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 인식적 이해와 추론의 복잡성 탐색
Explor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Epistemic Goals,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Complexity of Reasoning in Open Inquir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8년, pp.541 - 553  

윤현정 (서울대학교) ,  김희백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와 인식적 이해가 추론 복잡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자유탐구가 참과학 탐구의 성격을 띠게 하는 맥락을 탐색하였다. 1명의 교사와 12명의 2학년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6팀 중 인식적 측면과 추론의 복잡성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2팀을 초점 집단으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생의 활동과 면담을 녹화, 녹음한 후 전사한 자료, 참여관찰 자료, 학생이 작성한 인공물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와 이해는 인식 대상의 특성과 맥락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현상 이해에 대한 가치 공유, 연구 가치에 대한 성찰 기회, 협업과 합의를 요구한 과제 특성, 팀원 간의 충분한 소통 기회'와 같은 맥락은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와 이해의 향상을 촉진했다. 반면, '연구 관련 문헌에 대한 비판적 검토 기회의 부재, 환경적 제약'과 같은 맥락은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와 이해의 하락을 촉진했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와 이해는 추론의 복잡성에 영향을 미쳤다. '과학적 의미 형성'의 목표는 학생이 생성한 의문을 바탕으로 검증 가능한 가설을 설정하는 높은 수준의 추론에 영향을 미쳤다. 정당화에 대한 높은 이해는 대조군 설정에 의도적으로 주목하고 독창적인 실험 노하우를 개발하는 높은 수준의 추론으로 이어졌다. 청중에 대한 높은 이해는 논변을 들어 자신들의 연구를 방어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는 높은 수준의 추론으로 이어졌다. 반면, '정답 찾기'의 목표와 정당화에 대한 낮은 이해는 자료의 의미를 해석하지 않고, 실험의 한계점을 조절하지 않는 낮은 수준의 추론으로 이어졌다. 청중에 대한 낮은 이해는 연구를 적극적으로 방어하지 않고, 후속 연구를 고려하지 않는 낮은 수준의 추론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자유탐구 지도와 관련하여 활동의 가치를 공유하고, 학생의 인식적 권위를 확인할 수 있는 소통 기회와 비판적 검토 기회를 제공할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ic goals,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complexity of reasoning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 an open inquiry and to explore the context on how open inquiry compar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n authentic scientific inqui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구 활동에 관한 학생의 인식론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탐구 활동에 관한 학생의 인식론에 대하여 Sandoval(2005)은 전문과학에서 과학 지식과 지식의 생성에 대해 학생들이 가지는 생각을 형식적 인식론(formal epistemology)으로, 학교 과학에서 학생 자신의 지식 생성에 대한 생각이자 학생의 탐구를 이끄는 인식론을 실행적 인식론(practical epistemology)으로 구분하고, 학생의 실행적 인식론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인식론적 자원 관점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개인이 다양한 맥락에 적용될 수 있는 단일한 인식론을 가지기 보다는 저마다 다양한 인식론적 자원을 갖고 있으며(Hammer & Elby, 2002; Louca et al.
참과학 탐구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특히, 인식적 실행의 진정성을 높이는 방안과 관련하여 과학자의 연구와 같은 진정한 연구 맥락을 제공한다는 뜻에서 이름 붙여진 참과학 탐구(참탐구, authentic scientific inquiry)는 학생들이 실제 과학자와 같은 사회적, 협력적 맥락에서 자신의 과학 의문을 탐색하고, 조사 계획을 세우고, 자료를 수집하고, 증거 기반의 설명을 구성하고, 자신의 설명을 소통하고 방어한다는 점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과학자들의 복잡한 추론 같은 진정한 실행을 경험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이자 맥락으로 기대되고 있다(Crawford, 2012;Chinn & Malhotra, 2002). 탐구 활동의 진정성을 높이는 이러한 접근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과학 문화에 참여하여 과학 지식을 산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Fusco, 2001).
자유탐구는 어떤 활동인가? 국내에서 이러한 관점을 반영한 교수학습 활동의 일환으로 자유탐구가 이루어지고 있다(MOE, 2007).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통해 처음 도입된 자유탐구는 주어진 절차를 따르고 결과를 확인하는 단순탐구의 한계를 벗어나, 학생 스스로 관심 분야의 주제를 선택하여 장기간의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과학에 흥미를 갖고, 과학 학습과 탐구를 강화하고, 과학 분야의 진로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다(MOE, 2007). 특히 과학고등학교 학생과 같은 과학 영재들은 자유 탐구와 같은 연구 중심 프로그램을 통해 고급 과학 지식과 기능뿐만 아니라 미래 과학자로서 필요한 과학적 사고와 태도를 배울 필요가 제기된다(Par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erland, L. K., & Crucet, K. (2016). Epistemological trade-offs: accounting for context when evaluating epistemological sophistication of student engagement in scientific practices. Science Education, 100(1), 5-2. 

  2. Berland, L. K., & Hammer, D. (2012a). Framing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1), 68-94. 

  3. Berland, L. K., & Hammer, D. (2012b). Students' framings and their participation in scientific argumentation. In M. Khine(Eds.), Perspectives on Scientific Argumentation(pp. 77-93). Dordrecht: Springer. 

  4. Berland, L. K., Schwarz, C. V., Krist, C., Kenyon, L., Lo, A. S., & Reiser, B. J. (2016). Epistemologies in practice: Making scientific practices meaningful for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7), 1082-1112. 

  5. Burgin, S., & Sadler, T. D. (2013). Consistency of practical and formal epistemologies of science held by participants of a research apprenticeship.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3(6), 2179-2206. 

  6. Bybee, R. W. (2000). Teaching science as inquiry. In J. Minstrell & E. H. van Zee (Eds.), Inquiring into Inquiry Learning and Teaching in Science(pp. 20-46).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7. Charney, J., Hmelo-Silver, C. E., Sofer, W., Neigeborn, L., Coletta, S., & Nemeroff, M. (2007). Cognitive Apprenticeship in Science through Immersion in Laboratory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2), 195-213. 

  8. Chinn, C. A., & Brewer, W. F. (1998). An empirical test of a taxonomy of responses to anomalous data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23-654. 

  9.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10. Cho, H. C. (2011). A comparison of epistemological beliefs between Korean scientifically gifted and regul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0(1), 5-26. 

  11. Corbin, J., Strauss, A., & Strauss, A. L. (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California: Sage. 

  12. Crawford, B. A. (2012). Moving the essence of inquiry into the classroom: engaging teachers and students in authentic science. In: Tan K., Kim M (Eds.), Issues and Challenge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pp. 25-42). Dordrecht: Springer. 

  13. Dolan, E., & Grady, J. (2010). Recognizing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A Tool for Categorizing Complexity of Reasoning During Teaching by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1), 31-55. 

  14. Duschl, R. A., & Grandy, R. (2013). Two Views About Explicitly Teaching Natur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22(9), 2109-2139. 

  15. Elby, A., & Hammer, D. (2001). On the substance of a sophisticated epistemology. Science Education, 85(5), 554-567. 

  16. Fusco, D. (2001). Creating relevant science through urban planning and garde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8), 860-877. 

  17. Hammer, D., & Elby, A. (2002). On the form of a personal epistemology. In B. K. Hofer, and P. R. Pintrich(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69-190). Mahwah, NJ: Erlbaum. 

  18. Jeong, S. H., Choi, H. D., & Yang, I. H. (2011). Analysis on the Complexity of Scientific Reasoning dur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en-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3), 379-393. 

  19. Jimenez-Aleixandre, M. P., Rodriguez, A. B., & Duschl, R. A. (2000). "Doing the lesson" or"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6), 757-792. 

  20. Kang. E. J., Kim, S. J., & Park, J. W. (2009). Analysis of Features Related to Authentic Science Inquiry Appear in Open-ended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9(3), 647-667. 

  21. Kapon, S. (2016). Doing research in school: Physics inquiry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8), 1172-1197. 

  22. Kim, M. K., & Kim, H. B. (2007). The Effects of Authentic Open Inquiry on Cognitive Reasoning through an Analysis of Types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930-943. 

  23. Kim, S. J., & Chung, Y. L. (2015).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931-938. 

  24. Kuhn, D. (2004). What is scientific thinking and how does it develop? In U. Goswami (Eds.),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Malden, MA: Blackwell. 

  25. Kwon, J. S., & Kim, H. B. (2016). Exploring Small Group Argumentation Shown in Designing an Experiment: Focusing on Students' Epistemic Goals and Epistemic Considerations for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45-61. 

  26. Lee, M. J., & Kim, H. B. (2016).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ift in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Through the R&E Participation: o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3), 371-387. 

  27. Lim, S. C., Kim, J. H., & Jeong, J. W. (2013). Analysis of the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of Science-Gifted 2nd Middle School Students in Open-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2), 323-337. 

  28. Louca, L., Elby, A., Hammer, D., & Kagey, T. (2004). Epistemological resources: Applying a new epistemological framework to science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9(1), 57-68. 

  29. McNeill, K. L., & Krajcik, J. (2007). Middle school students' use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evidence in writing scientific explanations. In M. C. Lovett., & P. Shah (Eds.), Thinking with Data (pp. 233-265). NJ: Erlbaum. 

  30. Merriam, S. (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San Francisco: Jossey-Bass. 

  31. MOE(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2007 Science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oul, Republic of Korea: Daehangyogwaseo, Inc. 

  32.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3. Park, C. J., & Cha, H. Y. (2017). Considerations and Scientific Argumentation Level in Argumentation to Conceptualize the Concept of Natural Selection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4), 565-575. 

  34. Park, J. W. (2009). Discussions for preparation and types of mentorship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1(3), 1-19. 

  35. Rivera Maulucci, M. S., Brown, B. A., Grey, S. T., & Sullivan, S. (2014). Urban middle school students’ reflections on authentic science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9), 1119-1149. 

  36. Sandoval W. 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4), 634-656. 

  37. Scherr, R. E., & Hammer, D. (2009). Student behavior and epistemological framing: Examples from collaborative active-learning activities in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27(2), 147-174. 

  38. Wickman, P. O. (2004). The practical epistemologies of the classroom: A study of laboratory work. Science Education, 88(3), 325-344. 

  39.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4th ed.). Thousand Oaks,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