자의 억제를 통하여 간성상세포의 활성화를 제어 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淫羊藿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淫羊藿을 급만성 간질환 치료 方劑의 신규 本草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성상세포 활성화는 어떤 인자들이 관여하는가?
그러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간조직의 손상은 간성상세포의 vitamin A 저장능을 저하시키고, 세포 증식능과 신축성을 증가시켜 fibronectin과 collagen을 포함한 세포외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아세포 (myofibroblast)로 세포의 표현형을 변형 시킨다3). 더불어 활성화된 간성상세포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interleukin-6,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들을 분비하여 주변 휴지기 간성상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염증반응을 통한 실질세포의 파괴와 세포외 교원질을 축적을 가속화하여 비가역적 간질환인 간경화 (cirrhosis)로 이행하는데 관여한다2,3).
간섬유화란 무엇인가?
간섬유화(liver fibrosis)는 반복된 간조직의 손상과 회복과정에서 세포외 교원질 (extracellular matrix)의 생성과 분해 사이의 불균형에 기인한 만성 간질환의 하나이며 활성화된 간성상세포 (hepatic stellate cell)가 간섬유화에 기여하는 주된 세포로 알려져 있다1).정상적인 생리적 환경에서 간의 perisinusoidal space에 존재하는 휴지기 (quiescent) 간성상세포는 vitamin A를 저장하며 상피세포 (epithelial cell)의 표현형을 나타낸다2).
간성상세포의 활성화 제어가 간질환의 중요 치료 전략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성상세포의 활성화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들 중 TGF-β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TGF-β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세포질에 존재하는 receptor-activated Smad (예, Smad2, Smad3)의 인산화를 촉진한다. 또한 인산화된 receptor-activated Smad는 co-Smad (예, Smad4)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핵으로 이동하고, 5‘-CAGA-3’ 서열을 포함하는 Smad binding element(SBE) 영역에 결합하여 세포외 교원질 축적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킨다4,5). 따라서, 가역적인 간섬유화 단계에서 TGF-β를 중심으로 한 간성상세포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이 간경화 또는 간암으로의 이행을 억제하는 중요한 치료 전략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Yoshida K, Murata M, Yamaguchi T, Matsuzaki K, Okazaki K. Reversible Human TGF- ${\beta}$ signal shifting between tumor suppression and fibro-carcinogenesis: implications of smad phospho-Isoforms for hepatic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s. J Clin Med. 2016;5:7.
Dennler S, Itoh S, Vivien D, ten Dijke P, Huet S, Gauthier JM. Direct binding of Smad3 and Smad4 to critical TGF beta-inducible elements in the promoter of huma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type 1 gene. EMBO J. 1998;17:3091-100.
Choi DY, Kim JG, Yeom YH. New Comprehension on Jingyue Herbal Formulation. 1st Ed. Seoul:Bubin publisher. 2004:445.
Gong TX. Shoushibaoyuan. 1st Ed. Beijing: Zhongguozhongyiyao publisher. 1993:445.
Yu B. Yixuezhengchaun. 1st Ed. Seoul:Seongbosa. 1986:234.
Heo J. Dongeuibogam. 1st Ed. Seoul:Namsandang. 1966:367, 667.
Lee SI. Herbology. Seoul:Suseowon. 1981:71-72.
Jung JY, Park SM, Ko HL, Lee JR, Park CA, Byun SH, Ku SK, Cho IJ, Kim SC. Epimedium koreanum Nakai water extract ameliorates oxidative stress-mediated liver injury by activating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Am J Chin Med. 2018;46:469-88.
Jung JY, Byun SH, Park CA, Cho IJ, Kim SC.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water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B in RAW 264.7 cells. Kor J Herbol. 2018;33:19-28.
Cho IJ, Kim SH, Kim SG. Inhibition of $TGF{\beta}1$ -mediated PAI-1 induction by oltipraz through selective interruption of Smad 3 activation. Cytokine. 2006;35:284-94.
Kim JK, Lee JE, Jung EH, Jung JY, Jung DH, Ku SK, Cho IJ, Kim SC. Hemistepsin A ameliorates acute inflammation in macrophages via inhibition of nuclear factor- ${\kappa}B$ and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Food Chem Toxicol. 2018;111:176-88.
Choi SS, Omenetti A, Witek RP, Moylan CA, Syn WK, Jung Y, Yang L, Sudan DL, Sicklick JK, Michelotti GA, Rojkind M, Diehl AM. Hedgehog pathway activation and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s during myofibroblastic transformation of rat hepatic cells in culture and cirrhosi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9;297:G1093-106.
Lee W, Nam JH, Cho HJ, Lee JY, Cho WK, Kim Y, We YM, Ma JY, Hoe HS. Epimedium koreanum Nakai inhibits PMA-induced cancer cell migration and invasion by modulating NF- ${\kappa}B$ /MMP-9 signaling in monomorphic malignant human glioma cells. Oncol Rep. 2017;38:3619-31.
Song J, Feng L, Zhong R, Xia Z, Zhang L, Cui L, Yan H, Jia X, Zhang Z. Icariside II inhibits the EMT of NSCLC cells in inflammatory microenvironment via down-regulation of Akt/NF- ${\kappa}B$ signaling pathway. Mol Carcinog. 2017;56:36-48.
Kim B, Park B. Baohuoside I suppresses invasion of cervical and breast cancer cells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CXCR4 chemokine receptor expression. Biochemistry. 2014;53:7562-9.
Chen SJ, Yuan W, Mori Y, Levenson A, Trojanowska M, Varga J. Stimulation of type I collagen transcript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by TGF-beta: involvement of Smad 3. J Invest Dermatol. 1999;112:49-57.
Wang H, Zhang Y, Heuckeroth RO. PAI-1 deficiency reduces liver fibrosis after bile duct ligation in mice through activation of tPA. FEBS Lett. 2007;581:3098-104.
Hu PF, Zhu YW, Zhong W, Chen YX, Lin Y, Zhang X, Yin C, Yue HY, Xie WF. Inhibi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expression by siRNA in rat hepatic stellate cells. J Gastroenterol Hepatol. 2008;23:1917-25.
Wu L, Zhang Q, Mo W, Feng J, Li S, Li J, Liu T, Xu S, Wang W, Lu X, Yu Q, Chen K, Xia Y, Lu J, Xu L, Zhou Y, Fan X, Guo C. Quercetin prevents hepatic fibrosis by inhibiting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reducing autophagy via the TGF- ${\beta}1$ /Smads and PI3K/Akt pathways. Sci Rep. 2017;7:9289.
Wang R, Zhang H, Wang Y, Song F, Yuan Y.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on the progression of liver fibrosis through the regulation of NF- ${\kappa}B$ / $I{\kappa}B{\alpha}$ , p38 MAPK, and Bcl-2/Bax signaling. Int Immunopharmacol. 2017;47:126-33.
Li X, Jin Q, Yao Q, Xu B, Li Z, Tu C. Quercetin attenuates the activ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and liver fibrosis in mice through modulation of HMGB1-TLR2/4-NF- ${\kappa}B$ signaling pathways. Toxicol Lett. 2016;261:1-12.
Algandaby MM, Breikaa RM, Eid BG, Neamatallah TA, Abdel-Naim AB, Ashour OM. Icariin protects against thioacetamide-induced liver fibrosis in rats: Implication of anti-angiogenic and anti-autophagic properties. Pharmacol Rep. 2017;69:616-24.
Li J, Liu P, Zhang R, Cao L, Qian H, Liao J, Xu W, Wu M, Yin Z. Icaritin induces cell death in activated hepatic stellate cells through mitochondrial activated apoptosis and ameliorates the development of liver fibrosis in rats. J Ethnopharmacol. 2011;137:714-2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