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부비동염의 보완대체의학 약물치료에 대한 최신 임상 연구 동향 -RCT 연구를 중심으로 -
Review of Clinical Research for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Rhinosinusiti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2 no.3, 2018년, pp.44 - 54  

장은하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민상연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김장현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한방소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inical studies on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in rhinosinusitis. Methods We searched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ith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rhinosinusitis from the Pubmed in recent 10 years (from 2008 to 2018). Results 11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외 보완대체의학의 herbal medicine 치료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Pubmed를 통하여 최근 RCT 연구들을 분석하여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경구 스테로이드제보다는 덜하나 비강 스테로이드제의 경우 비출혈, 소양감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체의학 치료의 효과와 안정성을 고찰하게 되었다.
  • 본 논문은 비부비동염의 국외 보완대체의학에서 사용되는 herbal medicine에 대한 RCT를 고찰함으로써 한약 치료의 효과와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데 큰 의의가 있다. 향후 한의학 연구에서도 이를 기반으로 비부비동염의 한약치료에 관한 RCT 연구가 진행되어 한의학 치료가 비부비동염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객관적 근거가 마련되길 바란다.
  • 본 연구는 비부비동염 치료에 사용되는 세계 각국의 보완대체의학 herbal medicine 치료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Herb complex를 투여하는 것은 한의학에서의 한약의 개념과 유사하나, 실제 우리나라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herb들이 있어 치료에 곧바로 적용하기 힘든 한계가 있다.
  • 를 제외하고 나머지 연구에서는 최근 부비강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 및 비용종이 있는 환자들은 연구대상에서 배제시켰다. 연구들에서 ARS 환자군 모집 시 MSS 점수가 8점 이상 12점 이하이면서, 비폐색을 반드시 포함하고, 안면통증 및 압박감은 1점 이상 2점 이하인 경우만 연구를 진행했는데, 이는 전형적인 ARS 환자만을 설정하고자 함이다11-15). 즉, 합병증이 없는 ARS 및 비용종을 동반하지 않는 CRS의 경우 한약 단독 투여로도 기존의 서양의학적 치료와 대등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부비동염은 무엇인가? 비부비동염 (Rhinosinusitis, RS)은 비강 및 부비동 점막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대부분 비염에 속발하며, 비염 없이 부비동염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비부비동염’이라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으로 증상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뉜다1) .
만성 비부 비동염은 어떻게 진단하는가? 만성 비부 비동염 (Chronic Rhinosinusitis, CRS)의 주증상은 점액성 혹은 점액농성 비루, 비폐색, 후비루, 후각장애, 기침, 안면통 등이며 ARS와는 달리 대개 전신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다. CRS는 병력, 내시경 검사를 포함한 비강 검사, 방사선 검사 등을 종합하여 진단한다.
급성 비부비동염의 증상은 무엇인가? 대부분 비염에 속발하며, 비염 없이 부비동염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비부비동염’이라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으로 증상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뉜다1) . 급성 비부비동염 (Acute Rhinosinusitis, ARS)의 주요 증상은 발열, 화농성 콧물, 안면통증 등이 며, 이들 증상은 2주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2) . 만성 비부 비동염 (Chronic Rhinosinusitis, CRS)의 주증상은 점액성 혹은 점액농성 비루, 비폐색, 후비루, 후각장애, 기침, 안면통 등이며 ARS와는 달리 대개 전신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Fokkens WJ, Lund VJ, Mullol J, Bachert C, Alobid I, Baroody F, Cohen N, Cervin A, Douglas R, Gevaert P, Georgalas C, Goossens H, Harvey R, Hellings P, Hopkins C, Jones N, Joos G, Kalogjera L, Kern B, Kowalski M, Price D, Riechelmann H, Schlosser R, Senior B, Thomas M, Toskala E, Voegels R, Wang DW, Wormald PJ. EPOS 2012: European position paper on rhinosinusitis and nasal polyps 2012. A summary for otorhinolaryngologists. Rhinology. 2012;50(1):1-12. 

  2. Lee HJ.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rhinosinusitis in children. J Korean Med Assoc. 2018;61(2):125-9. 

  3. Schultz MJ. Macrolide activities beyond their antimicrobial effects: macrolides in diffuse panbronchiolitis and cystic fibrosis. J Antimicrob Chemother. 2004;54(1):21-8. 

  4. Wallwork B, Coman W, Mackay-Sim A, Greiff L, Cervin A.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macrolid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rhinosinusitis. Laryngoscope. 2006;116(2):189-93. 

  5. Pearlman AN, Conley DB. Review of current guidelines related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rhinosinusitis.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8;16(3):226-30. 

  6. Jang YW, Kim JY, Lee SH, Lim SH. A literature study of Korean medicine for sinus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7;30(3):134-54. 

  7. Jiang RS, Wu SH, Tsai CC, Li YH, Liang KL. Efficacy of Chinese herbal medicine compared with a macrolid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rhinosinusitis without nasal polyps. Am J Rhinol Allergy. 2012;26(4):293-7. 

  8. Liang KL, Su YC, Tsai CC, Lin JS, Jiang RS, Su MS. Postoperative care with Chinese herbal medicine or amoxicillin after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Am J Rhinol Allergy. 2011;25(3):170-5. 

  9. Maragalawaththa MG, Ediriweera ER, Chandimarathne PB. A clinical trial of Sri Lankan traditional decoction of Pitawakka Navaya in treatment of Kaphaja Shirsha Shoola (chronic sinusitis). Ayu. 2010;31(2):193-6. 

  10. Ediriweera ER, Rathnayaka RL, Premakeerthi WM, Weerasinghe KD. Efficacy of Sri Lankan traditional decoction of Katuwelbatu Deduru Katukadi in treatment of Kaphaja Shira Shula (chronic sinusitis). Ayu. 2010; 31(1):58-61. 

  11. Tesche S, Metternich F, Sonnemann U, Engelke JC, Dethlefsen U. The value of herbal medicines in the treatment of acute non-purulent rhinosinusitis. Results of a double-blin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8;265(11):1355-9. 

  12. Jund R, Mondigler M, Steindl H, Stammer H, Stierna P, Bachert C. Clinical efficacy of a dry extract of five herbal drugs in acute viral rhinosinusitis. Rhinology. 2012;50(4):417-26. 

  13. Jund R, Mondigler M, Steindl H, Stammer H, Stierna P, Bachert C. Clinical efficacy of a herbal drug combination in acute viral rhinosinusitis. MMW Fortschr Med. 2015;157(157Suppl4):6-11. 

  14. Passali D, Loglisci M, Passali GC, Cassano P, Rodriguez HA, Bellussi LM. A prospective open-label study to assess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herbal medicinal product (Sinupret) in patients with acute rhinosinusitis.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2015;77(1):27-32. 

  15. Jund R, Mondigler M, Stammer H, Stierna P, Bachert C. Herbal drug BNO 1016 is safe and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cute viral rhinosinusitis. Acta Otolaryngol. 2015;135(1):42-50. 

  16. Palm J, Steiner I, Abramov-Sommariva D, Ammendola A, Mitzenheim S, Steindl H, Wonnemann M, Bachert C. Assessment of efficacy and safety of the herbal medicinal product BNO 1016 in chronic rhinosinusitis. Rhinology. 2017;55(2):142-51. 

  17. Vazifehkah S, Shams-Ardekani MR, Kamalinejad M, Saderhossein SM, Hosseini H, Shams SM, Abbassi S, Eghtesad S, Saedi B. Evaluation of a novel natural drop for treatment of chronic rhinosinusitis without nasal polyps: a single blind randomized trial. Int Forum Allergy Rhinol. 2016;6(9):943-9. 

  18. Cho HJ, Kim HY. Pediatric chronic rhinosinusitis.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15;58 (10):667-75.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the antibiotic use in children with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0. Chow AW, Benninger MS, Brook I, Brozek JL, Goldstein EJ, Hicks LA, Pankey GA, Seleznick M, Volturo G, Wald ER, File TM. IDS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 in children and adults. Clin Infect Dis. 2012;54(8):e72-112. 

  21. Hong SN, Kim DW.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phenotypes of chronic rhinosinusiti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3):167-72. 

  22. Pynnonen MA, Mukerji SS, Kim HM, Adams ME, Terrell JE. Nasal saline for chronic sinonasal symptom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7;133(11):1115-20. 

  23. Browne JP, Hopkins C, Slack R, Cano SJ. The Sino-Nasal Outcome Test (SNOT): can we make it more clinically meaningful?.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7;136(5): 736-41. 

  24. Hong JH, Kim KH, An JH, Jung HA. A case of sinusitis patient improved by Kami-Hyunggyeyungyotang.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 28(2):66-74. 

  25. Jang JH, Park JH. Two cases report of oriental medical therapy for sinusitis in the overweight childre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29(2): 149-60. 

  26. Nam HJ, Kim YB. A case of headache induced by paranasal sinusitis in child.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3;16(1):159-67. 

  27. Lee HM, Park SH. A case of chronic sinusitis patient improved by Yangdokbackho-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283-92. 

  28. Lee KJ, Yoon YH, Choi IH, Ko SG. 5 cases of rhinosinusitis diagnosed and evaluated by OMU C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3):133-44. 

  29. Kim SB, Kim JS, Kim GJ. The clinical observation on cases of chronic paranasal sinu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1;14(2):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