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리나무 가지 유래 Oregonin의 인체 모유두 세포 Apoptosis 조절 효능
Modulative Effect of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Apoptosis by Oregonin from the Braches of Alnus japonic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4, 2018년, pp.322 - 329  

이경화 (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  박광현 (남부대학교 한방제약개발학과) ,  최선은 (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그동안 의약외품으로 분류되었던 '탈모 증상 완화' 관련 제품이 기능성 화장품의 범주에 포함됨에 따라서 관련 산업계에 큰 관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의약품들의 한계점인 부작용의 위험률이 적으면서 탈모를 과학적으로 조절시켜줄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신소재를 발굴하고자, 오리나무 가지로부터 분리한 oregonin은 강력한 활성산소종 소거능을 가지며 탈모와 연관성이 높은 모유두 세포의 사멸을 명확하게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oregonin을 포함한 오리나무 추출물은 두피에서 발생한 활성산소를 강력하게 제거하는 효능을 기반으로 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모유두세포의 사멸 억제 및 조절을 통하여 탈모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천연 탈모 방지 및 양모 신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iarylheptanoid, (5S)-1,7-bis-(3,4-dihydroxyphenyl)-5-hydroxyheptane-3-one-5-O-${\beta}$-D-xylopyranoside, named oregonin (1), was isolated from the of Alnus japonica (A. japonica), which is a species of the genus Betulaceae, growing throughout Korea, Japan and China. The structure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가 활발히 보고된 oregonin을 포함한 Alnus속 식물들이지만 최근 대두되고 있는 탈모 질환과 관련된 생리활성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Alnus속 식물로부터 분리한 oregonin을 대상으로 탈모 질환과의 연관성을 밝혀내기 위하여 인체 모유두 세포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한 후 oregonin이 세포사멸과 관련된 바이오 마커들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지에 대한 활성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에서 쓰여진 오리나무의 용도는? 국내 자생하는 오리나무 (Alnus japonica)의 가지를 한방에 서는 적양(赤楊)이라 부르며 청열(淸熱), 강화(降火)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고열, 육혈(血), 설사, 치통, 숙취 해소, 암 등에 쓰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1966). Alnus속 식물들은 동양과 서양에서 예로부터 다양한 질환 중 특 히 피부질환들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red alder라고 불리는 같은 속 식물인 Alnus rubra는 북아메리카에 서는 만성 헤르페스 질환, 습진, 소양증 등 다양한 만성 난치성 피부질환에 사용되어 왔다(Boericke, 1927).
Alnus속 식물의 특징은? 민간에서는 고열, 육혈(血), 설사, 치통, 숙취 해소, 암 등에 쓰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1966). Alnus속 식물들은 동양과 서양에서 예로부터 다양한 질환 중 특 히 피부질환들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red alder라고 불리는 같은 속 식물인 Alnus rubra는 북아메리카에 서는 만성 헤르페스 질환, 습진, 소양증 등 다양한 만성 난치성 피부질환에 사용되어 왔다(Boericke, 1927).
Alnus속 식물의 생리활성이 효과적인 이유는? , 2012). 이렇게 강력하고 효과적인 생리활성의 주효 효능 물질로서는 Alnus속 식물에 서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주된 diarylheptanoid 계열 화합물로 알려진 oregonin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Alnus 속 식물의 화학적 계통 분류 연구에 있어서 지표물 질로서 oregonin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국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Choi, 2013;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nemri, E.S., D.J. Livingston, D.W. Nicholson, G. Salvesen, N.A. Thornberry, W.W. Wong and J. Yuan. 1996. Human ICE/CED-3 protease nomenclature. Cell 87:171. 

  2. Alnermri, E.S. 1997. Mammalian cell death proteases: a family of highly conserved aspartate specific cystein proteases. J. Cell. Biochem. 64:32-42. 

  3. Boericke, W. 1927. Pocket Manual of Homeopathic Materia Medica with Repertory (Ninth Edition). Boericke & Tafel, INC. Santa Rosa, CA (USA). p. 24. 

  4. Boivin, W.A., H. Jiang, O.B. Utting and D.W.C. Hunt. 2006. Influence of interleukin- $1{\alpha}$ on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and cytokine secretion by cultured human dermal papilla cells. Exp. Dermatol. 15:784-793. 

  5. Burnette, W.N. 1981. Western blotting: electrophoretic transfer of proteins from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s to unmodified nitrocellulose and radiographic detection with antibody and radioiodinated protein A. Anal. Biochem. 112:195-203. 

  6. Choi, S.E. 2013. Chemotaxonomic significance of oregonin in Alnus species. Asian J. Chem. 25:6989. 

  7. Choi, S.E., K.H. Park, M.H. Kim, J.H. Song, H.Y. Jin and M.W. Lee. 2012. Diarylheptanoids from the Bark of Alnus pendula Matsumura. Nat. Prod. Sci. 18:106. 

  8. Choi, S.E., M.S. Jeong, M.J. Kang, D.I. Lee, S.S. Joo, C.S. Lee, H. Bang, M.K. Lee, S.C. Myung, Y.W. Choi, K. Lee, S.J. Seo and M.W. Lee. 2010.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an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oregonin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Exp. Dermatol. 19:37-43. 

  9. Clarke, P.G. and S. Clarke. 1995. Historic apoptosis. Nature 378:230. 

  10. Cleary, M. L., S.D. Smith and J. Sklar. 1986 Cloning and structural analysis of cDNAs for bcl-2 and a hybrid bcl-2/immunoglobulin transcript resulting from the t(14;18) translocation. Cell 47:19-28. 

  11. Godon, C., F.P. Cordelieres, D. Biard, N. Giocanti, F. Megnin-Chanet, J. Hall and V. Favaudon. 2008. PARP inhibition versus PARP-1 silencing: different outcomes in terms of single-strand break repair and radiation susceptibility. Nucleic Acids Res. 36:4454-4464. 

  12. Harrington, H.A., L.K. Ho, S. Ghosh and K.C. Tung. 2008.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modular model of caspase activation in apoptosis. Theor. Biol. Med. Model. 5:1-15. 

  13. Hatano, T., R. Edamatsu, M. Hiramatsu, A. Mori, Y. Fujita, T. Yasuhara, T. Yoshida and T. Okuda. 1989.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VI. Effects of tannins and ra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2016-2021. 

  14. Kim, H.J., K.H. Kim, S.H. Yeom, M.K. Kim, J.G. Shim, H.W. Lim and M.W. Lee. 2005. New diarylheptanoids from the barks of Alnus japonica Steudel, Chin. Chem. Lett. 16:1337-1340. 

  15. Lee, S.J. 1966. Korea Folk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Center Press, Seoul, Korea. p. 40. 

  16. Lim, H.W., M.K. Kim, H.J. Kim, J.G. Shim, G.H. Kim, H.K. Choi and M.W. Lee. 2004.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arylheptanoid compounds from Korean Alnus. Kor. J. Pharmacogn. 35:384-387. 

  17. Muller, S., J.P. Briand, S. Barakat, J. Lagueux, G.G. Poirier, G. De Murcia and D.A. Isenberg. 1994. Autoantibodies reacting with poly(ADP-ribose) and with a zinc-finger functional domain of poly(ADP-ribose) polymerase involved in the recognition of damaged DNA. Clin. Immunol. Immunopathol. 73:187-196. 

  18. Oltvai, Z.N., C.L. Milliman and S.J. Korsmeyer. 1993. Bcl-2 heterodimerizes in vivo with a conserved homolog, Bax, that accelerates programmed cell death. Cell 74:609-619. 

  19.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0. Schultz, N., E. Lopez, N. Saleh-Gohari and T. Helleday. 2003.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1) has a controlling role in homologous recombination. Nucleic Acids Res. 31:4959-4964. 

  21. Sedlak, T.W., Z.N. Oltvai, E. Yang, K. Wang, L.H. Boise, C.B. Thompson and S.J. Korsmeyer. 1995. Multiple Bcl-2 family members demonstrate selective dimerizations with Bax. PNASU. 92:7834-7838. 

  22. Tsujimoto, Y., L.R. Finger, J. Yunis, P.C. Nowell and C.M. Croce. 1984. Cloning of the chromosome breakpoint of neoplastic B cells with the t(14;18) chromosome translocation. Science 226:1097-1099. 

  23. Xie, G.H., S.E. Choi, M.J. Mun, J.H. Jeong and K.H. Park. 2018. Ameliorative effects of combinative injection of Ginko biloba leaves extract and vitamin C on ischemia/reperfusion liver damages model. Korean J. Plant Res. 31:268-273. 

  24. Zhap, Z.Q., J.M. Budde, C. Morris, N.P. Wang, D.A. Velez, S. Murak, R.A. Guyton and J.J. Vinten. 2001. Adenosine attenuated reperfusion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by modulation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s. J. Mol. Cell Cardiol. 33:57-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