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 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4, 2018년, pp.61 - 75  

황광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곽정인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시설로 조성되는 완충녹지가 $PM_{2.5}$(초미세먼지)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도로변 완충녹지의 구조, 녹량(녹지용적), 식재유형에 따른 초미세먼지 변화량을 분석하여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완충녹지 조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지는 송파구를 선정하였고, 양재대로, 송파대로에 인접한 5개의 완충녹지에서 16개 조사구를 선정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PM_{2.5}$ 농도 측정결과, 조사구별 평균농도는 계절 상관없이 보도 $46.6{\mu}g/m^3$, 녹지 $45.5{\mu}g/m^3$, 주거지 $42.9{\mu}g/m^3$로 모두 도로($53.2{\mu}g/m^3$)보다 낮았으며, 주거지 농도 값이 가장 낮았다. 완충녹지의 농도 저감효과 확인을 위해 완충녹지의 녹량과 초미세먼지 상대비율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목과 관목 전체 녹량이 높은 그룹의 상대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완충녹지 녹량의 영향력을 증명했으며, 관목 부족형이 교목 부족형보다 농도상대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관목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교목과 관목의 식재구조에 따른 녹피율녹지용적계수가 복합적으로 $PM_{2.5}$ 농도 저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목의 열수와 관목의 층위구조가 $PM_{2.5}$ 농도 저감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겨울철 완충녹지의 $PM_{2.5}$ 농도저감 특성 분석결과, 관목의 녹피율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green buffers, built as urban planning facilities on the reduction of ultra-fine particulate($PM_{2.5}$) and analyze changes in ultra-fine particles by structure, green volume and planting types of wayside green buffers, thus drawing the factors th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초미세먼지 발생원인 도로변에서 완충녹지가 초미세먼지 농도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는 것은 도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한 내용이다. 본 연구는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완충녹지의 녹량과 식재구조가 초미세먼지 농도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초미세먼지에 관해 완충녹지의 녹량이 미치는 영향과 교목과 관목의 식재구조와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특히, 관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향후 도시 내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완충녹지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본 연구는 도로에서 발생한 PM2.5(초미세먼지)가 보도, 녹지, 주거지로 이동하면서 농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완충녹지 조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영향요소 도출과 그 효과검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겨울과 봄의 초미세먼지 측정값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도로 대비 보도, 녹지, 주거지 모두 저감이 일어났으며, 그 중에서 완충녹지를 통과한 후의 주거지 농도 값이 가장 많이 저감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름이 2.5µm보다 작은 먼지의 대표적인 예는? 5µm보다 작은 먼지는 일반적으로 화학반응에 의해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Seinfeld and Pandis, 2016). 경유자동차 엔진 연소에서 생기는 검댕(1차 대기오염물질)이나 대기에서 기체상 황산화물이 반응해서 생기는 황산염 입자(2차 대기오염물질)가 대표적인 예이다(Kim, 2017). 국내의 경우, 환경부가 1995년 1월부터 10µm 이하의 미세먼지(PM10)를 새로운 대기오염물질로 규제하였으며, 2015년 1월부터 2.
서울의 대기오염 수준은? 도시 인구 집중에 따른 과도한 에너지 사용과 199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은 도시문제 중 하나이다. 서울의 대기오염 수준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악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시 대기오염의 85%가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3). 최근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 위해성 논의와 함께 세계보건기구(WHO)는 경유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초미세먼지(PM2.
도심 녹지 필요성은 부각되지만 조성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에, 광합성 과정에서 잎의 기공을 통해 온실가스인 CO2를 비롯한 SO2, NO2 등 가스상 물질을 흡수하여 대기오염 농도를 낮추는 도시 내 수목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Jo and Ahn, 2001). 도심 녹지 필요성은 부각되고 있으나, 지가상승으로 인한 토지매입, 토지수급 문제 등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도시 내 완충녹지의 기능적 향상은 추가 녹지 확보 없이 초미세먼지 해결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N. R., S. P. Lee, J. Y. Lee, C. H. Jung and Y. P. Kim(2016) Specia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organic compounds in $PM_[10]$ over Seoul, South Korea. Chemosphere 144, 1589-1596. 

  2. Gromke. C., N. Jamarkattel and B. Ruck(2016) Influence of roadside hedgerows on air quality in urban street canyons. Atmospheric Environment 139: 75-86. 

  3. Hagler, G. S. W., W. Tang, M. J. Freeman, D. K. Heist, S. G. Perry and A. F. Vette(2011) Model evaluation of roadside barrier impact on near-road air pollution. Atmospheric Environment 45(15): 2522-2530. 

  4. Hallquist, M., J. Munthe, M. Hu, T. Wang, C. K. Chan, J. Gao, J. Boman, S. Guo, A. M. Hallquist, J. Mellqvist, J. Moldanova, R. K. Pathak, J. B. C. Pettersson, H. Pleijel, D. Simpson and M. Thynell (2016) Photochemical smog in China: Scientific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air quality policies. National Science Review 3(4): 401-403. 

  5. Hong, S. H., R. Y. Kang, M. Y. An, J. S. Kim and E. S. Jung(2018) Study on the impact of roadside forests on particulate matter between road and public openspace in front of building site: Case of openspace of Busan City hall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3): 323-331. 

  6. Hong, S. H., S. J. Yang, S. H. Choi, J. B. Baek and S. D. Lee(2012) Growing characteristics of shrub in the planting strip of street, Busan city,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2): 257-263. 

  7. Hwang, E. J., J. Y. Lee and Y. P. Kim (2014) An internal thermal desorp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 for analysis of non-polar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erosol samp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7(1): 54-61. 

  8. Jeon, B. I.(2012)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intertime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 Science Society 21(7): 815-824. 

  9. Jo, H. K. and T. W. Ahn(2001) Rol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by trees in urban ecosystem: In the case of Yongi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3): 38-45. 

  10. Jo, H. K., Y. H. Cho and T. W. Ahn(2003) Effects of urban greenspace on improving atmospheric environment: Focusing on Jung-gu in Seoul. Environmental Research 20: 114-121. 

  11. Kim, J. H., D. K. Oh and Y. H. Yoon(2015) Evaluation of noise decreasing effects by structures in roadside buffer gree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5): 647-655. 

  12. Kim, S. D. and C. H. Kim(2008)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 of aerosol particle in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City Research 9(3): 29-33. 

  13. Kim, T. S.(2003) The Effect of Green Buffers in Urban Residential Areas for Reducing Air Pollutio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76. 

  14. Kim, W. S., J. S. Kim, J. H. Hong and J. J. Lee(2014) A Study on Establish PM2.5 Advisory Criteria with Emisson Source Management System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pp. 183. 

  15. Kim, Y. P.(2017)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against ambient fine partic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3(3): 191-204. 

  16. Kong, S. Y., H. J. Bae, D. O. Yun, S. P. Hong and H. Y. Park(2012) A Study on the Health Impact and Management Policy of $PM_{2.5}$ in Korea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191. 

  17. Lee, J. Y., D. A. Lane, J. B. Huh, S. M. Yi and Y. P. Kim (2009) Analysis of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PM2.5 over Seoul using thermal desorption-comprehensive two dimensional gas chromatography-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TD-GC $\times$ GCTOFM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5): 420-431. 

  18. Lee, K. J., B. H. Han, H. A. Park and J. W. Choi(2008)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6): 691-706. 

  19. MSIP(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2016) R&D Strategy Against Particulate Matters Pollution, Report Number 2016R2A1A1928779. 

  20. Park, E. J. and K. I. Kang(2009) Quantification of $CO_2$ Uptake by Urban Trees and Greenspace Management for C Sequestr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p. 158. 

  21. Park, D. G. and Y. S. Kim(1995) Noise attenuation by veg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2): 205-211. 

  22. Seinfeld, J. H. and S. H. Pandis(201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thi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USA. 

  23. Yang, K. C. and J. K. Kim(2007) The role of trees on road contamin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9(2): 37-4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