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과학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도전 -수업 주제의 의미화 과정을 중심으로-
Challeng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Good Science Teaching: Focus on the Process of Imparting Meaning of Teaching Subjec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8년, pp.451 - 465  

김홍빈 (서울대학교) ,  이경호 (서울대학교) ,  이은예 (서울대학교) ,  이성은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과학수업 실천을 위한 핵심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수업 주제의 의미화 과정을 중심으로 예비과학교사들의 도전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수업 주제를 향한 예비교사들의 고민은 무엇이었는지?, 이러한 고민 속에서 예비교사들은 수업 주제의 의미를 어떻게 파악하였는지? 그리고 파악한 수업 주제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하여 수업에서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는지?'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7년 1학기에 개설된 '물리교과 수업실습 및 분석' 강의를 수강한 예비교사들 중 4명이다. 연구결과, 예비교사가 수업 주제를 의미화 하는 과정에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났다. 즉, 예비교사가 수업 주제의 의미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본질적/실존적 대답을 추구하기 시작했고, 구체적인 주제어를 사용하여 수업 주제의 의미를 파악했으며, 수업에서는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요소를 긴밀하게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도전의 과정은 그 자체가 교사의 정체성 형성 및 수업전문성 향상의 과정으로써 예비교사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경험이 되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good science teaching with focus on the process of imparting meaning of teaching subject. We hav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such as, 'What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about teaching subject? How they grasp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좋은’ 과학수업 연구의 최근 변화는 무엇인가? , 2014; Oh, 2013), (2) 다양한 배경의 많은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 (Lee, 2016)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변화 중 한 가지는 기능적 관점에서 좋은 과학수업에 관한 경험적 사실을 진술하는 접근에서 가치실현의 관점으로 과학수업을 바라보는 것이다. 즉, 좋은 과학수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좋은 과학수업을 하기 위해서 무엇을 하는지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하는 이유(추구하는 가치)를 파악해야한다는 것이다.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의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어떤 인식이 필요한가? , 2016). 이를 위해서는 수업 초기에 제시되는 수업 주제가 학급구성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한다. Lee et al.
수업목표를 제시할 때 어떤 점들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가? 한편,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Oh (2017)은 예비물리교사와 현직물리교사가 자신의 수업에서 수업 주제를 의미 있게 드러내기 위하여 어떠한 활동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수업목표를 제시할 때, 수업 주제가 학생들의 삶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명시적으로 설명하기, 다양한 활동지와 영상을 통하여 수업 주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체험기회 제공, 도전과제와 질문을 통한 학생의 참여 유도 등의 방법을 통해 수업 주제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것이 되도록 노력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rease, R. (2004). The Prism and the Pendulum: The Ten Most Beautiful Experiments in Science. Random House. 

  2. Ha, S., Lee, G. & Kalman, C. (2013). Workshop on Friction: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Students’ Difficulties in Learning Science Through a Hermeneutical Perspective. Science & Education, 22(6), 1423-1441. 

  3. Heo, S. (2013). The Research about Meaning of ‘Good Teaching’ and Its Utilization as a Valuation Criteria of Teaching Expertise : focused on social studies classes.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0(4), 129-149. 

  4. Jeong, C. (2006). A Theoretical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Instruction.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22, 159-188. 

  5. Kang, D., & Park, Y.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II) Improving the qualit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good instruction in the secondary school. Seoul, South Korea: KICE. 

  6. Kang, C. (2011).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the Good Social Studies Teaching.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2), 19-34. 

  7. Kwak, Y.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II) Improving the quality of Science Studies education :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good instruction in the secondary school. Seoul, South Korea: KICE. 

  8. Kwak, Y. (2003). Exemplary Science Teachers' Suggestions for How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3), 117-127. 

  9. Kwak, Y., & Kim, J. (2003).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2), 144-154. 

  10. Kim, M. (2011). A Critical Examination on the Conditions of Good Instruction: Focused on J. Dewey's Concept of Growth.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3(3), 25-47. 

  11. Kim, Y. (2007). The Best practice on the basic theoretical approaches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2(1), 1-9. 

  12. Lee, B. (2011). A Study on the Philosophy of Teacher Education of Richard S. Peters. Philosophy of Education, 45, 161-190. 

  13. Lee, B. (2016).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ncepts of Goo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36(1), 103-112. 

  14. Lee, D., & Choi, S. (2006).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est Practice" in Mathematics. Journal of KSMS, 9(3), 249-263. 

  15. Lee, D., Kang, H., & Go, E. (2012).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Difference in school level and care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51(2), 173-189. 

  16. Lee, G., Moon, H., Shin, J., Yu, E., An, J., Lee, J., & Oh, J. (2016). Finding issues and strengthening connections for supporting linkages between field experience and courses provided by the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Information Systems & Technology. 

  17. Lee, J.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II)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tudies education :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good instruction in the secondary school. Seoul, South Korea: KICE. 

  1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 Nam, G., Seo, D., & Lee. (2015). Teaching Design. Seoul: Manaedream. 

  20. Oh, J. (2017). What kinds of effort does a science teacher make to meaningfully present class subject?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Good' science teaching,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South Korea. 

  21. Oh, P. (2013).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3), 405-424. 

  22. Palmer, P. J. (2013). The Courage to Teach : Exploring the Inner Landscape of a Teacher's Life. Lee, E. J.(trans.), 2007, San Francisco: Hossey-Bass Inc. 

  23. Park, J. (2011). A Case Study on Elementary Science Classes from the Viewpoint of Good Teaching -Focused on Teaching Case in the Field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39(2), 277-287. 

  24. Peters, R. S. (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25. Peters, R. S. (1977).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Teacher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26. Rawlins, D. (1979). Doubling your sunsets or how anyone can measure the earths’ size with wristwatch and meterstick. American Journal of Physics, 47(2), 126-128. 

  27. Son, W. (2012). Community of learning. Seoul: Haenaem Publishing Co. 

  28. Song, M., & Jung, H. (2013). The Characteristics of Good English Instru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Teachers.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4(2), 1-19. 

  29. Yang, I., Choi, H., & Lim. S. (2014).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34(1), 1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